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g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6초

소양인(少陽人) 부안증(不眼症) 치험 2례 (Cases of Soyangin Insomnia Patients)

  • 김오영;김일환;박혜선;김효수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46-154
    • /
    • 2005
  • 1. Objectives This Case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ity of Sasang Herbal Therapy in Insomnia Patients. 2. Methods Patients who diagnosed as Soyangin by physical characteristic, posture and symptoms, are evaluated with VAS and morning questionnarie after Hyeongbangjihwang-tang medication. 3. Results After Hyeongbangjihwang-tang medication, Soyangin patients were improved the sleep disturbance, insomnia, and the constitutional disease syndrome also improved. 4. Conclusions

  • PDF

제주도 남부 외해에서 출현한 망둑어과(농어목) 한국미기록종, Obliquogobius yamadai (First Record of a Deep-dwelling Goby, Obliquogobius yamadai (Perciformes: Gobiidae) from Korea)

  • 김병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8-41
    • /
    • 2013
  • 제주도 남부 외해에서 채집된 3개체의 표본(체장 30.3~47.0 mm)에 근거해 깊은 바다에 서식하는 망둑어과 Obliquogobius yamadai를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체측에 황색 띠가 있는 점, 제2등지느러미 기조수가 1극조 9연조인 점, 후두부 측면에 비늘이 있는 점, 머리가 작고 눈이 비교적 큰 점, 꼬리지느러미가 상하로 비대칭인 점 등의 특징이 있다. 본 종의 신한국명으로 "깊은바다노란띠망둑"을 제안한다.

한국산 망둑어(Gobiidae) 어류 1미기록종 Pterogobius zacalles에 대하여 (A New Record of the Gob joid Fish, Pterogobius zacalles From Korea)

  • 강언종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38-240
    • /
    • 1990
  • 1989년 2월 10일 부산시 송정도에서 채집한 망둑어과 어류 3개체가 한국 미기록중인 Pterogobius zacalles로 동정되었기에 이를 기재하였다. 본 종은 체측에 5개의 암갈색 호아대가 있고, 측선리수가 113-117개로 많으며, 등지느러미기조 수가 VIII,I-24-25이고, 뒤지느러미기조 수가 I-24-25인 점 등에서 같은 속의 다른 종들과는 구분된다. 본 종의 한국명은 다섯동갈망둑이라 명명하였다.

  • PDF

Neurofibromatosis type I: points to be considered by general pediatricians

  • Kang, Eungu;Yoon, Hee Mang;Lee, Beom Hee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4호
    • /
    • pp.149-156
    • /
    • 2021
  • Neurofibromatosis type 1 (NF1), a prevalent genetic disease that is transmitted in an autosomal dominant manner, is characterized by multiple cutaneous cafe-au-lait spots and neurofibromas as well as various degrees of neurological, skeletal, and neoplastic manifestations. The clinical features of NF1 increase in frequency with age, while the clinical diagnosis can remain undetermined in some pediatric patients. Importantly, affected patients are at risk for developing tumors of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 Therefore, adequate counseling for genetic testing, age-appropriate surveillance, and management are important. This review suggests several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help general pediatricians provide adequate clinical care and genetic counseling to patients with NF1 and their families.

Quantifying Values from BIM-projects life cycle with cloud-based computing

  • Choi, Michelle Mang Syn;Kim, Inha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271-275
    • /
    • 2015
  • A variety of evaluation application and initiatives on the adop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have been introduced in recent years. Most of which however, focused mainly on evaluating design to construction phase-processes, or BIM utilization performances. Through studying existing publications, it is found that continuous utilization of BIM data throughout the building's life cycle is comparatively less explored or documented. Therefore, this study looks at improving this incomplete life cycle condition with the concept that accumulated BIM data should be carried forward and statistically quantified for cross comparison, in order to facilitate practitioners to better improve the projects the future. Based on this conceptual theory of moving towards a closedloop BIM building life cycle, this study explores, through existing literature, the use of cloud based computing as the means to quantify and adaptively utilize BIM data. Categorization of BIM data relations in adaptive utilization of BIM data is then suggested as a initial step for enhancing cross comparison of BIM data in a cloud environment.

