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ic acid method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1초

마치현에 대(對)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A Philological Study on The Portulacea)

  • 정민영;강문여;이명진;이준헌;김대수;김종환;박수연;최정화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35
    • /
    • 2007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therapeutic meaning of the Portulacea in herbal medication. Methods : About the origin, the component, the processing the drug, the properties and tastes of drugs, the meridian tropism, the effects, the treating disease, the contraindication and the method of administration, I have researched thirty literatures to mention the Portulacea in time sequence. Results : 1. The Portulacea belongs to the Portulacaceae herbs and it consists of noradrenaline, potassium sometimes containing small amounts of dopamine, dopa, malic acid, citric acid, glutamine acid, asparagin acid, alanine, cane sugar, grape sugar, fruit sugar. 2. The processing of drug is wash of water clealy, and remove the foreign substance. Then the drug is cutting to use. The method of burnt to ashes is used, too. 3. The properties and tastes of drugs is acid, cold, nontoxic. The meridian tropism is mainly liver and the large intestine meridian. 4. From old times, Portulacea has come into general use to treat eczema, the rose erysipelas, an acne, hemorrhoids, discharge from the womb etc. because it is effective on neutralizing poison, reduce a swelling, a tumor, an abscess and stopping of bleeding 5. Portulacea must be stoped When person have a weak digestive organ becase it is cold herba. And don't take use with Fish and shellfish. 6. Portulacea is useful method to external care. To use the herba, pulverize amount of property and then apply to the the affected part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that the Portulacea is useful herb to treat of skin disease and useful method to external care.

  • PDF

청매실의 비가열 전처리 및 건조매실의 특성 (Non-thermal treatment of Prunus mume frui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dehydrated product)

  • 강지훈;김남호;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52-660
    • /
    • 2014
  • 수확 후 매실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 0.5% citric acid와 0.1% Tween 20 단일 및 병합 처리 후 $4{\pm}1^{\circ}C$에서 7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 수 및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Citric acid와 Tween 20 병합 처리 후 총 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2.06, 2.22 log CFU/g으로 가장 높은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저장 7일 동안 유지되었다. 매실의 유기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malic acid, citric acid, oxalic acid의 순서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 중 색도 역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매실의 저장성 증진 및 다양한 매실 가공품 제조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탈수제를 이용한 건조 후 건조 매실의 품질 변화를 열품건조와 비교, 분석하였다. 탈수제 처리 건조가 열풍건조에 비해 높은 복원율을 나타냈고,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열풍건조 보다 많았으며, 대조구와 유사한 함량을 유지하였다. 또한 건조 매실의 색도에 있어서도 탈수제 처리가 부정적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수확 후 매실에 citric acid와 Tween 20 병합 처리가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품질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효과적인 가공 전처리 기술이라고 생각되며, 탈수제 처리가 건조 매실의 품질을 높게 유지하며 저장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건조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Jar Fermenter에 의한 홍국의 배양, 색소특성 및 안정성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f Pigments Produced by Monascus anka in a Jar Fermenter)

  • 김선재;임종환;강성국;정순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0-66
    • /
    • 1997
  • Monascus anka가 생산하는 색소는 균체외 적색색소(ERP)와 황색색소(EYP) 그리고 균체내 적색색소(IRP) 와 황색색소(IYP)로 분리되었고 각각의 색소는 특징적인 absorption spectrum을 나타냈다 분리된 4종의 색소의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암조건, 자외선 그리고 형광하에서는 비교적 안정하였지만 일광하에서는 색소가 급격히 퇴색하는 경향을 나타내 저장시 광차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pH에 대해서는 각 색소가 pH 2.0~12.0 범위에서 비교적 안정하였다. 온도의 영향은 60~8$0^{\circ}C$에서는 비교적 안정하였으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8종의 유기산 중에 tartaric acid와 citric acid가 홍국색소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propionic, formic, acetic, butyric, malonic, malic acid는 비교적 안정하였다. 홍국색소의 변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금속 이온은 Cu$^{2+}$이었다.

