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uscript Editio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천의소감언해(闡義昭鑑諺解)』 목판본과 필사본 간의 문체론적 특징 고찰 (A Study on stylistic features between the manuscript edition and the woodblock ediction of 『Cheonuisogameonhae』)

  • 정윤자;김길동
    • 동양고전연구
    • /
    • 제71호
    • /
    • pp.231-258
    • /
    • 2018
  • 본고는 "천의소감언해"의 이본 간의 차이를 문체론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 차이의 요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목판본과 필사본의 언해는 전제된 독자층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본 간의 문체적 차이는 독자층의 확대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언해자인 화자와 독자층인 수신자의 상관관계 속에서 화자의 의도에 따라 문체의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고찰하였다. II장에서는 이본 간에 나타나는 문체론적 차이를 수용자에 대한 언해자의 경의 표현, 정서 표현, 공적 관계 의식 표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경의 표현은 목판본에서보다 필사본에서 더 적극적으로 드러난다. 존칭 주어 표지인 '겨 오셔'와 화자 겸양의 표지인 '- -'은 필사본에서 훨씬 빈번하게 나타난다. 긍정적 정서 표현을 위해 필사본에서는 감탄형 어미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수용자의 말이나 행동에 대하여 감정적으로 강하게 동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목판본에서는 역신이나 역모에 가담한 죄인을 하대하는 의미로 인명 뒤에 '-이'를 붙여 부르고 있다. 그리고 필사본에서의 긍정문이 목판본에서는 이중부정문으로 표현되었는데, 이는 목판본에서 임금의 왕위 계승에 대한 의의와 당위성을 더욱 강조하고자 한 것이다. 언해자의 공적 관계 의식은 고유어 지명의 훈독 표기 방식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또한 공적 관계를 드러내는 목판본에서는 고유어의 지명을 한자로 나타내는 것에 비해 필사본에서는 고유어로 표기하고 있다. III장에서는 이본 간의 문체론적 차이가 무엇에서 비롯되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차이의 요인을 언해의 목적에 따른 수용자의 계층과 범위, 수용자에 대한 언해자의 태도, 언해자와 수용자의 대면적 상황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새로 발견된 『마진휘성(麻疹彙成)』 이본 연구 (A Study on the Newly Discovered Version of the Majinhwiseong)

  • 朴薰平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5-39
    • /
    • 2022
  • Objectives : This paper analyzes the new Majinhwiseong(麻疹彙成) manuscript discovered in Jeonju. The Majinhwiseong is a medical book specializing in measles co-authored in 1798 by Lee, Won-pung and three doctors from a middle class family. Until recently, the Handok (Korean-German) Medicine Museum copy was known to be the only existing version, but a new manuscript was recently discovered. Methods : The author, bibliography, organization, cited literature, and content of the book were studied. The contents of the Handok Museum of Medicine copy and other manuscripts were compared then reviewed. Results : 1. The book shows that middle class workers in the late 19th century were able to collaborate based on the results of their craft and form strong bonds. 2. The book was being prepared for publication in Pyeongan Gamyeong in December 1798, but failed to be published due to the sudden death of the Pyeongan-do governor. 3. For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is book,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Handok Medicine Museum edition and the newly discovered manuscript (Jeonju edition) together. Conclusions : The two editions are of a different lineage. The Jeonju edition is overall more specific, while some parts are more detailed in the Handok edition. In conclusion, the Majinhwiseong is a book that was written by middle class doctors of late 18th century whose clinical experience was combined with Chinese medical theories. The book was specifically targeted to professional medical audiences.

새로 공개된 사상의학(四象醫學) 자료 5종의 사료(史料) 가치 (The historiographic value of newly found 5 books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안상우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1-16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make a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and to discuss the historical value of several literatures o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established by Jema Lee$(1837{\sim}1900)$. Literatures are as follows: 1. ${\ulcorner}$HamsanSachon Donguisusebowon(咸山沙忖 東醫壽世保元 甲午舊本)${\lrcorner}$; newly found draft of ${\ulcorner}$Donguisusebowon${\lrcorner}$ that contains an old edition written in 1894. 2. ${\ulcorner}$Bojeyeonseol-Supplement of Donguisusebowon(普濟演設-東醫壽世保元補編)${\lrcorner}$; a clinical book which is regarded as to had been published before the first edition of ${\ulcorner}$Donguisusebowon${\lrcorner}$ was printed. 3. ${\ulcorner}$Gyukchigo appendix(格致藁-附錄)${\lrcorner}$, ${\ulcorner}$Sasang Medicine-A Memorandom of the first edition(四象醫學草本卷備忘錄)${\lrcorner}$; which were aquired in Yanbian(China) several years ago. 4. ${\ulcorner}$Donguisusebowon${\lrcorner}$- The first edition published in 1901; owned by Mikki Sakae(三木榮) a Japanese medical historian. 5. ${\ulcorner}$Donguisusebowon${\lrcorner}$ - Manuscript; poetry on natures of herbal drugs are appended.

