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ware Analysis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6초

행위 그래프 기반의 변종 악성코드 탐지 (Metamorphic Malware Detection using Subgraph Matching)

  • 권종훈;이제현;정현철;이희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7-47
    • /
    • 2011
  • 네트워크 및 컴퓨터의 발전에 따라 악성코드 역시 폭발적인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새로운 악성코드의 출현과 더불어 기존의 악성코드를 이용한 변종 역시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실행압축 기술과 코드 난독화를 이용한 변종들은 제작이 쉬울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시그너쳐 혹은 구문적 특징을 변조할 수 있어, 악성코드 제작자들이 널리 사용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변종 및 신종 악성코드를 빠르게 탐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행위 그래프 분석을 통한 악성코드 모듈별 유사도 분석 기법을 제안한다. 우리는 우선 악성코드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2,400개 이상의 API 들을 분석하여 총 128개의 행위로 추상화 하였다. 또한 동적 분석을 통해 악성코드들의 API 호출 순서를 추상화된 그래프로 변환하고 부분 그래프들을 추출하여, 악성코드가 가진 모든 행위 부분 집합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추출된 부분 집합들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해당 악성코드들이 얼마나 유사한지를 분석하였다. 실험에서는 변종 을 포함한 실제 악성코드 273개를 이용하였으며, 총 10,100개의 분석결과를 추출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행위 그래프를 이용하여 변종 악성코드가 모두 탐지 가능함을 보였으며, 서로 다른 악성코드들 간에 공유되는 행위 모델 역시 분석할 수 있었다.

메모리 분석 우회 기법과 커널 변조 탐지 연구 (A study on Memory Analysis Bypass Technique and Kernel Tampering Detection)

  • 이한얼;김휘강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661-674
    • /
    • 2021
  • 커널을 변조하는 루트킷과 같은 악성코드가 만약 메모리 분석을 회피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추가하게 될 경우, 분석이 어려워지거나 불가능하게 되면서 분석가의 판단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고도화된 커널 변조를 통해 탐지를 우회하는 루트킷과 같은 악성코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격자의 관점에서 윈도우 커널에서 사용되는 주요 구조체를 분석하고, 커널 객체를 변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여 메모리 덤프 파일에 변조를 진행하였다. 변조 결과 널리 사용되는 메모리 분석 도구에서 탐지가 되지 않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후 분석가의 관점에서 변조 저항성의 개념을 사용하여 변조를 탐지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만들어 기존 메모리 분석 도구에서 탐지되지 않는 영역에 대해 탐지 가능함을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선제적으로 커널 영역에 대해 변조를 시도하고 정밀 분석이 가능하도록 인사이트를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판단된다. 하지만 정밀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필요한 탐지 규칙을 수동으로 생성해야 한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악성코드의 이미지 시각화 탐지 기법을 적용한 온라인 게임상에서의 이탈 유저 탐지 모델 (Using Image Visualization Based Malware Detection Techniques for Customer Churn Prediction in Online Games)

  • 임하빈;김휘강;김승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1431-1439
    • /
    • 2017
  • 보안 분야에서 악성코드나 이상 행위를 탐지하기 위한 보안 로그의 분석은 매우 중요하며, 악성코드를 탐지하기 위한 이미지 시각화 분석 기술은 많은 선행 연구를 통해 논의되어져 왔다. 이러한 분석 기술은 온라인 게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최근 온라인 게임에서 악성코드나 게임 봇, 매크로 도구 등의 악용 사례가 증가하므로 인해 정상적으로 게임을 이용하려는 유저들의 이탈이 늘어나는 추세로 서비스의 운영자가 제시간에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않을 경우 게임 산업 자체가 무너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로그 파일을 PNG 이미지로 변환하는 방식을 사용한 새로운 이탈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이미지 변환을 통해 기존의 로그 크기에 비해 52,849배 경량화된 분석이 가능하며 특성 분석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은 방식으로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켰다. 모델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서 엔씨소프트의 블레이드 앤 소울 게임의 실제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분석 결과 97%의 높은 정확도로 잠재적인 이탈 유저를 예측할 수 있었다.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기반 악성코드 행위 탐지 기법 (Graph Database based Malware Behavior Detection Techniques)

