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in compounds

검색결과 858건 처리시간 0.033초

다양한 열처리 조건에 따른 우엉뿌리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Burdock Root (Arctium lappa L.) with Various Heat Treatment Conditions)

  • 박미영;박예옥;박영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8-85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inblanched, steamed, and autoclaved burdock root (BR). The total polyphenolic and flavonoids contents of raw and cooked BR were determined spectrophotometricall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R was measured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ssays. The main phenolic compounds in BR were quantified by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Both blanching and steaming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BR in all groups (5 min, 15 min, and 30 min), whereas in autoclaving treatment, the 30 min treatment only showed an increase i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BR. The 30 min blanched BR exhibited the stronges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possess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phenolic contents. The 15 min-steamed BR showed the highest ORAC value. The main phenolic compound of the 15 min-steamed BR was CGA (chlorogenic ac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at cooking methods, such as blanching and steaming, improv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R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phenolic compounds.

시스템 약리학적 분석에 의한 황금의 항균효과 (Systemic Analysis of Antibacterial and Pharmacological Functions of Scutellariae Radix)

  • 김효진;박세림;하희정;김윤숙;이부균;안원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84-190
    • /
    • 202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antibacterial substances contained in Scutellariae Radix (SR) using a systems pharmacological analysis method and to establish an effective strategy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Analysis of the main active ingredients of SR was performed us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ystems Pharmacology (TCMSP) Database and Analysis Platform. 36 active compounds were screened by the parameter values of Drug-Likeness (DL), Oral Bioavailability (OB), and Caco-2 permeability (Caco-2), which were based on the drug 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and excretion indicators. The UniProt database was used to obtain information on 159 genes associated with active compounds. The main active compounds with antibacterial effects were wogonin, β-sitosterol, baicalein, acacetin and oroxylin-A. Target proteins associated with the antibacterial action were chemokine ligand 2, interleukin-6, tumor necrosis factor, caspase-8,9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14. In the future, systems pharmacological analysis of traditional medicine will be able to make it easy to find the important mechanism of action of active substances present in natural medicines and to optimize the efficacy of medicinal effects for combinations of major ingredients to help treat certain diseases.

재래식 메주 및 된장의 향기성분 (Flavor Compounds of Domestic Meju and Doenjang)

  • 김경업;김미혜;최병대;김태수;이종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57-565
    • /
    • 1992
  • 재래식 메주 및 된장의 발효숙성중 생성되는 향기성분을 분석하기위하여 Nickerson 형의 연속증류추출장치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중성, 염기성, 페놀성 및 산성 분획분으로 분획하여 판넬 시험의 결과 중성 분획분에서는 구수한 냄새가 염기성 분획부네서는 자극취와 볶은콩냄새, phenol성 분확분에서는 의약품냄새 그리고 산성 분획분에서는 산패취가 나타났다. 각 분획분의 성분을 GC-MS로 분석 동정된 향기화합물은 peak 면적 %로 나타내었다. 중성 분획분에서 64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삶은 콩에서는 pentanal, hexanal 및 1-octene-3-ol 등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메주에서는 3-methylbutanal과 1-butanol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숙성전 된장에서는 메주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Acetic acid ethylester를 비롯한 많은 종류의 화합물이 동정되었으며 숙성후 된장의 주된 휘발성 화합물은 3-methyl-1-butanol, 2-furancarboxyaldehyde, 1-octen-3-ol, benzeneacetaldehyde, methyloctadecadienoate 및 methyloctadecenoate 등이었다. 염기성 분획분에서 동정된 11종의 화합물중에서 2,6-dimethylpyrazine, trimethylpyrazine 및 tetramethylpyrazine 등이 메주와 된장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Phenol성 분획분에서 9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phenol과 p-ethylguaiacol의 함량은 삶은 콩에서 나타났고 메주와 된장에서는 4-vinylphenol과 p-ethyl-guaiacol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산성 분획분에서 동정된 15종의 화합물중에서 ethanoic acid와 hexanoic acid는 모든 시료에서 propanoic acid와 pentanoic acid는 삶은 콩과 메주에서만 동정되었으며 숙성후의 된장에서는 다른 시료에서 동정되지 않았던 10개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특히 pentadecanoic acid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