  • PDF

《매비전(梅妃傳)》의 국내유입과 번역양상 (Dissemination of the Tale of meifeizhuan to Korea and its Translation Practice)

  • 유희준;민관동
    • 비교문화연구
    • /
    • 제27권
    • /
    • pp.255-289
    • /
    • 2012
  • In the course of completing a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project, I recently found that a handwritten Korean manuscript of The Tale of Mei Fei is kept in the Adan Collection, which is a significant scholarly discovery given that no relevant research is available. The editions of the Tale of Mei Fei available in Korea include ${\ll}$藝苑?華${\gg}$ edition, ${\ll}$說?${\gg}$ edition, and the handwritten manuscript in Korean collected in the Adan Collection. Being the only handwritten Korean translation of the work, the Tale of Mei Fei in the Adan Collection was appended by the translations of ${\ll}$한셩뎨됴비연합덕젼${\gg}$ and ${\ll}$당고종무후뎐${\gg}$. As for the practice of translation of the work, literal "word to word" translation was done for the most part of the text; some sentences were occasionally translated liberally. Also, as for the poems in the text, pronunciation of each Chinese character was provided along with the translated text.

온병학의 한국 전래에 관한 사례 연구 – 『연릉집』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Warm-disease into Korea - Focusing on the Yeonleungjib -)

  • 朴薰平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0
    • /
    • 2024
  • Objectives : The Wenyilun is the first specialized text on warm disease, written by Wuyouke from the Ming period in 1642. Methods : This paper examines the newly discovered manuscript of the Wenyilun called the Yeonreungjip, focusing on its bibliography and content. In addition, the original script of the Yeonreungjip was studied philologically. Results : 1. The Yeonreungjip was transcribed in the early 20th century. 2. The Jongbaegmuusan formula is a tried and tested prescription unique to Korea. 3. The original script of the Yeonreungjip is affiliated with the Chinese Liuchang edition. It is uncertain when this edition was introduced to Korea. 4. The contents of the Yeonreungjip referenced the Siququanshu edition series. Conclusions : In conclusion, the Yeonreungjip is the only transcribed version of the specialized Chinese warm disease text from the Joseon period that is known today. Its implication in the research of warm disease introduction to Korea is manifold.

목판본 "대동여지도"와 "청구도"의 지명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lace Names on "Daedongyeo-jido" and "Cheonggu-do")

  • 임종옥;김기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49-264
    • /
    • 2010
  • 본 연구는 목판본 "대동여지도"의 수록 지명을 "청구도"와 비교함으로써 목판본 제작 과정에서 필사본을 바탕으로 목판본이 제작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변화를 가했고, 이에 반영된 수록 원칙을 찾아 보고자 하였다. 두 지도가 동일 계열임에도 불구하고 수록 지명에 있어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청구도"에서 가장 많이 삭제된 지명은 방리 지명으로 목판본 제작시 이의 삭제 원칙을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 지명이 삭제된 대신 다른 유형의 지명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대동여지도"의 추가지명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산과 하천, 해안 지명과 함께 진(포), 진보, 역참 및 창고지명 등이다. 수록 지명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이루어 진 것은 당시 지도 제작 과정에서 수록 원칙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추가지명 중 인문 지명의 분포는 자연지명과는 달리 지리적인 분포에서 일정한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 주목된다. 특히 군사 방어적인 성격을 지니는 진보, 봉수, 역참, 창고 지명은 북부 지역에서 집중 분포한다. 적지 않은 목장 지명이 새롭게 기재되는 것도 이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목판본 "대동여지도"의 지명을 수록하는데 밝혀진 원칙은 지도 제작의 사회적인 측면을 엿볼 수 있게 한다.