  • PDF

맹방해빈의 일 년에 걸친 대순환과정 수치해석 - 2017.4.26부터 2018.4.20까지의 해안선 변화를 중심으로 (Numerical Analysis of the Grand Circulation Process of Mang-Bang Beach-Centered on the Shoreline Change from 2017. 4. 26 to 2018. 4. 20)

  • 조영진;김인호;조용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101-114
    • /
    • 2019
  • 현재 상당한 침식이 진행되고 있는 맹방해빈을 대상으로 년 간 해안선 변화량을 수치모의 하였다. 수치모의는 이산화된 해안선 단위 격자에 표사 순유입량과 해안선 전진 혹은 퇴각량은 서로 균형을 이룬다는 개념으로부터 유도한 해안선 모형(One Line Model for shore line)에 기초하여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안 표사량의 경우 Energy flux 모형, 횡단 표사량의 경우 Bailard와 Inman(1981) 계열의 수정 모형(Cho and Kim, 2019)을 활용하였다. 수치모의 과정에서 closure depth는 파랑에 종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였으며, closure depth는 Shiled's parameter에 기반한 Hallermeier(1978)의 해석모형을 활용하여 산출하였다. 모의결과 너울이 우세한 2017.4.26부터 2017.10.15까지는 횡단 표사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해안선이 전진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또한 10월 중순과 10월 말 사이에 연이어 발생한 년 최대 고파랑 내습에 따른 침식과 이로 인한 해안선의 일시적 퇴각, 이 후 파랑이 잦아들면서 다시 출현하는 너울에 의한 횡단표사 유입과 이로 인한 해안선 복원, 삼월중순부터 삼월말까지 연이어 발생한 고파랑에 의한 해안선 퇴각 등 일 년에 걸친 해안선 대순환과정이 상세하게 모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해안선 대순환 과정은 2017년 4월5일, 9월 7일, 11월 7일, 2018년 3월14일에 실측된 해안선 위치에서도 유사하게 관측할 수 있다. 그러나 해안선이 전진 혹은 퇴각되는 양은 실측치에 비해 수치모의에서 크게 관측되며, 이러한 차이는 대부분의 지형모형(Genesis: Hanson and Kraus, 1989)처럼 closure depth를 $h_c=8.09m$로 일정하게 유지한 경우에 더욱 증가하였다.

조선조 유학자들의 양웅(揚雄) 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Yang Xiong (揚雄) Held by Korean 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 조민환
    • 대순사상논총
    • /
    • 제37집
    • /
    • pp.297-328
    • /
    • 2021
  • 본 논문은 미시적 차원에서 조선조 유학자들이 양웅의 처세술, 학술, 문학 등을 어떤 관점에서 평가하고 이해했는가 규명하고, 이런 규명을 통해 조선조 유학자들의 학문 경향의 상이점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이런 점을 첫째 양웅의 처세술을 '망대부(莽大夫)'라고 평가한 것에 대한 견해, 둘째 양웅의 문학성 및 문학작품에 대한 견해, 셋째 양웅의 저술에 대한 견해, 넷째 양웅의 선악혼재설에 대한 견해, 다섯째 후대 인물들의 양웅 평가에 대한 견해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조선조 유학자들의 양웅 평가에는 주희(朱熹)가 양웅이 왕망(王莽)에게 대부 벼슬한 것을 '망대부'라고 비판한 것과 정호(程顥)가 양웅의 선악혼재설을 비판한 것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조선조 유학자들은 자신이 어떤 학파에 속하고 어떤 세계관을 갖는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양웅에 대한 조선조 유학자들의 서로 다른 평가와 이해에는 각 인물들이 지향한 세계관과 진리인식의 차이점이 담겨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크게 세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하나는 양웅의 처세술, 학술, 문학 등 모든 것을 부정하는 것이다. 이런 부정은 대부분 주자학을 존숭하는 유학자들에서 나타났다. 예를 들면 홍직필(洪直弼), 위백규(魏伯珪), 김원행(金元行), 이상정(李象靖)이 그 예다. 영조같은 제왕의 경우도 유사성을 띤다. 다음은 양웅을 긍정하는 경우다. 이 경우는 다시 두가지 견해로 나타난다. 하나는 양웅에 대한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거론하는 선택적 차원에서 양웅을 일정 정도 긍정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허균(許筠)의 이해가 그것이다. 긍정하는 또 다른 견해는 다시 세가지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다. 첫째 주자학의 훈도를 깊이 받지 않은 경우다. 서거정(徐居正), 성현(成俔)이 그 예다. 둘째, 실학적 사유를 견지한 경우다. 이익(李瀷)이 그 예다. 셋째 진리다원성을 주장하는 경우다. 장유(張維)가 그 예다. 다만 인성론과 관련해서는 모든 유학자들은 맹자의 성선설을 인정하면서 양웅의 '선악혼재설'을 비판한다. 이상 본 바와 같이 미시적 관점에서 양웅에 대한 조선조 유학자들의 서로 다른 평가에서 한 인물이 어떤 세계관과 사상을 견지하고 존숭하느냐의 차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양웅에 대한 이해와 평가가 달랐던 점을 확인할 수 있다.

