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dibular edentulous patient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3초

치조골 흡수가 심한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인상법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using mandibular suction denture with closed mouth technique: a clinical report)

  • 고창우;민병귀;양홍서;임현필;윤귀덕;신진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1호
    • /
    • pp.56-62
    • /
    • 2018
  • 총의치 제작을 위한 개구인상법은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특히 구강전정이 얕은 환자에서는 변연이 과연장되어 채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폐구인상법을 통한 총의치는 연하나 교합 시 의치상연 주위 전체를 가동 점막으로 봉쇄하여 의치상 내면에 일시적 음압이 형성되게 하여 의치의 유지와 안정을 높이도록 고안된 의치이다. 또한, 인상 채득 시 교합채득 및 묘기판을 이용한다면 악간관계 기록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통상적인 방법보다 환자의 내원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 증례는 구강전정이 얕아 하악 의치의 유지력이 떨어져 불편을 겪는 환자에서, 폐구인상법을 이용한 총의치로 수복한 증례이다.

심한 하악 치조제 흡수를 가진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한 증례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for severely atrophied mandible)

  • 최바다;김연주;이재훈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71-175
    • /
    • 2019
  • 치조제가 심하게 흡수된 하악의 정확한 해부학적 구조를 채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 경우 보다 정확한 인상을 채득하기 위하여 수정모형 제작법을 통한 기능 인상 채득이 추천된다. 이를 위해서는 양측에 2개의 임플란트 크라운을 이용하여 적절한 고정원을 얻을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임플란트 피개의치에서는 불가능하였던 수정모형 제작법을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하악의 치조제가 심하게 흡수된 80세 여환을 하악 양측 견치 부위의 임플란트 크라운을 지대치로 한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하여 수복하였다. 가철성 국소의치의 금속구조물을 이용하여 개인 트레이를 제작하고 수정모형 제작을 위한 이차 인상을 채득하였다. 환자는 앞선 2회의 피개의치 실패 후 제작된 최종 보철물에 만족하였다. 치료 초기에 행해진 피개의치 치료에서는 부정확한 인상법에 따른 부적절한 보철물로 인해 술자와 환자 모두 만족하지 못했지만, 2개의 임플란트를 적절한 고정원으로 이용함으로써 성공적인 수복이 가능하였다.

하악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하이브리드 보철물을 이용한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mandibular edentulous patient using implant hybrid prosthesis)

  • 김성빈;김성회;박영범;문홍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14-220
    • /
    • 2013
  •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보철 치료는 지지, 유지, 안정성, 발음 등의 측면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무치악 환자의 치료는 다양하며, 크게 가철성과 고정성으로 나눌 수 있다. 가철성 치료에는 임플란트 유지 및 지지 피개의치가 있으며, 고정성 보철치료에는 ceramo-metal 보철물과 임플란트 하이브리드 보철물(implant hybrid prosthesis)이있다. 치료계획의 수립은 잔존 치조제, 연조직, 악간 관계, 환자의 경제적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립해야 한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보철물은 고정성 치료를 통해 환자에게 적절한 교합력을 제공하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동시에 적절한 연조직의 회복을 통한 심미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증례는 73세 여환으로 상악 Kennedy Class I 부분 무치악과 하악 무치악 상태로 내원하였다. 상악에는 우측 견치부터 좌측 제1소구치까지 7개의 잔존치를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하악은 양측 측절치와 제1소구치 부위에 4개의 임플란트 고정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보철물로 최종 치료 진행하였으며 치료 후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하악골 부분절제술 시행한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보철 수복 증례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after hemimandiblectomy: Case report)

