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ignant Tumor

검색결과 1,971건 처리시간 0.044초

종골에 발생한 원발성 골육종 - 1예 보고 - (Primary Ostoegenic Sarcoma on Calcaneus - One Case Report -)

  • 조덕연;윤형구;김재화;신동은;박형근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33-237
    • /
    • 2002
  • Osteogenic sarcoma is the most common primary malignant tumor of bone in which tumor cells form neoplastic osteoid or bone or both. Classic osteogenic sarcoma usually involves the metaphysis of the more rapidly growing long bones (distal femur, proximal tibia). Osteogenic sarcoma of the foot is rarely noted and only a few well documented cases have been reported. Osteogenic sarcoma of foot can clinically, radiographically, and histologically mimic several benign lesions and tumor-like lesions, so it sometimes leads to late diagnosis and delayed treatment. We experienced a case of primary osteogenic sarcoma on left calcaneus in 66-years-old female and report it with a review of references.

  • PDF

원발성 악성 기관 종양 3례 (Primary Malignant Tracheal Tumor : 3 Cases)

  • 고중화;전영명;신상준;주희재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37-147
    • /
    • 1997
  • The rarity of primary tumor of the trachea, which was recently estimated in a circumscribed population to be 2.7 new cases per million per year, explains the relatively limited experience that has been acquired even by major institutions. Although there may already by a high degree of airway obstruction, tracheal tumors are usually misdiagnosed as bronchial asthma or chronic bronchitis because of its nonspecific symptoms. Surgery is the treatment of choice. Recently, the authors experienced three cases of primary tracheal malignant tumors ; one case of mucoepidermoid carcinoma and two cases of adenoid cystic carcinoma. The authors report on these cases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for give help in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planing of tracheal tumor.

  • PDF

한국인에서 발생한 67례의 악성타액선종양에 대한 연구 (ANALYSIS OF 67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IN KOREAN POPULATION)

  • 배현경;여동헌;김선아;최미라;이재일;홍삼표;홍성두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2호
    • /
    • pp.139-142
    • /
    • 2007
  •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is rare neoplasm. In Korean population, retrospective study of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has not been performed. We analyzed 67 cases of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from 2001 to 2005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in Seoul, Korea. The mean age is 51.7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is 1:1.39. The most affected site is the palate. Histologically, the tumors were classified as adenoid cystic carcinoma(34.4%), mucoepidermoid carcinoma(31.3%), adenocarcinoma, NOS(11.9%), polymorphous low grade adenocarcinoma(3.0%), salivary duct carcionoma(6.0%), carcinoma ex pleomorphic adenoma(4.5%), myoepithelial carcinoma(4.5%), epithelial-myoepithelial carcinoma(1.5%), cyatadenocarcinoma(1.5%) and adenosquamous carcinoma(1.5%).

이하선 악성종양에 대한 방사선 치료의 효과 (Radiation Therapy in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 김원동;박찬일;김광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43-50
    • /
    • 1994
  • 1979년 3월부터 1989년 7월사이에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55명의 환자가 이하선에 생긴 악성종양으로 치료를 받았다. 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저자들은 후향성조사를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8명의 환자는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재발한 경우로 방사선 치료만 받았으며 나머지 47명에게는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추가하였다. 이 환자들의 중앙추적기간은 48개월이었다. 조직학적으로는 mucoepidermoid ca가 25명으로 제일 많았으며 malignant mixed tumor와 adenoid cystic ca가 각각 12명, 6명이었다. 모든 환자에 있어서 국소치유율은 10년에 65.7%였으며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합한 군이 방사선 단독 치료군보다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71.8% 대 28.6%). 조직학적 grade 및 종양의 크기, 임파절의 전이 여부가 국소치유율을 결정하는 요인이었으며 안면신경의 절제유무는 국소치유율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원격전이는 환자의 23.6%에서 일어났으며 주로 high grade 병변에서 폐를 침범하였다. 전체생존율은 10년에 72.2%였으며 5년이후에는 plateau를 이루었다. 무병생존율은 10년에 49.4%였으며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합한 군과 low grade 병변에서 좀 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이하선 악성종양의 치료에 있어서 이하선 절제술과 적절한 방사선치료를 병합함으로써 수술 혹은 방사선 단독 치료군보다 국소치유율의 향상 및 안면신경의 기능유지를 도모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격전이시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항암제의 개발이 시급하다 하겠다.