한국산 표고버섯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Korean Shiitake Mushroom(Lentinus edodes))

  • 홍재식;이극로;김영회;김동한;김명곤;김영수;여규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06-612
    • /
    • 1988
  • 신선한 표고버섯(Lentinus edodes) 및 건조 표고버섯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수증기-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GC및 GC-MS에 의해서 비교 분석하였고 신선한 표고버섯의 휘발성 향기성분 생성에 미치는 pH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확인된 29개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신선한 표고버섯에서는 1-octen-3-ol이 전체 향기성분의 약 74.7%, 건조표고버섯 에서는 1,2,4-trithiolane이 약 66.3%를 차지하였다. 그외에도 $C_8$ 화합물로서는 3-octanone 1-octen-3-one, 3-octanol, cis-2-octenal, 3-octanol, 및 cis-2-octenol, 함황화합물소는 carbon disulfide, dimeth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a, 1-(methyl thio)-dimethyl disulfide 1,2,4,5-tetra-thiane이 확인되었다. 신선한 표고버섯을 침지하였을 때 $C_8$화합물은 pH $6.0{\sim}7.0$, 함황화합물은 pH $8.0{\sim}9.0$에서 많이 생성되었다.

  • PDF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원 구성물질 성분비에 관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Source Fingerprint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 이영재;이학성;강병욱;신대윤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87-496
    • /
    • 2003
  • 본 연구에서 실시한 VOC의 각 배출원별 구성물질 성분비를 조사한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우리나라의 VOC 주요 배출원에서 배출되는 성분은 주로 toluene으로서 도로포장 배출물질과 자동차, 도장시설, 가솔린증기 구성성분이 각각 35, 18, 16, 5%로 높은 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자동차와 주유소 그리고 가솔린 저장탱크 배출 물질의 경우 주로 $C_{5}$ 이하의 성분들이 배출되었는데, 이들 성분들은 주로 휘발유를 취급하는 곳에서 상당량 배출되고 있었다. 3) 도장시설에서는 m/p-xylene과 toluene, 1,2,4-TMB, o-xylene 둥이 각각 34, 16, 10, 9%로 배출되고 있어 주로 방향족 화합물들이 많이 배출되고 있었다. 4) 세탁시설에서는 주로 석유계 연료를 사용하고 있어 nonane이 41%, 1,2,4-TMB가 22%, 1,3,5-TMB가 13%로 배출되었으며, 도로포장시 아스팔트에서는 toluene과 benzene, m/p-xylene, o-xylene, ethyl benzene 등of 각각 35, 10, 4, ,3, 2%로 배출되고 있어 BTEX가 상당량 배출되고 있었다. 5) 본 연구의 경우 시료채취시 약 20초간의 짧은 시료채취이므로 정확한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비교적 장시간을 채취하여 분석하여야 될 것으로 사료되며, 도로포장의 경우 시료채취지점으로 부터 약 100m 전방에 편도 2차선의 도로가 있어 자동차 배출물질이 다소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밝혀둔다.

피혁산업장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배출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OCs Emission Characteristics in Leather Industries)

  • 김선태;최일환;이규성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2-343
    • /
    • 2007
  • The concentrations of maj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were measured using a passive sampler in the leather industries, Shihwa and Banwol industrial complex. The leather industr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in raw materials and main product. The concentrations of total VOCs measured in process for ${\ulcorner}$ manufacture of reconstituted leather and special treated leather${\lrcorner}$was highest. The main VOCs measured in the leather industries was found to be toluene with a average concentration of 1,200 ppb. The major group selected in the leather industrie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 fingerprint analysis an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major VOCs in the groups classified by fingerprint analysis were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and main products.