  • 최도현;박중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55-63
    • /
    • 2021
  • 최근 악성코드 발생률은 약 수만 건이 넘는 추세로, 전부 탐지/대응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알려졌다. 본 연구는 새로운 악성코드 대응방법으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기반 다중행위 패턴 탐지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동적 분석기법과는 다른 새로운 그래프 모델을 설계하고, 대표적인 악성코드 패턴(프로세스, PE, 레지스트리 등)의 그래프 연관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을 적용했다. 패턴 검증 결과 기본 악성 패턴에 대한 행위 탐지와 기존 분석이 어려웠던 변종 공격행위(5단계 이상)의 탐지를 확인했다. 또한, 성능 분석결과 5단계 이상의 복잡한 패턴에 대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대비 약 9.84배 이상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악성코드 패킹유형 자동분류 기술 연구 (A Study on Automatic Classification Technique of Malware Packing Type)

  • 김수정;하지희;이태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119-1127
    • /
    • 2018
  • 대부분의 침해공격은 악성코드를 통해 발생하고 있으며, 침해공격으로 인한 피해는 사물인터넷/사이버 물리 시스템과 연결되면서 사이버공간에만 국한되지 않고 실생활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악성코드 동적분석, 정적분석기술들이 연구되었는데, 악성코드 동적분석들은 결과적인 악성행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었으나 VM 환경탐지 시 동작하지 않는 anti-VM 악성코드가 증가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고, 악성코드 정적분석기술들은 코드자체를 해석할 수 있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나 난독화, 패킹 기술들이 적용되어 분석가를 어렵게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적분석기술의 주요 장애물인 난독화 유형을 자동식별, 분류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하는 모델을 통해 알려진 패커나 알려지지 않은 패커와 상관없이 일정한 기준에 의해 모든 악성코드를 분류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악성코드 분류는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악성코드 정적 feature에 기반하여 머신러닝 기반 분석을 할 때, 전체 파일에 대해 학습 및 분석하는 방식보다 악성코드 유형별 학습 및 분석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이를 위해, PE구조에서 활용 가능한 feature에 대해 지도 학습 및 비지도 학습 방식의 모델을 설계했고, 98,000여개 샘플을 통해 결과 검증을 진행하였다.

자기회귀 이동평균 모델을 이용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탐지 기법 (Android Malware Detection Using Auto-Regressive Moving-Average Model)

  • 김환희;최미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8호
    • /
    • pp.1551-1559
    • /
    • 2015
  • 최근 스마트 기기가 PC와 유사한 성능을 보이면서, 사용자들은 메신저, SNS(Social Network Service), 은행 업무 등 PC에서 수행했던 업무들을 모바일 기기에서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같은 긍정적인 변화와 함께 스마트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공격으로, 보안 위협이 증가하는 부정적인 변화도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 부당한 과금을 비롯하여 최근에는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을 발생시키는 봇(Bot)으로 스마트 기기가 활용되면서 모바일 보안에 대한 위협이 증가하는 실정이다. 특히, 스마트 기기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의 악성코드를 통한 피해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의 악성코드를 탐지하기 위해 통계 기반 분석법 중 하나인 시계열 분석법을 제안한다. 시계열 모델 중 기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확한 예측값을 도출할 수 있는 자기회귀 이동평균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Z-Score를 이용한 비정상 데이터 후보군 추출을 통해서 전체 데이터와의 비교 없이 추출된 후보군과의 데이터 비교를 통해서 빠르게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악성코드 탐지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ResNet-Variational AutoEncoder기반 변종 악성코드 패밀리 분류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Variant Malware Family Based on ResNet-Variational AutoEncoder)