  • PDF

방사선 조사 없이 속발한 거대 세포종의 악성 전환 (Malignant Transformation of Giant Cell Tumor Not Associated with Radiotherapy)

  • 이상훈;오주한;유광현;서성욱;안준환;김한수;임수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2-19
    • /
    • 2002
  • 목적 : 거대 세포종이 방사선 조사 없이 악성 전환하는 것은 매우 드문 경우로 저자들이 경험한 4례를 분석하여, 흔하지 않은 악성 전환된 거대 세포종의 진단과 치료의 방침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9월부터 2001년 1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했던 거대 세포종 112례 중 방사선 조사 없이 악성화한 4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악성전환 후 평균 추시 기간은 2.4년(최저 1.3년, 최고 4년)이었다. 결과 : 거대 세포종의 진단 후 악성 전환 때까지의 기간은 평균 6.9년(최저 2.2년, 최고 13.5년)이었고, 근위 상완부 연부 조직, 근위 대퇴골, 원위 대퇴골, 근위 경골에 각각 1례씩 발생하였다. 3례에서는 골 육종으로, 1례에서는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으로 악성 전환이 일어났으며, 국소 재발은 1례, 폐 전이는 골 육종으로 악성 전환한 3례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결론 : 방사선 조사 없이 속발한 거대 세포종의 악성 전환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병리 조직의 철저한 채취가 매우 중요한 요소라 사료되며, 방사선 소견상 악성 전환이 의심될 때는 부적절한 절제술을 시행하기보다는 절개 생검을 먼저 시행한 후 치료 방침을 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유방 초음파 영상에서 질감 특성을 이용한 악성종양 분석 (Analysis of Malignant Tumor Using Texture Characteristics in Breast Ultrasonography)

  • 조진영;예수영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70-77
    • /
    • 2019
  • 조기 유방암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유방초음파 판독이 매우 중요하다. 초음파 검사는 초음파장비에 따라 화질의 차이가 심하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검사자의 경험과 숙련 정도에 따라 진단의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하여 객관적인 판단기준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LCM(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질감 특성을 분석하고 특징파라미터들을 추출하여 신경망분류기를 이용하여 유방암을 진단하였다. 유방초음파 영상은 정상 조직과 양성, 악성 종양으로 분류하여 질감 특성 파라미터 6가지를 추출하였다. 유방초음파검사로 진단된 정상 영상, 악성 및 양성종양 영상 각각 14증례를 대상으로 추출된 6개의 파라미터들을 적용하여 다층 퍼셉트론 신경망구조 역전파 학습방법으로 학습을 시켰다. 학습된 모델에 정상 유방 영상 51증례, 양성종양 영상 62증례, 악성종양 영상 74증례의 영상을 사용하여 분류한 결과 95.2%의 분류율을 나타내었다.

주타액선 종양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Investigations of Major Salivary Gland Tumors)

  • 김은서;김영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0-215
    • /
    • 2001
  • 저자들은 약 4년에 걸친 주타액선 종양에 대한 치료 경험을 통하여, 성공적인 치료를 위한 필요조건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즉 타액선 종양은 다양한 조직학적 특징과 임상 경과를 보이는 질환군이므로 수술 전 세침흡인생검 등에 의한 정확한 병리조직학적 진단의 뒷받침이 필수적이라는 점이다. 또한 악성 종양의 경우, 질병분류 및 병기설정 방식이 완전히 통일되어 있지 아니한 상황에서 특정 질환의 특정 병기에 한 가지 치료방법을 고집하기보다는 다양한 종류의 치료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데에 적극적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특히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적극적인 외과적 절제 및 수술 후 방사선 치료 등을 통하여 생존율을 높이는데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더 나아가 절개선 등 수술흔이 가지는 미용적 문제점 등도 고려하여 전체적인 치료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해야 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 PDF

