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dibular dentition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인 반안면 왜소증 환자의 유치와 영구치 크기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primary and the permanent teeth dimension In korean hemifacial microsomia patients)

  • 장영일;양원식;남동석;김태우;백승학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3-52
    • /
    • 2000
  • 반안면 왜소증 (Hemifacial microsomia) 은 선천성 악안면기형 중 발생빈도가 두 번째로 높은 질환으로서, 상, 하악골 뿐만이 아니라 외이나 중이, 두개의 일부, 협부 연조직, 안면신경, 근육 등의 복합적인 부위를 침범하는 광범위한 선천성 기형으로서, 환자에 따라 그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성장에 따라 교합면 경사와 함께 이환 측으로 안면 비대칭의 정도가 점점 심화되는 특징을 가진다. 반안면 왜소증에서 치아와 관련된 증상으로는 치아 성숙도의 차이, 치아 수의 감소, 맹출지 연, 법랑질 저형성증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치아는 악골의 크기나 형태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발육하기 때문에, 반안면 왜소증 환자의 경우 치아 발육에서 변화가 발생되기 쉬울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인 편측성 반안면 왜소증 환자의 이환 측과 비이환 측에서 상, 하악 유치와 영구치의 크기와 형태 차이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였던 편측성 반안면 왜소증 환자 34명 (남자 18명, 여자 15명, 초진시 평균연령 5세 11개월)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각 치아별 근원심과 협설측 폭경 을 계측한 후,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paired t-test로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 하악 유치와 영구치의 이환 측과 비이환 측의 근원심 폭경 비교에서 이환 측의 하악 제 2 유구치와 하악 제1 영구 대구치가 비이환 측에 비하여 작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 이것은 하악 전치부와 제 1유구치의 근원심 폭경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과 연관지어볼 때, 이환측 하악의 최후방 구치에서 근원심 폭경 감소의 경향 (gradient of severity)이 크다고 할 수 있다. 2. 상, 하악 유치와 영구치의 이환 측과 비이환 측의 협설측 폭경 비교에서 모든 치아에서 통계학적 유의차를 볼 수 없었지만, 이환 측의 하악 유치와 영구치의 협설측 폭경이 비이환 측에 비하여 보상적으로 다소 큰 값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반안면 왜소증에 의하여 영향을 받은 하악골의 이한측 치아, 특히 최후방 구치, 의 크기와 형태 이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한국인에서의 혼합치열기 공간분석 (The prediction of the tooth size in the mixed dentition for Korean)

  • 문성환;김성오;유형석;최병재;최형준;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3-261
    • /
    • 2006
  • 이번 연구의 목적은 혼합치열기 아동에서 미맹출된 견치와 소구치의 크기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한국인에 맞는 방정식을 만들기 위함이다. 미맹출 치아의 크기를 예측하는 것은 혼합치열기 교정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미맹출된 견치와 소구치 크기를 예측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것이 모이어의 예측 표와 다나카와 존스턴의 방정식이 있다. 하지만 그것들은 백인을 위해서 제작된 것이고 치아 크기는 인종에 따라서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치아크기를 측정하여 하악 영구 절치의 크기 합과 견치 및 소구치의 크기 합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하고 회귀방정식을 이용해서 한국인에 맞는 예측표를 만들었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에 재학중인 178명의 한국 학생(남 108명, 여 70명, 평균연령 21.63)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영구치의 근원심 폭경을 석고모형상에서 calipers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성별간의 치아 크기는 차이가 있었다 (p<0.05). Correlation coefficient는 0.57에서 0.64의 범위였고, standard errors of the estimates는 여성에서 0.6으로써 남성보다 우수하였다. ${\gamma}^2$값은 0.27에서 0.4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 PDF

Treatment effects of mandibular total arch distalization using a ramal plate

  • Yu, Jonghan;Park, Jae Hyun;Bayome, Mohamed;Kim, Sungkon;Kook, Yoon-Ah;Kim, Yoonji;Kim, Chang-Hye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12-219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reatment effects after distalization of the mandibular dentition using ramal plates through lateral cephalograms. Methods: Pre- and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grams and dental casts of 22 adult patients (11 males and 11 females; mean age, $23.9{\pm}5.52years$) who received ramal plates for mandibular molar distalization were analyzed. The treatment effects and amount of distalization of the mandibular molars were calculated and test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 < 0.001. Results: The mandibular first molar distalization at the crown and root were 2.10 mm (p < 0.001) and 0.81 mm (p = 0.011), respectively. In the evaluation of skeletal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Wits appraisal (p < 0.001). In the evaluation of the soft tissue,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upper lip position, but the lower lips showed a significant retraction of 2.2 mm (p < 0.001). Conclusions: The mandibular molars showed a significant amount of distalization accompanied by limited extrusion and mesiobuccal rotation of the crowns. A ramal plate may be a viable device for mandibular total arch distalization in Class III patients who are reluctant to undergo orthognathic surgery.