  • PDF

Mistranslation or Adaptation in Medieval Manuscripts: Can One Tell the Difference\ulcorner

  • Burton, Tom.L.
    • 인문언어
    • /
    • 제2권2호
    • /
    • pp.129-141
    • /
    • 2002
  • Editors of medieval texts that are translated from other languages face difficulties when the translation differs significantly from the original. Are the differences unintended, the result of misunderstanding and mistranslation\ulcorner Or do they proceed from a conscious decision on the translator's part to change the meaning of the original\ulcorner Is it possible to be sure one knows the difference\ulcorner This paper discusses three test cases encountered in preparing for the Early English Text Society a critical edition of Sidrak and Bokkus, the fifteenth-century English verse translation of the Old French prose book of knowledge, Le livre de Sidrac.

  • PDF

세계기록유산 국채보상운동기록물의 수집현황과 기술규칙 제안 (Survey of the Archives of NDRM, Memory of the World and a Proposal of their Rules for Archival Description)

  • 김경남
    • 기록학연구
    • /
    • 제71호
    • /
    • pp.91-130
    • /
    • 2022
  • 본 연구는 최근에 등재된 국채보상운동기록물 2,475건을 대상으로 생산배경과 그 출처를 분석하여 분류 체계에 대한 새로운 방식을 제기하고, ISAD(G) 2ND EDITION, ISSAR, NAK를 참조하여 매뉴스크립트 컬렉션형 기록물 기술 규칙을 만들어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최근 다수 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고, 등재된 이후에도 기록물이 추가되는 추세에 따라, 기록학적 관점에서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기술 규칙을 만들어 관리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국채보상운동기록물은 인위적 수집 컬렉션이다. 매뉴스크립트 컬렉션은 쉘렌버그의 출처주의에 입각하여 기록의 작성 주체를 중심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장 체계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기본으로 하여 활동별, 시간별, 자료의 종류별, 매체별, 주제별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하여 제시한다면 세계기록유산 기록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청대(淸代) 문언소설(文言小說) 『형창이초(螢窗異草)』의 판본과 국내유입 (The Study of Yingchuangyicao - Focus on the Writer and Printed book)

  • 유희준;민관동
    • 비교문화연구
    • /
    • 제23권
    • /
    • pp.215-242
    • /
    • 2011
  • Yingchuang yicao(${\ll}$螢窗異草${\gg}$) is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in Classical Chinese, whose style was much affected by Liaozhai zhiyi(${\ll}$聊齋志異${\gg}$). It consists of 3 chapters, 12 juan, and 138 stories. This work was written by a scholar with the pen name of Hao gezi(浩歌子) in the reign period of Qianlong in the Qing dynasty, and has drawn relatively little attention among the scholars thus far; it was not until 1980's that scholars figured out that the author Hao gezi was Yin Qinglan, the sixth son of the renowned Qing scholar Yin Jishan. Yingchaung yicao had circulated as a manuscript for more than one hundred years until it was printed by Shenbao guan(申報館) in Shanghai in the reign period of Guangxu 2-3 (1876-1877). This edition is currently collected at The Kyujanggan(奎章閣) Institute of National Seoul University. At present, no known study of its introduction to and circulation in premodern Korea is available. However, given that the late $Chos{\ddot{o}}n$ period saw high interest in Chinese narratives, it is speculated that this work was imported to Korea soon after its first publication in China. Later, two publishing houses in Shanghai also published illustrated editions of the work. Given that the Shenbao guan version is the first printed edition of Yingchuang yicao, the copy collected at Kyujanggak Institute should be regarded highly for its academic values.

미의회도서관소장 한국고전적의 서지적 연구 (A Bibliographical Study on Traditional Korean Books Collected by the Library of Congress)

  • 현영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5-140
    • /
    • 2001
  • 본 연구는 해외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 한국의 고전적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시도로서, 우선 미의회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한국 고전적과 함께 지리류 가운데 고지도 및 지리등에 대해 서지적으로 분석하였다. 고전적들에 대해서는 주제별, 편찬 및 간행과 판종별로 분석하였으며, 특히 지리류에 대해서는 조선왕조 시대에 있어서의 이들 자료의 편찬 및 그 역사적 발달과 함께 미의회도서관에 소장된 한국의 고지도들에 대한 개재의 조사를 통해 이들 자료의 서지적 특징들을 살폈다. 이로써 미의회도서관에 소장된 한국의 고전적 및 고지도와 지지들의 소장 현황과 서지적 특징은 물론 우리나라에 소장되어 있는 이들 자료들과도 비교 분석 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