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lard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중서부 지방에서의 서식지 환경요인에 따른 월동 청둥오리(Anas platyrhynchos)의 주간행동 (Habitat Quality Factors and Diurnal Activity Patterns of Wintering Mallards(Anas platyrhynchos) in Central-West, Korea.)

  • 김현태;김광훈;문형태;조삼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1호
    • /
    • pp.9-14
    • /
    • 1997
  • Wintering behavior of mallards Anas platyrhynchos was studied from November 1995 to February 1996 at wintering habitats : Seosan reclaimed site, Oksan reservoir, and Kum river in Korea. The population of wintering mallards in maximum count was about 35, 000 at Sosan, 500 at Oksan and 1, 680 at Kum river, respectively. In Seosan area, mallards spent more time on water surface. In Kum river and Oksan reservoir, however, they spent more time in riversides. During the daylight hours, mallards spent more time in riversides and ground as the time passes by in the area. Behavioral patterns varied with habitat type, by days and months. Resting was a major time expenditure of mallards on water surface and riversides, and feeding occured occasionally on the ground. During the daytime, feeding and resting activities increased as time passed toward dusks However, time spendings for locmotion and comfort were decreased when it is close to the sun sets. Major disturbance factors within the habitats were identified the local traffics of humans, boats, aircrafts and motor vehicles. Among them, human was the most frequently affecting disturbance factor to the wintering mallards.

  • PDF

A Time Budget Study of Wintering Mallards on the Southern High Plains of Texas, USA

  • 이상돈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4호
    • /
    • pp.571-576
    • /
    • 1997
  • The playas of the Southern High Plains (SHP) of Texas, USA are an important habitat for over one million wintering waterfowl. However, the recent trend toward the modification of playas for agricultural use is threatening winter habitat of waterfowl in this region. Diurnal activity budgets of wintering mallards (Anas platyrhynchos) were conducted from 1 October to 31 March, 1983-1984, and 1984-1985) at three habitat types; steep-sided pits, terraced pits, and open lakes. All seven activity patterns (feeding, locomotion, resting, comfort, courtship, alert, and agonistic) were different (P<0.05) among the three habitat types for wintering mallards on the SHP of Texas. Terraced pits supported more feeding activity (27.8%) (P<0.001) than steep-sided pits (11.2%) or open lakes (2.6%) due to their abundance of natural seeds and aquatic invertebrates. Hens (17.5%) fed more than drakes (11.7%) (P<0.05). Locomotion (32.2%) and alert (2.8%) behavior across the three habitat types showed the highest level during the early morning (6:00-9:00 AM). Paired mallards rested more (37.9%) than unpaired mallards (25.8%) (P<0.05). Agonistic activity was highest (2.4%) in terraced pits throughout the season.

  • PDF

Monocrotophos poisoning in wild mallards (Anas platyrhynchos)

  • Shim, Hang-Sub;Kim, Hae-Sung;Woo, Jong-Tae;Kim, In-Seop;Jung, Hae-Sun;Song, Eun-Ah;Bark, Jun-Jo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45-550
    • /
    • 2007
  • The toxicity of organophosphate arises from disruption of the nervous system due to the inhibition of cholinesterase enzymes, leading to death. Six dead mallards were found at Ansung where is one of the most popular wintering sites for migratory birds in Korea, and requested for diagnosis to Gyeonggi Veterinary Service on January of 2007. Some examinations includ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could not find any evidence of specific disease condition. However, the contents of gastrointestinal tracts of the birds contained residues of monocrotophos ranged from 31.3ppm to 294.3ppm by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It can be supposed that monocroptophos was responsible for the death of mallards by this results.

병아리 및 청둥오리에 있어서 닭와포자충의 오오시스트 배설상황과 면역원성 (Oocyst Production and immunogenicity of Cryptosporidium baileyi in chickens and mallards)