  • PDF

효모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동결 농축 청수 와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soo Grape Wine by Freeze Concentration Fermented with Different Yeasts)

  • 박혜진;박의광;최성열;신혜림;김민자;박정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12-523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soo wine using freeze concentration fermented with 5 kinds of yeast strains (Saccharomyces cerevisiae EJ18, EJ30, HK22, HK32 and Fermivin).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volatile flavor component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5 wines. The freeze concentration can increase the sugar concentration in grape juice by reducing its water content and the alcohol content of freeze-cententrated Cheongsoo wines ranged between 15.0~15.8%. The pH of wines ranged from 2.92 to 2.94 and the total acidity and soluble solid of wines ranged from 12.40~13.27. °Brix. The major organic acid in the wines was tartaric acid (4.49~5.11 mg/mL) and malic acid (7.00~7.97 mg/mL). It contains higher functional compounds in wine fermented with yeast (EJ18, EJ30, HK22, HK32) than wine fermented with fermivin. α-glucosidas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had the highest values (78.87% and 62.25%) in wine fermented with HK22 and EJ18 yeast, respectively. 16 volatile flavor compounds (alcohols, esters, ketones, acids, and others) were detected in the Cheongsoo wines by freeze concentration.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tha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ine developed by the freeze-concentration method using grapes cultivated in Korea.

몇종의 세균과 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한 식품첨가물의 향균 특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Food Additives against Bacteria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 이종수;오준세;김나미;금종화;이석건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49-55
    • /
    • 1996
  • 현재 식품첨가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기산과 안정제 및 색소 등의 각종 세균과 Sacch. cerevisiae 에 대한 향균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도 조절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젖산, 사과산, 호박산 및 주석산은 L. acidophilus와 Sacch. cerevisiae에 대하여 향균성이 없었으나 B. subtilis등의 세균에 대하여는 향균성이 있었고 특히 사과산은 P. aeruginosa에 대하여 강한 향균력이 있었다.(최소생육저지농도 : 0.05%). 안정제로서의 알긴산과 펙틴은 B. subtilis, E. coli, P. aeruginosa에 대하여 비교적 강한 향균성을 보였고 L. acidophilus에 대하여는 향균성이 없었다. 황색 색소(홍화엘로우)와 적색 색소(Red powder-N)는 향균성이 없었고 표백제인 $NaHSO_3$의 세균에 대한 최소생육저지농도는 0.05%, Sacch. cerevisiae에 대하여는 0.5%로 향균성이 있었다.

  • PDF

LaMnO3형 페롭스카이트 산화물에서 입자상물질의 촉매연소반응 (Catalytic Combustion of Carbon Particulate over LaMnO3 Perovskite-Type Oxides)

  • 이용화;이근대;박성수;홍성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7호
    • /
    • pp.619-626
    • /
    • 2004
  • We have studied the catalytic combustion of soot particulates over perovskite-type oxides prepared by malic acid method, The catalysts were modified to enhance the activity by substitution of metal into A or B site of perovskite oxide. In addition, the reaction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O_2$ concentration were investigated. The partial substitution of alkali metals into A site in the $LaMnO_3$ catalyst, enhanced the catalytic activity in the combustion of carbon particulate and the activity was shown in the order: Cs > K > Na. For the $La_{1-x}Cs_{x}MnO_{3}$ catalysts, the catalytic activity showed the maximum value with x=0.3 but no more increase on the catalytic activity was shown with x > 0.3. For the $La_{0.8}Cs_{0.2}MnO_{3}$ catalyst, the substitution of Fe or Ni increased the ignition temperature. The ignition temperature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O_2$ concentration, however, no more increase in the catalytic activity was shown with $O_2$ concentration > 0.2. The introduction of NO into reactants showed no effect on the catalytic activity.