  • 이영전;한명묵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9
    • /
    • 2021
  • 전통적으로 대부분의 악성코드는 도메인 전문가에 의해 추출된 특징 정보를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특징 기반의 분석방식은 분석가의 역량에 의존적이며 기존의 악성코드를 변형한 변종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메인 전문가의 개입 없이도 변종 악성코드의 패밀리를 분류할 수 있는 ResNet-Variational AutoEncder 기반 변종 악성코드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Variational AutoEncoder 네트워크는 입력값으로 제공되는 훈련 데이터의 학습 과정에서 데이터의 특징을 잘 이해하며 정규 분포 내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Variational AutoEncoder의 학습 과정에서 잠재 변수를 추출을 통해 악성코드의 중요 특징을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훈련 데이터의 특징을 더욱 잘 학습하고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전이 학습을 수행했다. ImageNet Dataset으로 사전학습된 ResNet-152 모델의 학습 파라미터를 Encoder Network의 학습 파라미터로 전이했다. 전이학습을 수행한 ResNet-Variational AutoEncoder의 경우 기존 Variational AutoEncoder에 비해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학습의 효율성을 제공하였다. 한편 변종 악성코드 분류를 위한 방법으로는 앙상블 모델인 Stacking Classifier가 사용되었다. ResNet-VAE 모델의 Encoder Network로 추출한 변종 악성코드 특징 데이터를 바탕으로 Stacking Classifier를 학습한 결과 98.66%의 Accuracy와 98.68의 F1-Score를 얻을 수 있었다.

악성코드 자동 분석 시스템의 결과를 이용한 악성코드 분류 및 분석 (Malwar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Automated Malware Analysis System)

  • 나재찬;조영훈;윤종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90-491
    • /
    • 2014
  • 쿠쿠 샌드박스(Cuckoo Sandbox)는 가상머신을 이용해 악성코드를 자동으로 동적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이다. 우선 악성코드의 MD5값을 이용하여 VirusTotal을 이용해 종류를 분류하고, 쿠쿠 샌드박스로 악성코드 동적을 분석하여 결과파일을 이용해 악성코드에서 호출한 API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다양한 종류별 악성코드 그룹에 대해서 API빈도를 종합하고, 또한 다른 종류군의 악성코드 그룹과 API 빈도를 비교해 특정 종류의 악성코드 그룹에 대한 특징적인 API를 찾아내어 향후 이런 특징 API들을 이용해 악성코드의 종류를 자동으로 판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Automated Link Tracing for Classification of Malicious Websites in Malware Distribution Networks

  • Choi, Sang-Yong;Lim, Chang Gyoon;Kim, Yong-Mi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5권1호
    • /
    • pp.100-115
    • /
    • 2019
  • Malicious code distribution on the Internet is one of the most critical Internet-based threats and distribution technology has evolved to bypass detection systems. As a new defense against the detection bypass technology of malicious attackers, this study proposes the automated tracing of malicious websites in a malware distribution network (MDN). The proposed technology extracts automated links and classifies websites into malicious and normal websites based on link structure. Even if attackers use a new distribution technology, website classification is possible as long as the connections are established through automated links. The use of a real web-browser and proxy server enables an adequate response to attackers' perception of analysis environments and evasion technology and prevents analysis environments from being infected by malicious code. The validity and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for classification are verified using 20,000 links, 10,000 each from normal and malicious websites.

Novel Optimizer AdamW+ implementation in LSTM Model for DGA Detection

  • Awais Javed;Adnan Rashdi;Imran Rashid;Faisal Ami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1호
    • /
    • pp.133-141
    • /
    • 2023
  • This work take deeper analysis of Adaptive Moment Estimation (Adam) and Adam with Weight Decay (AdamW) implementation in real world text classification problem (DGA Malware Detection). AdamW is introduced by decoupling weight decay from L2 regularization and implemented as improved optimizer. This work introduces a novel implementation of AdamW variant as AdamW+ by further simplifying weight decay implementation in AdamW. DGA malware detection LSTM models results for Adam, AdamW and AdamW+ are evaluated on various DGA families/ groups as multiclass text classification. Proposed AdamW+ optimizer results has shown improvement in all standard performance metrics over Adam and AdamW. Analysis of outcome has shown that novel optimizer has outperformed both Adam and AdamW text classification based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