  • 이재구;장병귀;박배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1호
    • /
    • pp.45-54
    • /
    • 1995
  • 한국산 Cryptosporidium baileyi를 2일령의 각 청둥오리와 병아리에 $2{\;}{\times}{\;}10^6$개의 오오시스트와 그 10배단계 희석계열을 $2{\;}{\times}{\;}10^2$까지 5단계를 만들어 경구접종시켜 오오시스트 배설상황과 여러 장기내 발육기의 분포상황을 조사하고나서 초감염내과 조류에 처음에 40 mg/30 g 그 24시간 후에 10 mg/30 g의 carrageenan을 복강내 투여하고 그 6시간 후에 다시 $2{\;}{\times}{\;}10^6$개의 오오시스트를 재차접종하여 면역원성을 조사하였다. 오오시스트 투여량이 많을수록 patent period가 길었고(27-30일간, 병아리: 10-18일간 청둥오리), 오오시스트 배설량도 많았으나(극기에 있어서 $6{\;}{\times}{\;}10^5-3.5{\;}{\times}{\;}10^6$, 병아리: $2{\;}{\times}{\;}10^5-4{\;}{\times}{\;}10^5$, 청둥오리) prepatent period는 짧았다(2-3일간. 병아리: 3-4일간, 청둥오리). 한편, 청둥오리에서는 $2{\;}{\times}{\;}10^3{\;}및{\;}2{\;}{\times}{\;}10^3$의 오오시스트 접종군에서는 오오시스트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오오시스트 경구접종 후 12일에 총배설강과 파브리시우스낭에서 다수의 발육기를 검출할 수 있었는데 병아리가 청둥오리보다 현저하였다. Carrageenan 투여군은 모두 대조군은 병아리에서 $2{\;}{\times}{\;}10^5{\;}및{\;}2{\;}{\times}{\;}10^3$, 그리고 청둥오리에서 이 밖에 $2{\;}{\times}{\;}10^4$의 오오시스트 투여군에서도 재차 접종후 4일에서 14일 및 5일에서 15일까지 분변으로부터 오오시스트가 다소 검출되었다 병아리 및 청둥오리에 있어서 재차접종 직전의 말초혈액내 대식세포수 및 복강내 대식세포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carrageenan 투여군이 현저하게 낮았다(P < 0.05) 병아리와 청둥오리는 Meblocker인 carrageenan을 투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원충의 재차감염이 미약하였다는 것은 이 원충의 면역원성이 극히 강력하였다는 것을 뜻한다.

  • PDF

논문 - 새만금 간척지역에 도래하는 조류 군집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Birds migrating to Seamangum Reclaimed Area)

  • 최정훈;최강원;박성근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76-86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waterbirds migrating to Seamangum area from 2002 to 2009. Total maximum count of waterbirds observed at Saemangum area was 686,337 individuals of 176 species. 158 species and 548,989 individuals were recorded on Mangyung Estuary and 158 species and 213,794 individuals were recorded on Dongjin Estuary. Dominance species were Baikal Teals Anas formosa (40.80%), Great Knots Calidris tenuirostris (18.03%), Mallards Anas platyrhynchos (11.67%) and Dunlins Calidris alpina(6.02%). Shorerbirds were declined and waterfowl were increased during survey periods. Natural monuments and endangered birds were 27 species.

  • PDF

청둥오리에서 Riemerella anatipestifer 감염 증례 (An outbreak of Riemerella anatipestifer infection in mallard ducks)

  • 이성효;임채웅;서석열;도홍기;노수일;이호일;임병무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7-262
    • /
    • 1999
  • Riemerella anatipestifer (RA) infection is a contagious disease of domestic ducks, turkey, and various other birds. In a flock of mallard ducklings, about 30% of the birds, 3 weeks old, showed lethergy, greenish diarrhea, tremor of head and neck, and died 2-3 days after signs appeared. Grossly, fibrinous exudates covered the heart and surface of the live. Microscopically, mononuclear cells and heterophils were primarily inflammatory cells in the exudate. These were also observed in the meninges in brain. Microbiologically, gram (-) short rod bipolar shaped bacteria were recovered on blood agar and agglutinated by antisera of R anatipestifer. Sulfamethoxasole/trimethoprim were administered and clinically effective. This case was a R anatipestifer infection caused fibrinous pericarditis, hepatitis and meningitis in mallards.

