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in spawning period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3초

Ultrastructural Study on Spermatogenesis and Sexual Maturation of the Male Jicon Scallop, Chlamys farreri on the West Coast of Korea

  • Chung, Ee-Yung;Park, Ki-Yeol;Song, Pal-Wo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5-105
    • /
    • 2005
  • Gonadosomatic index, reproductive cycle, spermatogenesis and first sexual maturity of Chlamys farreri were investigated by cytological and histological observations,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1999. The gonadosomatic index (GSI) rapidly increased in April and reached a maximum in May when seawater temperature rapidly increase. Then the GSI gradually decreased from June to August when spawning occur. Accordingly, monthly changes in the GSI in males coincide with the reproductive cycle. The spermatozoon of Chlamys farreri is the primitive type found in external fertilization species. The head of the spermatozoon is approximately $2.75{\mu}m$ in length including the acrosome measuring about $0.50{\mu}m$ in length, and its tail was approximately $20{\mu}m$, the axoneme of the tail flagellum consists of nine pairs of microtubules at the periphery and a pair at the center. Five spherical mitochondria around the centriole (the satellite body) appear in the middle piece of the sperm. The spawning period was from June to August and the main spawning occurs from July to August when seawater temperatures are greater than $20^{\circ}C$ The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stage (January to March), late active stage (March to April), ripe stage (April to August), partially spawned stage (June to August), and spent/inactive stage (August to January). Over 50% of male scallops attained first sexual maturity between 50.0 and 60.0 mm in shell height, and 100% of those over 60.0 mm in shell height achieved maturity. Accordingly, we assume that male individuals begin reproduction at three years of age.

  • PDF

남해안에 서식하는 멸치(Engraulis japonicus)의 산란 특성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Pacific Anchovy Engraulis japonicus from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 문성용;백근욱;이미희;김희용;정경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927-937
    • /
    • 2022
  • The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Pacific anchovy, Engraulis japonicus were investigated using samples randomly collected from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21. We analyzed monthly changes in maturity stages, gonadosomatic index (GSI), egg diameter, fecundity, and fork length (FL) at sexual groups maturity of 50%, 75% and 97.5%, and sex ratio (female:male). GSI value showed two peaks in May and August; however, microscopic analysis of E. japonicus gonad tissue revealed that the spawning period was from March to October. The main spawning seasons for the entire populations were from April to June and August to September. The overall sex ratio was female-biased (1 females, 0.89 male). The fecundity (F) of female anchovies ranged from 429 eggs at an FL of 8.0 cm to 13,824 eggs at an FL of 14.9 c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L and F was 0.0788FL4.422. The FL at 50% group maturity was 8.26 cm for female anchovie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reproductive cycle in Pacific anchovies may be related to pulses in water temperature and the sexual cycle of the fish.

소양호에 서식하는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의 성숙과 산란 특성 (Maturity and Spawning of Korean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in Soyangho Lake)

  • 신아리;박희원;이완옥;송미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4-91
    • /
    • 2018
  • 본 논문은 소양호에 서식하는 내수면어업의 주요 수산자원 중 하나인 쏘가리(Siniperca scherzeri)의 성숙과 산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 사용된 쏘가리는 2014년 4월부터 11월까지 정치망과 자망을 통해 채집하였고, 암컷이 204개체로 전장범위는 113~365 mm이었고, 수컷은 197개체로 전장 범위가 140~342 mm이었다. 산란기가 시작되는 5월의 수온은 $15^{\circ}C$를 나타냈으며, 점진적으로 높아져 7월에 $26^{\circ}C$를 나타내었다. 암컷의 생식소 숙도지수(GSI)는 5월에서 7월까지 각각 2.3%, 4.6%, 3.1%로 나타났고, 수컷의 경우 8.0%, 6.6%, 4.5%로 나타났다. 난소 조직은 5월에 많은 수의 샘플이 중숙으로 관찰되었으며 6월에는 대다수가 성숙, 7월에는 완숙 및 방란으로 관찰되었다. 정소 조직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5월에는 대다수가 중숙, 6월에는 성숙, 7월에는 방중으로 관찰되었다. 월별 성숙도와 생식소 숙도지수 (GSI), 생식소의 조직관찰을 통한 분석결과, 소양호에 서식하는 쏘가리의 산란기는 5월에서 6월로 추정되었다. 또한 군성숙도를 분석한 결과, 암컷 쏘가리의 50% 성숙체장은 245.16 mm로 나타났다.

