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dibular second premolar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5초

Position of the mental foramen in a Moroccan population: A radiographic study

  • Chkoura, Ahmed;Wady, Wafaa El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3권2호
    • /
    • pp.71-75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mental foramen relative to the apices of the teeth based on panoramic radiographs in a Moroccan population. We also analyzed gender differences and the symmetry of location within individuals. Materials and Methods: Seven hundred ninety-four panoramic radiographs were evaluated with regard to the location and symmetry of the mental foramina in male and female subjects.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hi}^2$ and Fisher's exact test. Results: Of the 794 panoramic radiographs, 377 met the inclusion criteria for at least one side. The mental foramen was located just below the apex of the second premolar in 62.7% of the patients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emolars in 30%. It was symmetrically located in 79%.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he position and symmetry of the mental foramen. Conclusion: The most common position for the mental foramen in this sample was in line with the second premolar.

선천 결손으로 오인될 수 있는 하악 제2소구치의 발육지연 (THE DELAYED DEVELOPMENT OF MANDIBULAR SECOND PREMOLARS - A PITFALL FOR MISDIAGNOSIS OF CONGENITAL ABSENCE)

  • 우연선;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69-373
    • /
    • 2001
  • 하악 제2소구치의 선천결손은 비교적 흔히 나타나는 이상으로, 방사선사진에서 결손으로 확인되는 경우 여러가지 치료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환자의 연령, 제2유구치 치근의 흡수상태, 총생의 정도, 악골의 성장, 측모의 형태, 절치의 돌출도, 하안 모고경 등을 고려하여 치료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선천결손의 진단과 치료방법의 결정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하악 제2소구치는 분화와 석회화과정에 있어서 가장 많은 변이를 보이는 치아이다. 경조직 형성은 $2\frac{1}{4}\sim2\frac{1}{2}$세에 시작되며, 대부분 적어도 $3\sim3\frac{1}{2}$세에는 시작된다. 그러나, 이 시기는 다른 영구치에 비해 그 범위가 매우 넓어서 $5\sim6$세, 드물게는 그 이후에 발육이 시작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하악 제2소구치의 선천결손을 조기에 진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선천결손으로 진단한 경우라도 오진할 가능성이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는 두 가지 증례를 통한 임상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 증례 모두에서 하악 제2소구치의 두드러진 발육지연이 관찰되었다. 2. 치배형성 이후의 석회화 속도는 거의 정상적으로 나타난 것을 보아, 발육지연은 석회화 과정보다는 분화과정에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이와 유사한 증례를 접하였을 경우, 치아의 선천결손으로 단정하기 보다는 발육지연의 가능성을 함께 고려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Distances from the root apices of posterior teeth to the maxillary sinus and mandibular canal in patients with skeletal open bite: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 Kosumarl, Werinpimol;Patanaporn, Virush;Jotikasthira, Dhirawat;Janhom, Apirum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7권3호
    • /
    • pp.157-164
    • /
    • 2017
  • Purpose: This study determined and compared the distances from the maxillary root apices of posterior teeth to the floor of the maxillary sinus, or maxillary sinus distances(MSDs), and the distances from the mandibular root apices of the posterior teeth to the mandibular canal, or mandibular canal distances(MCDs), in Thai subjects with skeletal open bite and skeletal normal bite. Materials and Methods: Pretreatment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mages were obtained from 30 Thai orthodontic patients (15 patients with skeletal normal bite and 15 with skeletal open bite) whose ages ranged from 14 to 28 years. The CBCT images of the patients were processed and measured using the Romexis Viewer program. The MSDs and MCDs from the root apice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second premolar,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to the maxillary sinus floor or the mandibular canal were measured perpendicularly to the occlusal plane. The Student t test was used for comparisons between the 2 groups. Results: The greatest mean MSDs were from the root apex of the second premolars in both groups, whereas the least mean MSDs were from the mesiobuccal root apex of the second molars. The greatest mean MCDs were from the mesial root apex of the first molars, whereas the least mean MCDs were from the distal root apex of the second molars. Conclus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mean MSDs or the mean MCDs between the skeletal normal bite group and the skeletal open bite group.

