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ager trust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초

프로젝트 상급자 특성이 프로젝트관리자의 보고 성향과 시스템 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ior Managers' Characteristics on Project Manager's Reporting Tendencies and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Performance)

  • 장시영;오만석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9권2호
    • /
    • pp.149-179
    • /
    • 2012
  • This study explores the reporting tendencies of project managers when sending a status reports to their respective senior managers in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project. It also examines the effect of selective reporting on report quality and systems development performance. The research model is proposed based on literature survey as well as key points from Iacovou et al. [2009] which is an extension of selective reporting in information systems project. Analysis of responses from 257 project managers in information systems industry indicates that pessimistic reporting by project managers has negative effect on both report quality (mediator variable) and systems development performance, while optimistic reporting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systems development performance. The CEO interest has an impact on the senior manager's power, which in turn leads to optimistic reporting by project managers. The senior manager's character has an impact on the senior manager's leadership, which in turn leads to pessimistic reporting. No direct relationship exists either between CEO interest and optimistic reporting or between senior manager's character and pessimistic reporting. In addition, trust toward the senior managers is significantly related to pessimistic reporting. Finally, report tendencies are also found to be affected by the active/passive characteristics of project managers.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유형별 행동특성과 신뢰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iddle Manag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by Leadership Style and Followers' Trust)

  • 정기산;김성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9권2호
    • /
    • pp.247-262
    • /
    • 200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followers's perception of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middle managers' leadership sty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manag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by leadership style and followers' trust in middle manag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officials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of Korea in September, 2001. A total of 215 questionnaires out of 232 distributed were collected and 211 valid ones analyzed. The result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n the leadership styles of the middle managers of RDA, the perception points of the staffs of offices/divisions were 3.56 points in servant leadership style, 3.48 points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 and 3.51 in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 from the possible 5.0 points scale. Second, the mean point of the trust level of the staff to the middle managers was 3.64 points indicating that the directors in general tried to treat the staff of offices/divisions with equitably and to communicate with them openly.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ust of followers and several variables showed that the subordinat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ervant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s on the trust. Especially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contingent rewards' were highly correlated.

  • PDF

글로벌 리딩 기업의 공급사슬관리가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량과 지속가능 성과공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pply Chain Management on Project Manager's Capability and Sustainable Benefit Sharing in Global Leading Companies)

  • 박주경;이설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548-560
    • /
    • 2018
  • 본 연구는 글로벌 리딩 기업의 공급사슬관리(SCM)가 프로젝트 관리자(PM)의 역량과 지속가능 성과공유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는다. 연구방법은 설문지에 의한 실증조사방법으로 조사 후 통계분석 방법을 통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SCM 기업의 PM 4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글로벌 리딩 기업에서의 SCM의 몰입과 비전 및 목표공유가 높을수록 PM의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PM역량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구축과 비전 및 목표공유가 높을수록 지속가능성과 성과공유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유용성을 지지해 주었다. 반면 정보공유와 신뢰구축은 PM의 역량을 높이는데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내 기각되었다. 이는 SCM에서 단순구성원의 정보공유나 신뢰구축만으로는 PM의 역량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즉, 글로벌 리딩 기업에서의 SCM은 몰입과 비전 및 목표공유가 높을수록 PM의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PM역량이 촉진되고 또한, 신뢰구축과 비전 및 목표공유가 높을수록 지속가능성과 성과공유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변수의 유용성을 지지해 주었다. 반면 정보공유와 신뢰구축은 PM의 역량을 높이는데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기각돼 이는, SCM에서 단순구성원의 정보공유나 신뢰구축만으로는 PM의 역량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특급호텔 서비스종사원의 조직적 시민행동과 역할외적 행위가 고객의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Service Quality as External Effectiveness of Contact Employees for Deluxe Hotel in Seoul)

  • 박정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15-225
    • /
    • 2018
  • 본 연구는 특급호텔의 종사원의 조직적 시민행동과 역할외적 서비스가 고객이 느끼는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특급호텔 호텔경영자와 중견 간부들에게 새로운 대 고객서비스를 개발하는데 중요한 역할과 활용을 제시한다. 본 연구 구체적 결과는 고객과 접촉하는 종사원의 조직적 시민행동과 역할외적인 서비스가 고객에게 믿음과 신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유의한 의미를 발견하였다. 제시된 가설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호텔이 대 고객서비스의 고객관계 형성에 종업원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기대하며 올바른 서비스 활동을 지원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기를 기대한다.