송현천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어류 버들가지 Rhynchocypris semotilus (Pisces: Cyprinidae)의 생활사 (Life History of the Endangered Endemic Species, Rhynchocypris semotilus (Pisces: Cyprinidae) in the Songhyeoncheon (Stream), Korea)

  • 고명훈;한미숙;서형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60-170
    • /
    • 2023
  • 멸종위기어류 버들가지 Rhynchocypris semotilus의 생태적 특징을 밝히기 위해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의 송현천에서 2022년 4월부터 10월까지 생활사를 조사하였다. 4개 지점을 선정하여 7회 조사한 결과, 동소출현종은 10과 18종이 채집되었으며, 버들가지는 아우점종이었다. 버들가지는 송현천 중·상류의 바위와 큰돌, 수생식물로 이루어진 느린 여울부와 소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다. 산란이 시작되는 5월에 전장빈도분포도로 버들가지의 연령을 추정하면, 전장 4~12 mm는 당년생 치어, 32~49 mm는 만 1년생, 50~65 mm는 만 2년생, 66~91 mm는 만 3년생, 92~116 mm는 만 4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고, 5월부터 9월까지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 암컷과 수컷의 전장은 비교적 유사하였고, 암·수 성비(♂/♀)는 0.78이었다. 산란기는 5월부터 7월이며(수온은 17~21℃), 생식소는 전장 66 mm 이상인 만 3년생부터 성숙하였다. 5월의 생식소성숙도(GSI)는 평균 암컷 10.6±2.99%, 수컷 8.2±2.34%였고, 포란수는 평균 6,830±1,943개, 성숙란의 크기는 1.34±0.16 mm였다. 끝으로 버들가지의 생활사 특징을 버들치속과 연준모치속 어류와 비교·논의하였다.

의암호 말조개, Unio douglasiae (Unionidae) 의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the Freshwater Bivalve, Unio douglasiae (Unionidae) in Lake Uiam)

  • 송미영;임지례;이완옥;김성태;김대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1-178
    • /
    • 2015
  • 의암호에 서식하고 있는 말조개의 성장과 산란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4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상대성장식, 생식소 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와 군성숙도의 월별변화를 조사하였다. 각장에 대한 각고, 각폭, 전중, 육중간의 상대성장식에서 상관계수 ($R^2$) 는 0.814-0.944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말조개의 생식소는 소화맹낭의 주변부와 족부로 연결되는 망상결체조직에 분포하며 자웅이체로, 성숙한 난과 정자는 수관을 통해 아가미 반새에서 수정되어 수정란을 아가미의 보육낭에서 부화시켜 체외로 방출하는 난태생종이었다. 서식 지역의 월별 평균수온은 $3.9-25.9^{\circ}C$ 범위였다. 월별 비만도는 0.16-0.22 범위로 하계인 8월-9월에 낮은 값을 보이다가 10월부터 증가하여 11월과 1월에 0.22로 정점을 보였다. 월별 육중량비는 21.3-31.4%로 비만도의 월별 변화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식소지수는 0.00-4.00 범위를 나타내었고, 4월-7월까지 정점을 보인 후 8월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생식년주기는 분열증식기 (11-1월), 성장기 (2-3월), 성숙기 (2-5월), 산란기 (4-9월), 회복기 (8-12월)로 구분되어 하계산란종이었다. 의암호산 말조개의 산란기는 4-9월 (주산란기 4-7월) 이였으며, 군성숙 각장은 29.4 mm였다.

한국 제주도산 해가리비 Amusium japonicum japonicum의 생식소 발달, 군성숙도 및 성비 (Gonadal Development, First Sexual Maturity and Sex Ratio of the Sun and Moon Scallop Amusium japonicum japonicum on the Coastal Waters of Jejudo, Korea)

  • 손팔원;정의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2호
    • /
    • pp.95-103
    • /
    • 2005
  • 한국 제주도산 해가리비(Amusium japonicum japonicum)를 대상으로 생식주기, 생식소중량지수(GSI), 난경조성 변화, 군성숙도, 성적 성숙체장(50% 군성숙도) 및 성비를 조직학적 관찰 및 생체 측정에 의해 조사하였다. 해가리비는 자웅이체이다. 생식소 중량지수(GSI)의 월별 변화는 생식주기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완숙 난모세포들은 직경이 약 $70{\sim}90\;{\mu}m$ 정도이며, 두터운 난막을 가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산란기는 11월부터 1월 사이이며, 주 산란은 해수 수온이 낮은 $11{\sim}12$월 사이에 일어난다. 월별 난경 조성 변화를 보면, 산란기 중 산란빈도 수는 2회 이상으로 추정되지만, 산란기간은 1년에 한번이다. 본 종의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4{\sim}6$월), 후기 활성기($6{\sim}9$월), 완숙기 ($10{\sim}11$월), 산란기($11{\sim}1$월), 그리고 퇴화 및 휴지기($2{\sim}4$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나눌 수 있다. 각장 $85.1{\sim}90.0mm$인 암 수의 해가리비 군 성숙도는 50%이었고, 각장 90.0mm 이상인 개체들은 100%이었다. 이 개체군에서 성적으로 성숙한 암 수 개체들의 각장(군 성숙도 50%) 크기는 각각 86.96mm와 86.59mm이었다. 각장 85.1mm 이상인 암 수 개체들의 성비는 1:1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X^2=0.18$, p>0.05). 조사된 해가리비의 조직학적 절편에서 자웅동체인 개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 PDF