  • PDF

MS 발효 잔반사료가 청둥오리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Meat Quality of Mallard by Feeding of MS-Fermented Food Waste)

  • 임계택;이정채;정진형;정우진;김태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2-338
    • /
    • 2000
  • 본 연구는 대조구로서 일반배합사료에서 사육된 청둥오리와 처리구로서 일반배합사료에 MS 발효 잔반사료를 20% 또는 50%를 혼합하여 일정기간 사육한 후 사육효과를 알아보았고 이화학적 분석 및 아미노산과 지방산 분석 등을 통해 처리구에 따른 육질을 비교함으로서 MS 발효 잔반사료의 오리사료로서의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사육효과에 대한 결과로서 도체율 및 각 장기무게는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발생되지 않았으나,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처리구보다 대조구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P<0.05). 이화학적 분석으로서 보수성과 pH는 모든 처리구간에 있어서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육색에 대한 결과를 보면 명도($L{\ast}$)는 대조구가 20% 또는 50% MS 처리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고 (P<0.05), 적색도($a{\ast}$)에서는 각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p<0.05). 관능평가로서 냄새와 기호성에서 있어서는 각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0.05). 한편 각 처리구의 부위별 아미노산 분석에 있어서 다리고기의 경우는 20% MS 처리구가 가장 많은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가슴고기에 있어서는 대조구가 20% 또는 50% MS 처리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분석에 있어서 각 처리구별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대조구보다 MS 발효 잔반사료 처리구에 더 많은 함량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둥오리 사육에 있어서 시판 배합사료에 50% 수준까지 MS 발효 배합사료를 혼합급여하여도 성장 및 육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사료효율 측면에서 시판 배합사료에 비해 MS 발효 잔반사료 처리구가 더 낮게 나타났으나,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경제적 및 환경적 손실을 감안할 때 본 연구결과가 주는 의미는 크다고 여겨진다.

  • PDF

천수만에서 월동하는 조류군집과 먹이 자원과의 관계 (Wintering Bird Community in Cheonsu Bay and the Relationship with Food Resources)

  • 유승화;김인규;강태한;조해진;유재평;이시완;이한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01-308
    • /
    • 2008
  • 2006년 10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충청남도 태안 홍성군 및 서산시에 걸쳐있는 천수만의 간월호와 부남호에 서식하는 조류상과 분포 및 먹이량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총 142종 최대개체수 합계 362,797개체, 평균개체수 합계 84,818개체 조사되었다. 월동기 동안 초기와 말기를 제외한 전시기 안정적인 종수가 관찰되었으며, 개체수는 겨울 후반기로 갈수록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큰기러기 Anser fabalis, 가창오리 Anas formosa, 쇠기러기 Anser albifrons, 청둥오리 Anas, platyhynchos, 고방오리 Anas acuta였다. 큰기러기, 가창오리, 청둥오리, 고방오리는 지속적인 감소경향, 쇠기러기는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개체군 양상을 보였다. 간월호와 부남호간 종개체수, 종다양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조사시기와 종다양도, 개체수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또한, 각 서식지 별 군집지수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경우가 많았다. 대형추수기계와 소형추수기계간 낙곡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3배이상). 또한 볏짚을 수거하는 경우와 존치하는 경우 낙곡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3배이상). 잔존 낙곡량은 월동기 중반에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12월과 2월의 잔존 먹이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조류개체군의 수는 잔존 낙곡량과 강한 상호관계가 있었다.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200)를 이용한 청둥오리의 이동거리 및 행동권 연구 (Movements and Home-range of Mallards by GPS-Mobile based Telementary (WT-200) in Korea)

  • 강태한;김달호;조해진;신용운;이한수;서재화;황종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42-649
    • /
    • 2014
  • 청둥오리는 대표적인 한국내 월동 수조류로 넓은 농경지를 월동지로 이용한다. 한국의 중부지역에 위치한 만경강 하류지역에서 청둥오리 월동 행동권 및 월동지에서 이동거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1-2013년 월동기에 Cannon-net을 이용하여 포획된 청둥오리 7개체에 GPS-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를 부착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 분석은 GIS용 SHP 파일과 ArcGIS 9.0 Animal Movement Extension을 이용하였으며, 커널밀도측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 KDE)과 최소볼록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 MC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은 최소볼록다각형법(MCP)에 의해서 $118.8km^2$(SD=70.1, n=7) 이었으며, 커널밀도측정법(KDE)으로는 $60.0km^2$(KDE 90%), $23.0km^2$(KDE 70%) and $11.6km^2$(KDE 50%)이었다.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 부착지점으로부터 이동거리는 평균 19.4km이었으며, 최대이동거리는 33.2km, 최소이동거리는 9.4km이었다. GPS좌표가 획득된 정점간 거리는 평균 0.8km이었으며, 정점간 이동거리는 최소 6.5km에서 최대 19.7km이었다. 청둥오리는 월동기 동안 매우 짧은 거리를 이동하였으며, 월동지에서 수계 의존성이 매우 높은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