밑술 담금 방법을 달리한 전통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Liquor with Different Brewing Method of Mit-sool)

  • 정낙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77-38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ppraise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utilizing different Mit-sool, Juk, Seolgi-tteok, and Godubap, to produce traditional liquor. In all experimental plots, pH and amino acidity tended to increase with duration of fermentation. Titratable acidity displayed a very high number on the second day but then tended to decrease as fermentation progressed. Sugar contents were highest on the fourth day and tended to decrease with time. Alcohol content increased sharply at the initial stage of fermentation and increased gradually. On the 15th day, traditional liquor made with Godubap recorded the highest alcohol content. Common free sugar components were glucose and sorbitol. Common free organic acid components were lactic, succinic, citric, tartaric, malic, and acetic acids.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six alcohols, five esters, three aldehydes, and two ketones. Regarding overall acceptability in the sensory evaluation, traditional liquor using Seolgi-tteok as Mit-sool scored the highest. Overall, even though different types of Mit-sool had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latile flavor compounds or sensory evaluation scores.

홍화의 부위별 화학성분과 DPPH Radical 소거 활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in Different Sections of Safflower)

  • 김준한;김종국;강우원;하영선;최상원;문광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33-738
    • /
    • 2003
  • 홍화의 식품재로로서 이용성을 높이고자 홍화의 부위별 성분분석 및 DPPH radical소거 활성을 조사하였다. 단백질은 어린싹 부위에 28.39%, 지방은 씨부위에 20.47%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Glucose는 어린싹에 1253.6 mg%, fructose는 어린싹에 970.7 mg%, sucrose는 꽃봉오리 부위에 912.0 mg%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Succinic acid는 꽃잎부위에 2795.3 mg%, malic acid는 잎과 어린싹 부위에 각각 2054.8 mg%와 934.2 mg%로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무기질로는 K이 잎과 어린싹 부위에 각각 2826.8 mg%와 1999.8 mg%, Ca 또한 잎과 어린싹 부위에 각각 2613.6 mg%와 1160.9 mg%로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Llinoleic acid는 어린싹과 씨부위에 각각 80.01%와 78.27%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총페놀함량은 꽃잎, 어린싹, 잎 부위에 각각 5.8%, 4.4% 및 2.5%,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꽃잎, 어린싹, 잎 부위에 각각 4.7%, 6.5%및 2.0%로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화합물인 serotonin-I 은 홍화씨 부위에 147.7 mg%, serotonin-II또한 홍화씨 부위에 155.4mg%를 함유하고 있었고, flavonoid화합물인 acacetin도 홍화씨 부위에 116.5 mg%를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luteolin은 어린싹 부위에 388.3 mg%, luteolin 7-g1ucoside는 잎 부위에 692.3 mg%로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꽃잎과 잎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114.2%와 113.6%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기존의 합성항산화제인 BHA 100ppm 농도의 88.05%의 활성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냉동 및 해동 방법에 따른 마쇄 홍고추의 품질특성 변화 (Effects of Freezing and/or Thawing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Mashed Red Pepper)