사천 연안 새우조망에서 부수 어획된 어류의 군집구조 (Species composition of bycatch in the shrimp beam trawl fishery of coastal Sacheon, Korea)

  • 송세현;정재묵;유준택;김희용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3호
    • /
    • pp.204-216
    • /
    • 2018
  • A study for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the fish assemblages in the coastal Sacheon Bay, Korea were conducted using monthly collection by a shrimp beam trawl from March 2015 to February 2016. The number of individuals, biomass and species diversity indices fluctuated with the station and month. Of all 73 species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in terms of numbers were Liparis tanakae, Zoarces gillii, Amblychaeturichthys hexanema, Ricuzenius pinetorum and Pleuronichys cornutus. The peak number of fishes occurred in March and April, whereas the biomass of fishes was highest in April. The numbers and biomass of fishes were lower in February corresponding with the low temperature, and diversity indices were highest in June. Due to those seasonal difference in abundance of the dominant species, fish community were divided into three main groups. In addition, seasonal difference by station of fish community were devided into four main groups. Juvenile fishes of coastal Sacheon were presented during the study period. It presented that the study area served as an important role in spawning and nursery ground for fisheries resource.

피조개 유생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몇가지 환경요인에 대하여 (Factors Influencing Distribution Of Larvae Of Arkshell, Anadara broughtonii (Schrenck))

  • 김완수;김종원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
    • /
    • 1976
  • 피조개, Anadara broughtonii(SCHRENCK)는 근년에 와서 산업적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중요 양식대상종으로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인공 및 천연채묘에 관해서는 관야91963), 이등 외(1967), 금정 외(1969), 전중(1971)등의 연구와 중간양성에 관해서는 관야 외91966)의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며 유91969, 1970)는 먹이 및 성장에 관해서 보고한 바 있다. 본고에서는 피조개의 산란 및 유생의 출현상황과 분표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추측되는 몇가지 환경요인을 관찰하여 검토한 결과를 보고한다.

  • PDF

한국 진도에서 채집된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Collected from Jindo of Korea)

  • 박민우;김혜진;김병학;손맹현;최지성;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3-24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남해안 진도에 서식하는 북방전복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를 조직학적으로 기재하였다. 생식소는 조직학적으로 계절적인 변화를 보였다. 암컷의 비율은 57% (n = 154 / 271) 로 조사되었다. 생식소지수는 암, 수 모두 6월에 최고값 (3.3, 3.9) 을 보였으며, 12월에 최저값 (1.1, 1.1) 을 나타냈다. 비만도와 육중량비는 모두 5월에 최고값을 보였으며, 10월에 최저값을 나타냈다. 생식소지수, 비만도 및 육중량비의 변화는 생식소조직의 계절적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생식주기는 비활성기 (11월-12월), 초기활성기 (1월-3월), 후기활성기 (3월-4월), 완숙기 5월-6월), 방출 및 퇴화기(7월-10월) 로 구분할 있었다. 2013년 진도에서 북방전복의 주산란기는 7월-8월이었다.

한국산 둥근전복, Haliotis discus discus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discus Collected from Jeju Island of Korea)

  • 김재원;이병욱;강주찬;민은영;원승환;임한규;강승완;전미애;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1-2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제주도에 서식하는 둥근전복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를 조직학적으로 기재하였다. 생식소는 조직학적으로 계절적인 변화를 보였다. 암컷의 비율은 59% (n = 182/309) 로 조사되었다. 생식소지수는 암, 수 모두 9월에 최고값 (3.2, 3.3) 을 보였으며, 1월과 2월에 최저값 (1.7, 1.4) 을 보여주었다. 난경 조성 변화는 3월의 초기성장기부터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여 완숙기인 8월에 $180{\mu}m$ 전후의 난경을 나타냈다. 비만도는 암,수 모두 7월에 최고값 (0.0748, 0.0760) 을 보였으며, 5월에 최저값 (0.0268, 0.0278) 을 나타냈다. 생식소지수, 난경 및 비만도는 생식소조직의 계절적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생식주기는 비활성기 (11월-12월), 초기활성기 (1월-3월), 후기활성기 (3월-4월), 완숙기 (5월-6월), 방출 및 퇴화기 (7월-10월) 로 구분할 수 있다. 2014년 제주도에서 둥근전복의 주산란기는 8월-10월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