  • 이동훈;유동수;이종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39-45
    • /
    • 2015
  • 하악골 연속성의 상실은 하악 기능의 균형과 대칭에 영향을 주며, 하악의 움직임에 변화를 유발하고 절제된 부위로 잔존하악골을 편위시킨다. 또한 연하, 발음, 하악의 운동, 저작, 호흡과 같은 다른 부분에서도 기능이상을 나타낸다. 하악골의 일부가 결손된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외과적 재건에 이어 보철적 수복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BRONJ (Bisphosphonate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와 같은 전신적 질환을 가진 환자의 경우, 외과적 재건의 적용에 제한이 있게 되고 전적으로 보철적 수복에 의지하게 된다. 다양한 보철적 방법이 하악의 변위를 최소화하고 저작 효율과 기능 및 심미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시되었다. 가철성 국소의치로 치료 시, 입술, 뺨, 혀의 운동에 의해 측방 및 수평력이 발생하며 기능 인상을 통해 이를 최대한 줄여 주어야 한다. 또한, Twin occlusion을 사용하면 적절한 구순 및 협측의 지지를 얻으면서 교합관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증례보고에서는 하악골 결손 증례에서 중립대 인상 방법과 twin occlusion을 통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자유 착탈가능 임플란트 지대주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 수복증례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freely removable abutment in a fully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 오유경;정창모;윤미정;이소현;이현종;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58-66
    • /
    • 2020
  • 완전무치악환자의 보철 치료를 위한 방법 중에서 임플란트 지지 상부보철물을 서베이드 금관의 형태로 제작하여 국소의치의 지대치로 활용하는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RPD) 치료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 치료 방법에서 지대치로 사용되는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은 유지 형태에 따라 전통적으로 나사 유지형과 시멘트 유지형으로 분류되며 각각 장, 단점이 존재한다. 시멘트 제거, 수리의 어려움, 나사구멍(screw hole)으로 인한 비심미성 등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 새로운 유지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 시스템인 EZ crown system (Samwon DMP, Yangsan, Korea)이 소개되었다. 이 시스템은 fixture에 체결되는 나사 일체형의 특수 abutment와 니켈-티타늄 스프링과 지르코니아 볼이 포함된 cylinder 구조물을 microlocking 방식으로 연결하여 유지력을 얻는다. 이번 증례의 환자는 하악 피개의치의 지대치가 발거되어 새로운 의치를 제작하고 싶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 맞춤형의 진단 과정을 통해 전방부의 임플란트 서베이드 보철물을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를 계획하였다. 특히, 전통적인 방식의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들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EZ crown system을 적용한 임플란트 서베이드 보철물을 제작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하악 Milled Bar 임플란트 피개의치에서 12년 간의 임플란트 주변 치주조직 및 의치의 변화 (Changes in periodontal tissue and denture around the implants in the mandibular milled-bar implant overdenture: A 12-year follow-up)

  • 최현석;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55-62
    • /
    • 2021
  • 하악은 상악보다 지지 면적이 적고, 특히 전반적인 치조골 흡수가 진행된 환자에서는 혀와 하악골의 움직임으로 인해 통상적인 총의치의 경우 의치의 안정성과 저작 효율이 현저히 낮다. 이러한 환자에 있어 소수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는 유지력과 안정성이 높고 발음이나 저작력 면에서도 우수한 예지성 있는 치료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의 무치악, 하악의 전반적인 치조골 흡수를 보이는 환자에 있어 상악에는 총의치, 하악에는 4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milled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제작하였다. 이후 12년 동안 임플란트 주변의 치주조직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리 및 관찰하였고, 변화 사항 및 보철물의 정기적인 관리에 대해서 보고하고자 한다.