  • 임정호;성정민;박기재;정진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75-681
    • /
    • 2008
  • 마쇄 홍고추를 -70, $0^{\circ}C$에서 품온이 $-10^{\circ}C$에 도달할 때까지 냉동하여 $-10^{\circ}C$ 저장고에서 한 달간 저장한 후 온도(0, $40^{\circ}C$)와 조건(수침지식, 공기 해동법)을 달리 하여 해동한 후 성분을 비교.분석하였다. Capsaicin과 dihydrocapsaicin 함량은 각각 4.28, 2.69 mg/100 g으로 해동 후 $2.63{\sim}3.60$, $1.77{\sim}2.36\;mg$/100 g 으로 감소하였으며 $-10{\circ}C/40^{\circ}C$ 처리구가 $30.9{\sim}38.6%$ 감소하여 가장 큰 변화를 나타내었다. 비타민 C 함량 또한 $-10^{\circ}C/40^{\circ}C$에서의 감소가 가장 컸으며 $-70^{\circ}C/0^{\circ}C$ 처리구에서 $6.77{\sim}10.71\;mg$ /100 g 으로 가장 적은 감소를 나타내었다. 해동 방법은 공기해동 처리구가 수침해동 처리구에 비해 함량 변화가 적게 나타났다. Fructose와 glucose 함량은 초기 20.14, 10.97 g/100 g 이였으며 fructose 의 경우 동결온도 $-10^{\circ}C$ 처리구는 $11.4{\sim}13.35\;g$/100 g으로 $-70^{\circ}C$ 처리구 $13.91{\sim}\;6.55\;g$/100 g에 비해 높은 함량은 나타내었다. $0^{\circ}C$에서 해동이 $40^{\circ}C$보다 감소율이 낮았으며 공기 해동 처리구가 수침해동 처리구에 비해 함량 변화가 적었다. 유기산 결과 주된 유기산은 citric, malic, succinic acid 로 나타났으며 전체의 93.7%를 차지하였다. 해동 후 citric acid 함량은 $48.99{\sim}53.60\;mg$/100 g 으로 처리구들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Capsanthin 함량도 처리구들간에 차이는 보이지 않아 냉 및 해동 방법이 큰 영향을 끼치지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전체적으로 $-70^{\circ}C$ 냉동이 $-10^{\circ}C$ 냉동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동 또한 온도가 낮을수록, 해동방법은 공기해동법을 적용할수록 높은 품질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70^{\circ}C$ 냉동/$0^{\circ}C$ 공기해 동법을 적용한 마쇄 홍고추가 가장 우수하였다.

무화과의 성숙도에 따른 유기산, 유리당 및 향기 성분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Organic acids, Free Sugar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Fig (Ficus carica L.) by Maturation Stage)

  • 신태선;박진아;정복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1016-1027
    • /
    • 2015
  • 무화과의 성숙도에 따른 유기산과 유리당, 휘발성 향기 성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전남 여수시에 위치한 한 농장에서 무작위로 120개 채취하여 견고성을 모두 측정한 후 견고성에 따라 6개군으로 무화과를 분류하고 각 군이 유의적 차이가 나도록 무화과를 각 군에 6개씩 선별하였다. 견고성에 따라 6단계로 분류된 무화과의 물성 특성에서 탄력성은 초기에는 낮았다가 4, 5단계일 때 가장 높았으며 6단계에서는 다시 감소되었다. 응집력은 숙성될수록 계속 증가하였고, 점착성은 초기에는 낮았다가 2단계에서 가장 높았고 그 이후부터 서서히 감소되었다. 깨짐성은 3단계 이후에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무화과의 주된 유기산 성분은 구연산과 사과산이었으며, 주석산은 초기에는 검출되지 않았다가 완숙 단계에서 나타났다. 수산, 구연산, 사과산은 숙성될수록 점차 증가하다가 중간 단계일 때 최고로 나타났다가 완숙 단계에서는 감소하였다. 반면 인산과 호박산은 성숙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화과의 주된 당은 과당과 포도당이었으며, 초기에는 함량이 높았으나 완숙될수록 서서히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휘발성 향기 성분의 경우 acid류 14종, alcohol류 15종, aldehyde류 23종, aromatic류 4종, ester류 10종, hydrocarbon류 33종, ketone류 9종, 기타 화합물류는 6종, terpene류는 5종이었으며, 총 119개의 휘발 성분이 확인되었다. 가장 주된 성분은 hexadecanoic acid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hexane, dodecanal, DL-limonene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hexadecanoic acid, DL-limonene 성분은 초기에 높았다가 완숙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dodecanal, hexane은 초기에 비해 중간 단계에 높아졌다가 완숙단계에서는 다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