하악 영구치아의 발육과 연령과의 관계 및 치아 발육에 따른 치아의 위치 변화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AL STAGE AND CHRONOLOGICAL AGE, AND THE CHANGES OF TOOTH POSITION IN RELATION TO THE TOOTH DEVELOPMENT ON MANDIBULAR PERMANENT TEETH)

  • 김현미;양승덕;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07-617
    • /
    • 2002
  • 연령과 치아 발육상태 단계와의 상관관계, 치아의 발육에 따른 치아의 이동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최근 5년 이내에 경북대학교 병원에 내원한 아동(남아 446명, 여아 326명)의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대상으로 하여, Moorrees의 기준에 의하여 하악 영구치아의 발육단계를 평가한 후, 발육단계와 연령, 치조골내 치아의 위치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치아의 발육시기는 치관이 완료될 때까지 남, 여의 차이가 없었으나, 치근형성이 되면서 부터는 남아보다 여아에서 더 빨리 발육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치관형성의 완료시점의 평균연령은 남아 여아 각각에서 중절치 3.71, 4.05세, 측절치 4.44, 4.60세, 견치 5.35, 5.11세, 제1소구치 6.62, 6.36세, 제2소구치 7.36, 7.17세, 제1대구치 3.51, 3.69세, 제2대구치 7.90, 7.64세 이었고, 치근단이 폐쇄되기 전단계인 $A_{1/2}$는 중절치 8.70, 8.18세, 측절치 9.55, 8.99세, 견치 12.48, 11.60세, 제1소구치 12.30, 12.01세, 제2소구치 12.19, 12.26세, 제1대구치 912, 8.87세, 제2대구치 12.59, 12.45세 이었다. 치조골내의 교두점 위치는 치관형성 완료시까지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치근이 형성됨에 따라 빠르게 교합평면을 향해 이동하였고, 치근형성 완료단계(Rc)에서 다시 움직임 없이 정체되었다. 치근단의 위치는 치관형성 시작부터 치근 1/4 형성 시까지 일정한 위치에 유지되었으나, 그 후에 급격하게 교합면 쪽으로 이동하였고, 치근 3/4 형성시점부터 비교적 일정한 위치에 유지되었다. 치아의 석회화가 시작되는 초기의 치배 위치는 견치가 가장 하방에 위치하였으며, 그 다음이 제2소구치, 제1소구치, 측절치 제2대구치, 제1대구치 순이었고, 중절치가 가장 상방에 위치하였다.

  • PDF

A Retrospective Clinical Investigation of Delayed Eruption of Premolars in the Mandible

  • Sookyung Park;Hyuntae Kim;Ji-Soo Song;Teo Jeon Shin;Young-Jae Kim;Hong-Keun Hyun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69-482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options for the delayed eruption of mandibular premolars and identify the predictors of spontaneous eruption using panoramic radiography. The prevalence of delayed mandibular premolar eruption in this retrospective analysis, comprising 254 patients (aged 9 - 15 years), was 5.19%,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gender.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s were most affected (4.39%) compared to the first premolars (0.76%).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val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Among the treated mandibular premolars, primary molar-related lesions were identified as the leading cause (7.85%) of delayed tooth eruption. The treatment duration varied based on the Nolla stage, eruption stage, and treatment method. Teeth with Nolla stage 7 or lower had a treatment duration of 22.89 ± 11.96 months, whereas those with stage 8 or higher had a 15.02 ± 6.34 month duration. The deeper the tooth was located in the bone, the longer the treatment period became. The treatment duration varied depending on the treatment method, and statistic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treatment durations for affected mandibular premolars increased with the depth of impaction angle of inclination. In this study, the treatment duration for delayed eruptions varied depending on the Nolla stage, eruption stage, and treatment method. Variations in the impaction depth and inclination angle across various treatment approaches, as explored in this study, might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the selection of the most suitable management options for delayed tooth eruptions.