Internet of Things (IoT) Framework for Granting Trust among Objects

  • Suryani, Vera;Sulistyo, Selo;Widyawan, Widyawa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3권6호
    • /
    • pp.1613-1627
    • /
    • 2017
  • The concept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enables physical objects or things to be virtually accessible for both consuming and providing services. Undue access from irresponsible activities becomes an interesting issue to address. Maintenance of data integrity and privacy of objects is important from the perspective of security. Privacy can be achieved through various techniques: password authentication, cryptography, and the use of mathematical models to assess the level of security of other objects. Individual methods like these are les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ecurity aspect. Comprehensive security schemes such as the use of frameworks are considered better, regardless of the framework model used, whether centralized, semi-centralized, or distributed on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emi-centralized security framework that aims to improve privacy in IoT using the parameters of trust and reputation. A new algorithm to elect a reputation coordinator, i.e., ConTrust Manager is proposed in this framework. This framework allows each object to determine other objects that are considered trusted before the communication process is implemented. Evaluation of the proposed framework was done through simulation, which shows that the framework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for improving security in the IoT.

안경원의 관계마케팅 영향요인 (Analysis of causal factors in the relationship marketing for optical stores)

  • 한숙영;김태훈;성아영;김덕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5-220
    • /
    • 2005
  • 2000 년대를 맞이하면서 마케팅의 이론과 사례에서 중요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반해 본 연구는 안경원의 관계마케팅 영향요인에 관해 주목하여 경영자의 적극적인 고객과의 관계를 개선하려는데 목적을 두고 관계마케팅 요인들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관계의 질 구성 요소를 신뢰, 만족, 몰입 등의 세 요소로 정의하고 안경원 특성인 상품/서비스, 가격, 물리적 편의성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등의 관계마케팅 요인들의 관계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안경사 특성인 지식정보, 호감도, 접촉빈도 그리고 불만해소능력들의 관계마케팅 요인들이 관계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이러한 관계의 질이 재구매 의도와 구전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안경원의 특성은 신뢰와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마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만족에는 그다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원 특성은 만족에 영향을 주기 보다는 고객이 신뢰나 몰입할 수 있는 요인들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상품/서비스, 가격, 물리적 편의성, 커뮤니케이션의 요인들을 좀 더 적극적으로 고객 지향적으로 개선해나가야 할 것이다. 안경원에서의 가격이나 커뮤니케이션 구조가 상당히 전 근대적인 사고와 체계로 이루어져 있어 고객에게 만족이나 신뢰, 몰입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안경사 특성은 신뢰나 몰입보다는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의 질은 대부분 관계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원에서 관계마케팅은 기존 고객과의 관계를 우호적으로 형성하여 고객에게 안경원 특성상, 고객에게 만족의 영향을 줄 수 있도록 가격구조와 커뮤니케이션 개발에 힘써야 하겠으며, 안경사 특성상으로는 보다 신뢰와 몰입을 가질 수 있도록 고객과의 관계를 옹호 또는 파트너쉽으로 동반자적 관계를 형성 유지하여야 하겠다.

  • PDF

스타벅스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고객의 브랜드신뢰도, 브랜드애착, 재방문의사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rand identity of starbucks coffee speciality store on brand trust of customers, brand attachment, revisit inten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 이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159-16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고객의 브랜드신뢰도, 브랜드애착, 재방문의사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342부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 사용하였고, 연구 결과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브랜드신뢰도에 정(+)적인 영향이 검증되었다. 또한 브랜드신뢰도는 브랜드애착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브랜드에 대한 신뢰 구축의 정도에 따라 브랜드에 대한 애착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애착은 재방문의사에 정(+)적인 영향과 구전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적절한 구축은 재구매의사와 구전의도로 이어져 고정고객 확보로 연결되어 브랜드 수익 창출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커피 브랜드의 경영자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적절한 구축과 마케팅적 전략 방향을 설정해야 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mpact of ITSM Military Service Quality and Value on Service Trust