Comparison of 3D accuracy of three different digital intraoral scanners in full-arch implant impressions

  • Ozcan Akkal;Ismail Hakki Korkmaz;Funda Bayindir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5권4호
    • /
    • pp.179-188
    • /
    • 2023
  • PURPOSE. This in vitro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digital intraoral scanners in a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 with angled and parallel implant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6 implants were placed at angulations of 0°, 5°, 0°, 0°, 15°, and 0° in regions #36, #34, #32, #42, #44, and #46, respectively, in a completely edentulous mandibular polyurethane model. Then, the study model created by connecting a scan body on the implants was scanned using a model scanner, and a 3D reference model was obtained. Three different intraoral scanners were used for digital impressions (PS group, TR group, and CS group, n = 10 in each group). The distances and angles between the scan bodies in these measurement groups were measured. RESULTS. While the Primescan (PS) impression group had the highest accuracy with 38 ㎛, the values of 104 ㎛ and 171 ㎛ were obtained with Trios 4 IOSs (TR) and Carestream 3600 (CS), respectively (P = .001). The CS scanner constituted the impression group with the highest deviation in terms of accuracy. In terms of dimensional differences in the angle paramet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among the mean deviation angle values according to the scanners (P < .001). While the lowest angular deviation was obtained with the PS impression group with 0.185°, the values of 0.499° and 1.250° were obtained with TR and CS, respectivel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among the impression groups in terms of precision values (P > .05). CONCLUS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three digital impression groups upon comparing the impression accuracy. Implant angulation affected the impression accuracy of the digital impression groups. The most accurate impressions in terms of both distance and angle deviation were obtained with the PS impression group.

III급 악골 관계를 가진 상악 편악 무치악 환자의 수복 (A Case Report of Maxillary Complete Edentulous Patient with a Class III Jaw Relations)

  • 박미희;홍준원;최지하;이정준;박주미;송광엽;안승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4호
    • /
    • pp.431-436
    • /
    • 2009
  • 심한 치조골 흡수를 동반한 III급 악골 관계 환자의 총의치 제작의 경우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교합을 제공하는 치료계획을 세워야 한다. 불리한 치관 대 치근 비와 임상적 동요도가 관찰되는 하악 잔존치를 고정하여 사용함으로써 환자의 불편감을 줄이고 시간적,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편악 무치악 환자의 기능적인 하악 운동과 조화로운 총의치 균형 교합을 이루기 위해 T-Scan System을 이용하였다.

전치부 과개교합을 가진 상하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의 상악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와 하악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치료의 11년 경과관찰 증례 (Prosthetic treatment for patient with anterior overbite and partial edentulism using maxillary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PD and mandibular fixed prostheses: A 11-yr follow-up)

  • 최현석;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15-421
    • /
    • 2021
  • 소수 잔존치가 남아있거나 치주적으로 불리한 경우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의 생역학적 예후가 불분명하다. 이러한 경우,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PD)는 성공적인 치료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치료방법의 경우 지대치 간의 이차고정 효과가 있으며 응력의 방향이 수직적이고, 지대치 발치 시에 의치의 수리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에 비해 장점을 보인다. 본 증례에서는 전치부의 과개교합을 가진 상하악의 부분 무치악 환자에 있어 상악에는 이중관 의치, 하악에는 임플란트 및 고정성 보철치료가 시행되었다. 장기간 동안 경과관찰 및 유지관리 치료를 시행한 결과, 기능 및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구순구개열로 인한 심한 중안면부 성장부전환자에서 골신장술의 치험례 (DISTRACTION OSTEOGENESIS IN CASE OF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WITH SEVERE MAXILLARY DEFICIENCY)

  • 이백수;오정환;윤병욱;송상헌;류동목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1-135
    • /
    • 2003
  • Severe maxilla1y deficiency can be caused by cleft lip and palate(CLP), other craniofacial deformities, atrophy in the edentulous maxilla, and trauma. Patients with maxillary deficiency present a difficult treatment challenge. Traditionally, this skeletal deformity has been treated by Le Fort osteotomy, skeletal repositioning, and fixation with mini-plates and screws. The drawbacks of this method include a limited amount of anterior maxillary advancement often requiring simultaneous mandibular setback, the inability to create new bone, and minimal soft tissue adaptation to the new position, all of which increase the potential of relapse in case of large advancement. The alternative method of maxillary distraction osteogenesis offers promising results for successfully treatment of these patients while potentially minimizing the risk of relap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