• 제목/요약/키워드: MapReduce

검색결과 848건 처리시간 0.047초

빅 데이터의 MapReduce를 이용한 효율적인 병렬 유전자 알고리즘 기법 (The Efficient Method of Parallel Genetic Algorithm using MapReduce of Big Data)

  • 홍성삼;한명묵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385-391
    • /
    • 2013
  • 빅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데이터의 처리, 수집, 저장, 탐색, 분석을 할 수 없는 큰 규모의 데이터를 말한다. 빅 데이터 기술인 맵 리듀스(MapReduce)를 이용한 병렬 GA 연구는 Hadoop 분산처리환경을 이용하여, 맵 리듀스에서 GA를 수행함으로써 GA의 병렬처리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기존의 맵 리듀스를 이용한 GA들은 GA를 맵 리듀스에 적절히 변형하여 적용하였지만 잦은 데이터 입출력에 의한 수행시간 지연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이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맵 리듀스를 이용한 GA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맵과 리듀싱과정을 개선하여 맵 리듀스 특징을 이용한 새로운 MRPGA(MapReduce Parallel Genetic Algorithm)기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PGA의 topology 구성과 migration 및 local search기법을 MRPGA에 적용하여 최적해를 찾을 수 있었다. 제안한 기법은 기존에 맵 리듀스 SGA에 비해 수렴속도가 1.5배 빠르며, sub-generation 반복횟수에 따라 최적해를 빠르게 찾을 수 있었다. 또한, MRPGA를 활용하여 빅 데이터 기술의 처리 및 분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SSD를 사용한 맵리듀스 정렬 성능개선 (A Study for Improving MapReduce Performance using Solid State Drive)

  • 강석훈;강운학;이상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18-1120
    • /
    • 2012
  • 컴퓨터 메모리의 용량이 커지고 기술이 발전하며 메모리와 저장장치의 데이터 처리속도 차이는 나날이 커지고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데이터 처리를 가급적 메모리에서 해결하여 처리속도를 높이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있다. 그 중 MapReduce에 대한 연구는 현재 주목이 되고 있는 분야이다. MapReduce는 빅데이터를 클러스터 환경에서 처리하기에 대중적인 프로그래밍 모델이다. 본 논문은 MapReduce 기반의 Hadoop을 SSD를 적용하여 실행속도를 증진시키려 한다. 전통적인 MapReduce 모델은 데이터를 정렬하는데에 I/O가 크게 발생하는데, MapRedce가 사용하는 병합정렬의 I/O 병목현상을 개선하고자 SSD를 사용하였다.

P2P 네트워크상에서 MapReduce 기법 활용 (An Application of MapReduce Technique over Peer-to-Peer Network)

  • 임건길;이재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8호
    • /
    • pp.586-590
    • /
    • 2009
  • 본 논문의 목적은 P2P 네트워크 상에서 동적 환경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MapReduce 의 설계이다. MapReduce는 클라우드컴퓨팅 중에서 대용량 데이터의 병렬처리를 위해서 개발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 P2P 기반 네트워크의 특징은 노드 고장이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노드 고장을 제어하기 위해 Pastry라는 DHT 라우팅 프로토콜의 사용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프레임워크가 양호한 계산 효율과 확장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P2P 네트워크 시스템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향후 몇 년 동안은 P2P 네트워크와 병렬 컴퓨팅이 산업과 학계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및 개발 주제로 자리 잡을 것으로 확신한다.

MRQUTER: MapReduce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병렬 정성 시간 추론기 (MRQUTER : A Parallel Qualitative Temporal Reasoner Using MapReduce Framework)

  • 김종훈;김인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5호
    • /
    • pp.231-242
    • /
    • 2016
  • 빠른 웹 정보의 변화에 잘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실과 지식이 실제로 유효한 시간과 장소들도 함께 표현하고 그들 간의 관계도 추론할 수 있도록 웹 기술의 확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소규모 지식 베이스를 이용한 실험실 수준의 정성 시간 추론 연구들에서 벗어나, 웹 스케일의 대규모 지식 베이스를 추론할 수 있는 병렬 정성 시간 추론기인 MRQUTER의 설계와 구현을 소개한다. Hadoop 클러스터 시스템과 MapReduce 병렬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를 이용해 개발된 MRQUTER에서는 정성 시간 추론 과정을 인코딩 및 디코딩 작업, 역 관계 및 동일 관계 추론 작업, 이행 관계 추론 작업, 관계 정제 작업 등 몇 개의 MapReduce 작업으로 나누고, 맵 함수와 리듀스 함수로 구현되는 각각의 단위 추론 작업을 효율화하기 위한 최적화 기술들을 적용하였다. 대규모 벤치마킹 시간 지식 베이스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MRQUTER의 높은 추론 성능과 확장성을 확인하였다.