상하악 동시 악교정술시 안정성에 관한 연구;[Ⅰ] 강선 고정에 의한 방법 (STABILITY OF SIMULTANEOUS MAXILLARY AND MANDIBULAR SURGERY;[Ⅰ]Wire osteosynthesis)

  • 김여갑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2권2호
    • /
    • pp.9-20
    • /
    • 1990
  • A series of 19 cases with maxillary hyperplasia and mandibular retrognathia were operated on by simultaneous superior repositioning of the maxilla after Le Fort I osteotomy and anterior repositioning of the mandible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ies with or without osteotomy of the inferior border of the mandible. These were evaluated by retrospective cephalometric and computer analysis for the longitudinal skeletal and dental changes for an average of 17.1 months after surgery. For stabilization of the osteotomized segments, the authors used wire osteosynthesis by means of bilateral infraorbital and zygomatic buttress suspension wire at the maxilla, and direct interosseous wire at the split segments of the mandibular rami. Results show generally good stability after simultaneous maxillary and mandibular surgery with wire osteosynthesis, and a minimal to moderate tendency toward skeletal and dental relapse. This article is a preliminary study to defy the efficiency of the wire osteosynthesis (wo)compared with rigid internal fixation (RIF) for simultaneous maxillary and mandibular surgery. 1. The vertical relapse rate of the A point after superior repositioning of the maxilla is 2.2%. 2. The horizontal relapse rate of the B point after advancement of the mandible is 18.3%. 3. The condyle is distracted inferiorly and slightly posteriorly at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4. At the long term follow up examination, the condyle presents tendency of return to the preoperative position. 5. Condylar segment angle is decreased at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and at the long term follow up evaluation, the angle is increased. 6. Gonial angle is increased at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and then is decreased at the long term follow up evaluation. 7. The dentition is satisfactory with acceptable movement at the long term follow up evaluation. 8. At the mandibular free body analysis, genioplasty shows good stability. 9. Wire osteosynthesis provides excellent stabilization for the simultaneous maxillary and mandibular surgery.

  • PDF

아동의 부착치은 폭경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IN CHILDREN)

  • 유인아;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2-134
    • /
    • 2000
  • 각화치은, 부착치은의 폭경, 치은열구의 깊이에 대해 성인에서는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아동에서의 연구는 드물었기 때문에, 유치열기, 혼합치열기 및 영구치열기의 모든 치아에 대하여 아동의 협측 각화치은 및 부착치은의 폭경과 치은열구 깊이에 대한 정상치를 구하고, 악골의 발육 및 치아의 맹출과의 관련성을 고찰하며, 점막치은 문제의 발현빈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유치열의 부착치은 폭경은 상악 유측절치 및 유견치에서 각각 3.50mm, 3.55mm로 최대값을, 하악 제1유구치에서 1.34mm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영구치열의 경우에는 상악 측절치에서 3.00mm로 최대값을, 하악 제1소구치에서 0.55mm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상하악 동명치아 비교시 상악 치아가 하악 치아보다 더 큰 값을 나타내었고, 남녀간 차이에는 특별한 규칙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2. 연령증가에 따른 부착치은 폭경의 변화 양상은 유치열의 경우 유견치, 제1유구치, 제2유구치에서 6세부터 증가하였다. 영구치의 경우 남자에서는 하악 중절치와 상악 제 1대구치의 측정값만이 연령에 따른 증가 추세를 나타냈으나(p<0.05), 여자에서는 상하악 중절치 측절치 및 상악 제1대구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각화치은 폭경의 증가 추세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5). 3. 치아교대기에서 부착치은 폭경의 차이는 남자 상악 중절치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유치에서의 측정값이 영구치에서의 측정값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5). 4. 6제부터 12세까지는 각화치은의 폭경과 치은열구의 깊이는 대부분 유치 초기값보다 그 계승영구치 최종값이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p<0.05), 부착치은의 폭경에서는 유치 초기와 그 계승영구치 최종값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점막치은 문제 발현 빈도는 남녀에 상관없이 유치열은 상하악 제 1유구치가, 영구치열은 상하악 모두 제 1소구치가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유치에서보다 그 대응 계승영구치에서 그 빈도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연령증가에 따라 점막치은 문제의 발현 빈도는 유치열, 영구치열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하악 제1유구치, 하악 영구 견치, 제1, 제2소구치의 경우 연령의 증가와 상관없이 비슷하게 유지되거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Growth observation and orthodontic treatment of a hemifacial microsomia patient treated with distraction osteogenesis