성장기 하악골 열성장 환자의 Berlin standard activator를 이용한 부정교합 치료: 증례보고 (Berlin standard activator in the treatment of growing patients with mandibular deficiency: Case report)

  • 이승엽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11호
    • /
    • pp.819-828
    • /
    • 2010
  • Activator is a removable functional appliance used for correcting the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in children with the mandibular deficiency. Berlin standard activator modified from Andresen activator has following characters; do not cover the palatal surface for tongue space, relief on lingual surface of mandibular incisors and resin capping 1/3-1/2 of crown height on mandibular incisors for preventing labioversion of mandibular incisors, L-hook between maxillary lateral incisor and canine for anterior high pull headgear, relief on mandibular posterior bite block for differential eruption of posterior teeth. Two cases presented here had a mandibular deficiency and slight maxillary protrusion. First case (an 11-year-old girl) treated with Berlin standard activator and anterior high pull headgear for 13 months followed by fixed orthodontic appliance for another 29 months. Second case (a 12-year-old boy) treated with Berlin standard activator for 6 months followed by fixed appliance for another 24 months. Treatment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agittal skeletal and occlusal relationship without premolar extraction. Mandibular condyles were concentric in TMJ [ossa, and masticatory muscle activities were normalized after treatment. In the retention period facial harmony and occlusal stability was maintained.

영구치의 치아크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ZE OF THE PERMANENT TEETH)

  • 백병주;박정렬;김재곤;이두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02-509
    • /
    • 2003
  • 전북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구강 검사를 시행하여 정상교합자로 판단되는 86명(남자 43명, 여자 43명, 평균나이 22.2세)의 석고모형을 채득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계측자내 오차는 순(협)설 치관 직경에서 상악 측절치가, 근원심 치관 직경에서는 상악 제 1대구치, 상악 제2대구치에서 다소 큰 값을 나타내었다. 평균 계측 오차는 순(협)설 치관 직경 측정은 0.051mm, 근원심 치관 직경 측정은 0.083mm 였다. 2. 좌우측 계측치 간의 차이는 순(협)설 치관 직경에서 평균 0.030mm, 근원심 치관 직경에서 평균 0.037mm를 보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좌우측 계측치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영구치의 순(협)설 및 근원심 치관 직경은 전체 영구치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컸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치아는 순(협)설 치관 직경에서 상악 측절치, 상악 견치, 상악 제2소구치, 상악 제1대구치 상악 제2대구치, 하악 중절치, 하악견치, 하악 제2소구치, 하악 제1대구치 등이었고, 근원심 치관 직경에서 상악 중절치, 상악견치, 하악 견치, 하악 제1대구치 등이었다. 4. 남녀의 성차가 가장 인정되는 치아는 순(협)설 치관 직경에서는 상악 측절치, 근원심 치관 직경에서는 하악 견치였다. 5. Crown index는 남녀간에 비슷한 값을 보였고, Crown module과 Crown area는 모든 값에서 남자의 계측치가 컸다. 순(설)측 치관 직경값과 근원심 치관 직경값의 곱으로 표현되는 Crown area는 상악 제 1소구치, 하악 측절치, 하악 제 1소구치, 하악 2제소구치, 하악 제2대구치를 제외한 모든 치아에서 남녀간 차이에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저염의 확산 폭이 약 10 km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해에 있어서 저염수는 남서풍에 의해서는 남동방향으로 그리고 북서풍에 의해서는 남서방향으로 퍼져나가는 양상을 보였다. 양쯔강에서 유출되는 평균적인 담수량에 의한 관성력과 조류의 힘만으로는 저염수가 제주도까지 도달하는 것은 힘들겠지만, 바람장과 북상하는 난류의 흐름이 합쳐질 때는 충분히 제주도 인근 해역까지 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수가 낮아지고, 소수 기회종의 우점도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의 표면양상이 관찰되었고, 군간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즉, 활성형 BR인 CS은 $C_{27}-BRs$, $C_{28}-BRs$의 생합성 과정뿐만 아니라 $C_{29}-BRs$의 생합성 과정을 통하여 생성되는 과정이 식물체내에 존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한 one-bottle 접착 시스템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 PDF

임플란트에 둘러싸인 채 압하된 치아의 자연회복: 증례보고 (Spontaneous Recovery of an Intruded Tooth Bounded by Implants: a Clinical Report)