High-Performance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Using the MapReduce Framework on the GPU

  • Cho, Shi-Won;Lee, Dong-Wook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573-579
    • /
    • 2011
  • To meet the scalability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of data analyses, which often involve voluminous data, efficient parallel or concurrent algorithms and frameworks are essential. We present a high-performance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which employs the MapReduce framework on the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MapReduce is a programming framework introduced by Google to aid the development of web search applications on a large number of central processing units (CPUs). GPUs are designed as a special-purpose co-processor. Their programming interfaces are typically formulated for graphics applications. Compared to CPUs, GPUs have greater computation power and memory bandwidth; however, GPUs are more difficult to program because of the design of their architectures. The performance of the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using the MapReduce framework on the GPU is evaluated in comparison with the CPU-based model. The proposed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shows promising scalable performance on distributed computing with the GPU.

MapReduce 프레임워크를 위한 JobTracker 결함허용 메커니즘 (A JobTracker Fault-tolerant Mechanism for MapReduce Framework)

  • 황병현;박기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0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1(A)
    • /
    • pp.317-318
    • /
    • 2010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적합한 데이터 분산 저장 및 병렬 처리가 가능한 IT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 분산 파일 시스템 중 하나인 HDFS(Hadoop File System)와 병렬 데이터 처리를 지원하기 위한 MapReduce 프레임워크 관련 연구가 각광 받고 있다. 하지만 MapReduce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JobTracker 노드는 SPoF(Single Point of Failure)이기 때문에, 작업 도중 JobTracker 노드의 결함이 발생하게 되면 전체 작업이 실패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MapReduce 프레임워크의 JobTracker 노드 결함 발생에 대처할 수 있는 결함허용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 PDF

대용량 분산 데이터 처리를 위한 Pipeline-MapReduce 모델 (Pipeline-MapReduce Model for Processing Large Data Sets in Distributed Systems)

  • 김선조;김태형;엄영익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1-122
    • /
    • 2009
  • 인터넷 상에서 정보량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ISP들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Google에서는 대용량의 분산 데이터 처리 기법인 MapReduce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MapReduce 모델에 Pipeline 방식을 적용하여 성능을 개선한 Pipeline-MapReduce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해 빠른 처리 결과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러스터 파일 시스템 기반 하둡 맵리듀스 실행 환경 구현 및 성능 분석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Hadoop MapReduce over Lustre Filesystem)

  • 곽재혁;김상완;허태상;황순욱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61-566
    • /
    • 2015
  • 하둡은 오픈소스 기반의 분산 데이터 처리 프레임워크로서 과학 및 상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에 대규모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및 분석을 위해 고성능 컴퓨팅(HPC) 기술을 활용하여 하둡을 고성능화하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둡의 기본 파일시스템 구현인 하둡 분산파일시스템(HDFS)을 고성능 병렬 분산파일시스템인 러스터 파일시스템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둡 파일시스템 라이브러리를 확장하여 구현하였고 하둡이 제공하는 표준 벤치마크 도구를 사용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러스터 파일시스템 기반으로 하둡 맵리듀스 응용을 수행하는 경우에 2-13배의 성능 향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Hadoop Based Wavelet Histogram for Big Data in Cloud

  • Kim, Jeong-Joo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3권4호
    • /
    • pp.668-676
    • /
    • 2017
  • Recently, the importance of big data has been emphasized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web/SNS. As a result, MapReduce, which can efficiently process big data, is receiving worldwide attention because of its excellent scalability and stability. Since big data has a large amount, fast creation speed, and various properties, it is more efficient to process big data summary information than big data itself. Wavelet histogram, which is a typical data summary information generation technique, can generate optimal data summary information that does not cause loss of information of original data. Therefore, a system applying a wavelet histogram generation technique based on MapReduce has been actively studied. However, existing research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generation speed is slow because the wavelet histogram is generated through one or more MapReduce Jobs.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error of the data restored by the wavelet histogram becomes large. However, since the wavelet histogram generation system based on the MapReduce developed in this paper generates the wavelet histogram through one MapReduce Job, the generation speed can be greatly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wavelet histogram is generated by adjusting the error boundary specified by the user, the error of the restored data can be adjusted from the wavelet histogram. Finally, we verified the efficiency of the wavelet histogram genera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paper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빅데이터 K-평균 클러스터링을 위한 RHadoop 플랫폼 (RHadoop platform for K-Means clustering of big data)

  • 신지은;오윤식;임동훈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3호
    • /
    • pp.609-61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기 위해 RHadoop 플랫폼에서 실제 데이터와 모의 실험 데이터를 가지고 K-평균 클러스터링을 구현하고, MapReduce의 컴바이너 사용여부에 따른 처리 속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K-평균 클러스터링에서 최적의 군집수 결정방법을 MapReduce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실제 데이터에 적용하고자 한다. 그리고 제안된 RHadoop 플랫폼의 확장 가능성을 보이기 위해 실제 데이터에서 R의 기본 패키지에서 kmeans() 함수와 bigmemory 패키지 상에서 유용한 bigkmeans() 함수와 처리 속도를 비교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