17C말~18C초 풍속화에 나타나는 복식에 관한 연구 - 윤두서, 조영석 작품 중심으로 - (A Study on Basic Costume Appearing in Genre Paintings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 focused upon Works of DuSeo Yun and YoungSeok Cho)

  • 최은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8권6호
    • /
    • pp.915-929
    • /
    • 2000
  • As a result of research, the character of the general dress-costumes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in Genre Paintings of DuSeo Yun and YoungSeok Cho is as follows. Firstly young women wore braided hair at the back of head and married women wore hair in the style of Unjeun-mori with Gache. The length of Jeogori (Korean traditional jacket) covered waistor shortened to waist length. The width of Jeongori was suitable, because side-seam line was straight or oblique as it comes into inner line. The width of Git was enough and Mokpan-git (shape of board) and Kal-kit (shape of knife) appeared, and sometimes used other color fabric. Sleeve was narrow and ostly folded up. Chima (Korean traditional skirt) used darker color fabric than Jeogori and the width of Chima was narrow and its length was short. Sokbaji (Korean traditional underpants) shown below were narrow and its end narrower. They were barefoot or they wore Hye (Korean traditional shoes) after putting on Beoseon (Korean traditional socks). Secondly general man's hair tie a topknot (sangtu) and put on headdres, 'Bang-lip', 'Mang-geon', hairband, 'Tang-geon' on head. The length of Jeogori became shorter from the line which covered hip to the line which covered waist. The width of Jeogori was suitable and sometimes it had a slit of side-seam line. The width of Git (neckand) was wide and the length of Git was long. 'Kal-git'appeared and it used other color fabric. The shape of sleeve was straight and narrow. They folded up their sleeves. They folded up their sleeves. They folded up their slack that look like 'Jam-bang-i'and the width of slacks was not suitable, and it was narrow. Baji (Korean traditional pants) were with or without knot, worn 'Hangjeon'(ankle band). They were barefoot and wore 'Hye'or 'Jipsin'(Korean traditional straw shoes). Thirdly a person of high birth or a low-ranked official put 'Yu-geon', 'Mang-geon', 'Gat', 'Tang-geon', 'Bok-du', 'Bok-geon', 'Whi-hang'on their head on a topknot. They wore 'Po (Shim-ui, Jick-ryeong'Jung-chi-mak, Do-po, etc)'on Baji and Jeogori. 'Po'was long and wide, it knot with 'Se-jo-dae'(string belt) or 'Po-baek-dae'(band belt). It had a slit of sideline and 'Mu'which had or had not or which were hard to confirm. The shape of sleeve was straight or very wide and its length was long. The width of Baji was wide and knotted with 'Hangjeon'and wore'Beoseon'and 'Hye'. Fourthly child's hair was short or knotted to the back of the head. The length of Jeogori reached waist line and its width was wide. It had a 'Jeogori'which had s slit of sideline. The shape of sleeve was 'Tong-su'(straight), and the length of sleeve was diverse. They put 'Baeja'on 'Jeogori'. The width of Baji was not wide. They wore them straight without or with knot, 'Hangjeon'. They were barefoot or put on 'Jips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