  • 차민상;이양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4호
    • /
    • pp.399-406
    • /
    • 2013
  • 자연치아와 연결한 임플란트 수복물에서 종종 자연치아의 압하가 보고되곤 하지만 임플란트에 둘러싸인 자연치아의 압하에 대한 보고는 매우 드물다. 56세의 여성을 하악 우측 제1소구치는 임플란트로, 제 2소구치 치근은 포스트 수복 후 지르코니아로 각각 수복했다. 제 1대구치와 제 2대구치는 이미 임플란트로 수복되어 있었다. 기능 4개월 후 제 2소구치의 압하로 인한 대합치와의 간격이 분명히 관찰되었으나 불편감을 비롯한 이상증상은 없었다. 예후에 대한 자세한 설명 후 별다른 조치 없이 경과 관찰을 시작하였다. 3개월 후 치근단 방사선 사진상에서 원위치로의 치아 회복 시작이 관찰되었으며 다시 11개월이 경과한 후 치아의 추가 정출로 교합의 완전한 회복이 이루어졌다. 압하를 인지한지 2년 3개월째 관찰 중이다. 임플란트에 둘러싸인 자연치가 압하되고 저절로 회복되는 과정의 관찰을 통해 압하가 생기는 원인과 저절로 회복된 기전을 추정할 수 있었다.

Hypodontia and Hyperdontia of Permanent Teeth in Korean Schoolchildren

  • Moon Hyock-Soo;Cho Sun-Chul;Choung Pill-Hoon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9-27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hypodontia and hyperdontia of permanent teeth among Korean schoolchildren, and to compare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between Korea, other country, and other ethnic groups. The sample consisted of 346 girls aged 6.9~0.3 yr and 375 boys aged 6.8~0.4 yr on whom a panoramic radiograph was taken at Yeonchun-Gun community in Korea. The prevalence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third molars excluded) was 6.7% in boys and somewhat higher, 9.5% in girls, and 8.0% for both sexes combined. On the average, number of missing teeth per affected child was 1.9 teeth. The most commonly congenitally missing teeth were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32.7%), followed by the mandibular incisor (28.7%),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16.7%), and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10.2%). The prevalence of supernumerary teeth was 2.1 % in boys, 1.4% in girls, and 1.8% for both sexes combined. The most common supernumerary teeth were the mesiodens (76.9%), followed by the supernumerary premolar (23.1 %). The affected male-female ratio was 1.6: 1.0. The prevalence of congenital missing teeth in this study was similar to in studies of Japanese, Danish, American and German. The frequency of hyperdontia was lower in this study than in studies of Chinese children, Japanese and American.

  • PDF

Age Estimation Based on Mandibular Premolar and Molar Development: A Pilot Study

  • Roh, Byung-Yoon;Kim, Eui-Joo;Seo, In-Soo;Kim, Hyeong-Geon;Ryu, Hye-Won;Lee, Ju-Heon;Seo, Yo-Seob;Ryu, Ji-Won;Ahn, Jong-M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6권4호
    • /
    • pp.125-130
    • /
    • 2021
  • Purpose: The dental age estimation of children is performed using dental maturity. Postmortem missing of the anterior teeth or the distortion of image of the anterior teeth in panoramic radiographs can make it difficult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the anterior teeth. This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a new age estimation method based only on the developmental stage of mandibular posterior teeth.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panoramic radiographs of 650 subjects aged 3 to 15 years old. The dental developmental stages of the lower left first premolar, second premolar,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Demirjian's criteria. The intra-/inter-observer reliability was evaluated,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including the developmental stage of each tooth as an independent variable. Results: The intra-/inter-observer reliability was 0.9626 and 0.8877, respectively, and showed very high reproducibilit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for males and females, and the age calculation table was derived by obtaining the intercept and the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of each toot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of the age calculation method was 0.9634 for male and 0.9570 for female subjects, and the mean difference between chronological age and estimated dental age was -0.42 and -0.21,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pilot study evaluated the developmental stages of four lower posterior teeth in the Korean group according to Demirjian's criteria, and derived age estimation method. The accuracy was lower than when more teeth were used, but it will be useful to estimate age of children when the anterior teeth are difficult to accurately analy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