In vitro Inhibitory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Oenanthe javanica DC against Candida and Streptococcus species

  • Shin, Seung-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0권6호
    • /
    • pp.325-329
    • /
    • 2004
  • The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from O. javanica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Using the broth dilution method and disk diffusion test,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oil fraction and its main components were evaluated against various antibiotic-susceptible and resistant strain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As a result of GC-MS analysis, 57 compounds, including ${\alpha}-terpinolene$ (28.1%), dl-limonene (16.0%), ${\gamma}-terpinene$ (10.3%), ${\beta}-pinene$ (9.7%) and ${\alpha}-pinene$ (6.0%) were identified in the essential oil fraction. The essential oil fraction of O. javanica and its main components exhibit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ies, particularly against Candida albicans (antibiotic-susceptible strains) and Streptococcus pneumoniae (antibiotic- susceptible and resistant strains). The main components of the O. javanica oil fraction displayed different patterns of activity against the three tested Candida species as exemplified by the differential minimum inhibiting concentration (MIC) values. The disk diffusion test showed that the activities were dose dependent.

상수관망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의 성분분석 (The Component Analysis of Foreign Substance Occurred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 최민아;김도환;배철호;이두진;최두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614-623
    • /
    • 2014
  • 지방상수도에서 이물질에 의한 수질민원은 수돗물에 대한 불신을 초래하고 음용률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민원 대상지역의 이물질 수집 및 시료의 정성 및 정량분석을 실시하여 이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과 원소성분을 검출함으로서 이물질 발생의 원인을 밝히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수관로 내부의 이물질로 인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수질민원을 해소하고 수돗물에 대한 신뢰성 향상 및 양질의 수돗물 공급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민원지역에서 포집된 이물질은 관로의 내부부식 및 노후화로 인한 부식생성물의 무기화합물뿐만 아니라 탄소(C) 및 산소(O)성분을 다량 함유한 유기화합물도 포함하고 있었다. 이물질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저감을 위해 객관적인 대상지역의 관상태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돼지풀의 수용추출물이 수종 식물에 미치는 알레로파시 효과 (The Allelopathic Effects of Aqueous Chemicals of Ambrosia artemisiifolia on Selected Plants)

  • 김해수;김종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1호
    • /
    • pp.67-73
    • /
    • 2001
  • 돼지풀의 수용추출액에 함유된 화학물질중 benzoic acids와 phenolic compounds가 주를 이루었고 일부 non-acids 화학물질도 검출되었다. 또한 수용추출액에 함유된 화학물질은 부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잎에서 60종류, 뿌리에서도 53종류의 물질이 검출되었다. 총 함량은 잎이 0.48 mg/g.f,w, 뿌리가 0.37 mg/g.f,w이었다. 수용추출액은 수용체식물 종자발아와 유식물 생장에 뚜렷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식물 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추출액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억제효과도 증가하였다. 발아와 유식물 생장에 억제효과가 높은 식물은 고추, 상치, 쇠무릎 등이었고, 배추와 무는 비교적 낮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 종자발아 및 유식물 생장 실험 모두에서 잎 수용추출액의 억제효과가 뿌리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 PDF

열가소성 수지의 단량체 분석 및 유해성 분류 (Analysis and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monomers in thermoplastic resins)

  • 이권섭;조지훈;최진희;최성봉;이종한;양정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22-334
    • /
    • 2007
  • This study covers the investigation of the actual condition in the workplace to produce plastics products using synthetic resins and the investigation on the trends amount of the domestic production of thermoplastic resins. To analyze the monomers included in thermoplastic resins frequently used in the workplace, we analyzed thermal characteristics for test compounds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did the qualitative analysis using Pyrolyzer GC-MSD & TDS GC-MSD. And then we classified the health hazard of monomers based on GHS classification criteria using information toxicity & carcinogenicity. The number of the workplace to produce plastics products among all domestic manufacturers of 73,884 was 4,391 (5.94%). The number of workers to produce plastics products among all workers of 2,522,750 in all domestic manufacturers was 104,971 (4.16%). The amount of production per year for thermoplastic resins is in the order of PP, HDPE, LDPE, PVC, ABS, PS and such compounds was producing over 1 Million ton per year each. The classification result based on GHS classification criteria for 22 main compounds included thermoplastic resins says 2 compounds of acrylonitrile, naphthalene are in Acute oral category 3 and benzene is in Acute dermal category 1. The classification results of health hazard of carcinogenicity based on IARC & ACGIH carcinogen classification says 2 compounds of benzene, vinyl chloride are in category 1A (known to be human carcinog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