  • Chung, Nam Hyung;Yang, So Jin;Kang, Jae Yoen;Jeon, Young-Mi;Kim, Jong Ghee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6-144
    • /
    • 2020
  • Hemifacial microsomia (HFM) patients may experience emotional withdrawal during their growth period due to their abnormal facial appearance. Distraction osteogenesis at an early age to improve their appearance can encourage these patients. Some abnormalities of the affected side can be overcome by distraction osteogenesis at an early age. However, differences in the growth rate between the affected and unaffected sides during the rest of the growth period are inevitabl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HFM. Therefore, re-evaluation should be performed after completion of growth in order to achieve stable occlusion through either orthognathic surgery or camouflage orthodontic treatment. An eight-year-old patient visited the clinic exhibiting features of HFM with slight mandibular involvement. He received phase I treatment with distraction osteogenesis and a functional appliance. Distraction osteogenesis was performed at the right ramus, which resulted in an open bite at the right posterior dentition. After distraction osteogenesis, a functional appliance and partial fixed appliance were used to achieve extrusion of the affected posterior dentition and settlement of the occlusion adjustment on the unaffected posterior dentition. The patient visited the clinic regularly for follow-up assessments, and at the age of 20 years, he showed facial asymmetry of the mandible, which had deviated to the right side. He received orthodontic treatment to improve the occlusion of his posterior dentition after the growth period. Without orthognathic surgery, stable occlusion and a satisfactory facial appearance were obtained through camouflage orthodontic treatment.

위치부정맹출(位置不正萌出)에 관(關)한 상하악골(上下顎骨)의 비교관찰(比較觀察) 증례(症例)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ECTOPIC ERUPTION BETWEEN MAXILLA AND MANDIBLE : REPORT OF CASE)

  • 손동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1-24
    • /
    • 1981
  • The author observed a case of ectopic erupted maxillary second premolars and impacted mandibular second premolars due to premature loss of the primary second molars. The treatments were done as follows: 1. In the maxilla, the teeth arrangement problem was corrected with removal of the ectopic erupted second premolars. 2. In the mandible, normal dentition was established with surgical removal of the left second premolar and removal of the permanent first molar in right side combined by orthodontic therapy.

  • PDF

한국인 아동의 치궁발육에 관한 고찰 (치궁주위경) (THE STUDIES ON DENTAL ARCH GROWTH IN KOREAN CHILDREN (Arch Circumference))

  • 손동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16
    • /
    • 198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arch circumferences during the deciduous dentition period. 600 stone models of maxillary and mandibular arches obtained from the children aged 3,4, or 5 years were under measurement. 1. Arch circumferences increase with age both in males and in females. 2. Arch circumferences of males are longer than females at the age of 4 and 5, but no notable differences at the age of 3. 3. Arch circumferences of upper arches are longer than those of lower arches.

  • PDF

하악 제3대구치의 X-선학적 연구 (RADIOLOGRAPHIC STUDY OF MANDIBULAR THIRD MOLARS)

  • 안형규
    • 치과방사선
    • /
    • 제16권1호
    • /
    • pp.19-24
    • /
    • 1986
  • The author performed radiographical analysis of the third molar dentition and characteristic relation to anatomical oral structure. For this purpose 506 orthopantomagraph film, male 283cases and female 223 cases, aged from 15 to 30 years were evaluated by means of Winter's classification in conjunction with some other methods. Through the study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eruption of(equation omitted) were found in 229 cases followed by 61 cases of(equation omitted) and 45 cases showed no evidence of eruption. 2. Th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relation of ramus to distal portion of the 2nd molar revealed class Ⅱ, 460 cases (61.8%) and 182 cases (24.5%) were class Ⅲ. 3. Parallelism between long axis of mandibular third molar and the second molar were found in 302 cases (40.8%) and mesial inclination of the third molar were 280 cases (37.6%). 4. Average inclination degree among these cases showed 138.62±12.5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