  • Woo, Hanchul;Lee, Sangdo;Huh, Jun-Ho;Jeong, Sukjae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7권1호
    • /
    • pp.55-72
    • /
    • 2020
  • As the IT service environment grows, it is critical in terms of IT service quality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failures due to changes in applications and to diagnose and recover in a short period of time how failure will affect the business. Thus,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DAPA) has been building and operating ITSMs to implement IT service management in a leading manner.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Management (ITSM) is divided into events, obstacles, changes, versions and setup management to ensure flexibility and stability in service delivery. It is also operated separately from service level, availability, capacity, financial and IT service continuity management to ensure service quality and cost efficiency. Based on ITSM military service history, this study looks at the impact of quality of service on value, satisfaction, and tru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highly valuable for future ITSM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현대의 고도화, 자동화된 시스템이 파생한 휴먼에러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한 리스크 대응전략 설정 (A Study on Countermeasure Strategy on Risk of Human Errors driven by Advanced and Automated Systems Through Consideration of Related Theories)

  • 신인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6-92
    • /
    • 2014
  • This paper provides an integrated view on human and system interaction in advanced and automated systems, which adopting computerized multi-functional artifacts and complicated organizations, such as nuclear power plants, chemical plants, steel and semi-conduct manufacturing system. As current systems have advanced with various automated equipments but human operators from various organizations are involved in the systems, system safety still remains uncertain. Especially, a human operator plays an important role at the time of critical conditions that can lead to catastrophic accidents. The knowledge on human error helps a risk manager as well as a designer to create and control a more credible system. Several human error theories were reviewed and adopted for forming the integrated perspective: gulf of execution and evaluation; risk homeostasis; the ironies of automation; trust in automation; design affordance; distributed cognition; situation awareness; and plan delegation theory. The integrated perspective embraces human error theories within three levels of human-system interactions such as affordance level, psychological logic level and trust level. This paper argued that risk management process should dealt with human errors by providing (1) reasoning improvement; (2) support to situation awareness of operators; and (3) continuous monitoring on harmonization of human system interaction. This approach may help people to understand risk of human-system interaction failure characteristics and their countermeasures.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와 가맹사업자간 상생을 위한 지원활동이 동적신뢰를 통해 경영성과 및 재계약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upporting Activities for Win-win Partnership Between Franchisees and Franchisers on Re-contract Inten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Dynamic Trust)

  • 이명진;이상원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4호
    • /
    • pp.245-26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프랜차이즈 가맹점들을 대상으로 가맹본부의 지원활동이 가맹사업자간 가변적인 신뢰, 즉 동태적 신뢰를 통한 가맹본부와 재계약 의도 및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랜차이즈 사업자간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을 재무적 지원활동과 비재무적 지원활동으로 구분하고, 거래관계에서 발생가능한 기회주의적 행동으로 인해 가변적으로 변화하는 신뢰 개념을 정의하고 있는 동태적 신뢰개념의 유형인 과도기적 신뢰, 계산기반 신뢰, 관계기반 신뢰 및 균형기반 신뢰를 적용하여 사업자간 재계약과 경영성과(재무적 성과 및 비재무적 성과)와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사업주 및 관리자 급을 대상으로 조사원이 직접 방문하여 설문 목적을 설명하고 직접 기입식으로 진행하였다. 분석에는 총 348부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재무적 지원활동은 과도기적 신뢰, 계산적 신뢰 및 균형적 신뢰에서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재무적 지원활동은 계산적 신뢰, 관계적 신뢰 및 균형적 신뢰에서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도기적 신뢰에서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태적 신뢰가 재계약 유도에 미치는 관계균형기반 신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동태적 신뢰와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는 재무적 성과에서는 과도기적 신뢰와 관계기반 신뢰가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비재무적 성과에는 관계적 신뢰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가 검증되었다. 또한 경영성과와 재계약의도와의 관계에서는 비재무적 성과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가 검증되었다. 즉, 프렌차이즈 이해관계자 간의 상생을 위한 재무적 및 비재무적 활동은 동태적 신뢰형성과 함께, 경영성과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관계유지와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상생협력을 위한 가맹본부와 가맹점 간 집중가능 한 활동을 통해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프랜차이즈 산업과 같이 계약기반의 거래 특정적 관계로 계약이행에 대한 이해관계, 계약유지에 대한 이해관계 등 거래상 위험과 상호의존성에 따라 가변적으로 상황에서 형성되는 신뢰수준 구축을 위한 활동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처럼, 프랜차이즈 산업의 지속적인 상생시스템 구축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관계형성뿐만 아니라 가맹사업자의 경영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함으로써 프랜차이즈 산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