이개 주변 악성종양의 광범위절제술 후 이개의 보존 2례 (Two Cases of Auricular Salvage after Wide Excision of Malignant Tumor at Periauricular Area)

  • 김결희;정철훈;장용준;이종욱;노영수;김창우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9-42
    • /
    • 2009
  • Wide excision for curative treatment of malignant tumor on periauricular area often leads to loss of the external ear. But the auricle has rich vascular supply, Conservation of auricular contour is possible through salvage and engineering of remained auricular tissue. We experienced two cases of auricular salvage after wide excision of malignant tumor. In the first case, we performed two-staged technique. In first step, we covered soft tissue defect on periauricualr area with the anterolateral thigh free flap and remained auricle was floating over the flap after split-thickness skin graft was applied on it's posterior raw surface because it's survival was not confirmed. Second step was reposition of remained auricule on the anterolateral thigh flap. In the second case, we packed in periauricular dead space and external auditory canal with temoporalis muscle and temporoparietal fascial flap and then covered the flap with split thickness skin graft. In these two cases, there were no recurrence of tumors and we obtained cosmetically & functionally satisfactory results.

구개골에 발생한 악성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의 증례보고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ON PALATE: A CASE REPORT)

  • 권민수;이현상;김현창;고승오;신효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0권3호
    • /
    • pp.228-233
    • /
    • 2004
  • Summary: The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MPNST) is an aggressive neoplasm and can either arise independently or result from malignant change in preexisting neurofibromatosis (von Recklinghausen's disease). Its histologic characteristics remain controversial, but currently it is believed that the schwann cell is the origin of the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s. MPNST is an uncommon neoplasm of the head and neck region, and its presentation in the oral cavity is quite rare. In this study, we report a patient with a rare case of a MPNST involving the maxilla. A case report: A 29-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a chief complaint of painless swelling with bleeding tendency on the left maxillary tuberosity area 2 months ago. Clinical examination showed a $5.0{\times}3.0cm^2$ sized, indurative swelling on the site. Conventional radiographs showed a relatively well-defined soft tissue mass involving the left maxillary sinus, and destruction of the anterior, posterolateral walls of the left maxillary sinus. Subtotal maxillectomy and split-thickness skin graft from thigh were undertaken. In histochem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ies, the specimen revealed positive reactivities to Vimentin and S-100 protein. Final diagnosis was made as MPNST.

인체의 자궁암과 간암조직에서의 단백질 분해활성의 변화 (Correlation Between Malignant Phenotypes and Changes in Overall Proteolytic Capacity of Human Cervix and Liver Cancer)

  • 기윤;박상철;하두봉;정진하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8-54
    • /
    • 1989
  • 인체의 자궁암과 간암조직들이 나타내는 몇 종류의 단백질 분해효소들과 Anti-trypsin의 활성도를 정상조직의 것들과 비교하여서, 암의 종양성 형질과 단백질 분해활성의 변화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Casein과 Insulin의 분해 활성도는, 자궁암에서 2-3배 정도 증가하는 반면, 간암에서는 1/2에서 1/5정도로 감소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Anti-trypsin의 활성도는 자궁암에서 약 1/10정도로 감소하였고 간암에서는 2배 가량 증가하였다. 한편, Plamin-like enzyme과 Plasminogen activator의 활성도는 자궁암과 간암조직 모두에서 정상 조직에서보다 10-20% 정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조직 내의 단백질 분해활성도가 단백질 분해효소들과 이들의 활성을 저해하는 단백질들의 균형에 의하여 조절됨을 시사하며, 암조직들에서는 각 암조직들의 종양특이성에 따라 단백질 분해효소와 저해단백질들 사이의 균형이 깨어짐에 따라 단백질 분해활성도가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