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gnetic stimulation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33초

Non-Invasive Neuromodulation for Tinnitus

  • Langguth, Berthold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4권3호
    • /
    • pp.113-118
    • /
    • 2020
  • Tinnitus is a prevalent disorder that has no cure currently. Within the last two decades, neuroscientific research has facilitate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that underlie the generation and maintenance of tinnitus, and the brain and nerves have been identified as potential targets for its treatment using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methods. This article reviews studies on tinnitus patients using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such as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lternating current stimulation, transcranial random noise stimulation as well as transcutaneous vagus nerve stimulation and bimodal combined auditory and somatosensory stimulation. Although none of these approaches has demonstrated effects that would justify its use in routine treatment, the studies have provided important insights into tinnitus pathophysiology. Moreover bimodal stimulation, which has only been developed recently, has shown promising results in pilot trials and is a candidate for further development into a valuable treatment procedure.

수면장애에서 비침습적 뇌자극술의 치료 효과 고찰: 경두개자기자극술과 경두개직류전기자극술을 중심으로 (A Review on Effects of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in the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 김신혜;이수지;임수미;윤수정
    • 수면정신생리
    • /
    • 제28권2호
    • /
    • pp.53-69
    • /
    • 2021
  • Sleep disorders, increasingly prevalent in the general population, induce impairment in daytime functioning and other clinical problems. As changes in cortical excitability have been reported as potential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sleep disorders, multiple studies have explored clinical effects of modulating cortical excitability through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in treating sleep disorders. In this study, we critically reviewed clinical studies using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particularly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MS) an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inconsistent therapeutic effects of TMS and tDCS for various kinds of sleep disorders. Specifically, low-frequency repetitive TMS (rTMS) and cathodal tDCS, both of which exert an inhibitory effect on cortical excitability, have shown inconsistent therapeutic effects for insomnia. On the other hand, high-frequency rTMS and anodal tDCS, both of which facilitate cortical excitability, have improved the symptoms of hypersomnia. In studies of restless legs syndrome, high-frequency rTMS and anodal tDCS induced inconsistent therapeutic effects. Single TMS and rTMS have shown differential therapeutic effects for obstructive sleep apnea. These inconsistent findings indicate that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each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method and specific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particular sleep disorder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ntegrated manner for treatment of various sleep disorders.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provide optimized TMS and tDCS protocols for each sleep disorder, considering distinctive effects of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and pathophysiology of each sleep disorder.

뇌열 1예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과 경두부 자기자극 (Functional-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in a Case of Schizencephaly)

  • 변우목;한봉수;이재교;장용민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4권1호
    • /
    • pp.14-19
    • /
    • 2000
  • 목적 : 뇌열환자에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과 경두부 자기자극을 이용하여 뇌기능을 지도화하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기공명영상에서 우측 대뇌반구에 뇌열 소견이 있으며 좌측 편측부전마비를 보인 28세 남자환자를 대상으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과 경두부 자기자극을 시행하였다. 임상적으로 좌측 손의 운동기능은 감소되어 있었고, 우측 손의 운동기능은 정상범주에 속하였다. 뇌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은 EPI 기법을 이용하였고 운동자극은 1-2 Hz의 주기로 손가락을 아래위로 구부리게 하는 운동을 시행하였고 15초의 휴식기와 15초의 운동기를 반복하여 절편당 60 개의 영상을 획득하였다. 두부자기자극은 지름 90mm의 원형 자성자극기를 이용하여 maximal out-put의 80%로 자극하여 양측 단무지 외 전근에서 유발된 운동유발전위의 잠시와 진폭을 구하였다. 결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결과 정상적인 우측손의 운동자극시에 좌측 운동피질이 활성화되었고 좌측손의 운동자극시에는 좌측운동피질, 좌측 부가운동영역, 그리고 자측 전운동영역에 활성화소견이 나타났다. 두부자기자극에서는 우측 대뇌반구에서는 한군데에서도 운동유발 전위가 발생되지 않았다. 좌측 대뇌반구에서는 5군데에서 운동유발전위가 유발되었으며 모두 양측 단무지 외 전근에서 운동유발전위가 유발되었다. 양손에서 운동유발전위의 잠시 , 진폭 모양이 유사하였다. 결론: 뇌열환자의 손운동기능의 피지도화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과 두부자기자극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시행할 수 있었다. 뇌열환자의 동측 운동경로는 동일한 운동피질로부터 기원한 동측피질척수로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펄스자기장(PMF)을 이용한 대식세포와 T 세포의 염증활성도 변화추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in Inflammatory Activity of Macrophages and T Cells Using Pulsed Magnetic Field)

  • 김소진 ;이현숙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324-328
    • /
    • 2023
  • Excessive inflammation in the body causes immune cells to release cytokines that damage normal tissues and cells, leading to rheumatoid arthritis and sepsis. Pulsed magnetic field(PMF) stimulation has many applications in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muscular disorders and pain.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MF stimulation on the regulation of excessive inflammation in the overall immune system. Macrophages, a primary immune cell, and T cells, a secondary immune cell, were co-cultured in the insert wells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then inflammation was artificially induced. The changes in inflammatory activity following PMF stimulation were measured by pH and IL-6 concentration. After inflammation induction, both cells became more acidic and increased IL-6 expression, but after PMF stimulation, we observed improved acidification of macrophages and T cells and decreased IL-6 expression. Our results showed that infected macrophages activated T cells and that the recovery of excessive inflammatory response regulation after PMF stimulation proceeded more rapidly in macrophag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MF has a positive anti-inflammatory effect on the overall immune system and thus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non-invasive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반복 경두개자기자극술의 우울증 치료효과 및 최신동향에 대한 고찰 (Clinical Efficacy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for Treatment of Depression and Latest Trends in TMS Techniques)

  • 김신태;김혜원;김세주;강지인
    • 생물정신의학
    • /
    • 제24권3호
    • /
    • pp.95-109
    • /
    • 2017
  • 본 종설에서는 우울증에서의 rTMS 임상연구를 임상특성과 TMS 적용방법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새로운 TMS 치료기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rTMS는 항우울제에 반응이 적은 단극성 우울증 환자의 치료에 병용 혹은 단독요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안전하고 비침습적인 뇌조절술이다. rTMS는 고빈도 좌측 DLPFC, 저빈도 우측 DLPFC, 그리고 양측성 DLPFC 적용방법이 비슷한 수준으로 허위자극에 비해 유의하게 항우울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치료저항성 단극성 우울증에 대한 항우울효과 크기는 작았다. 또한 정신병적 증상이 동반된 우울증의 치료와 양극성 장애의 우울삽화에 대해서는 치료효과가 불분명하다. 기존 rTMS의 항우울효과 크기는 작은 정도로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고용량의 자극, 보다 깊이 자극할 수 있는 코일을 이용한 rTMS 치료, 표적영역에 보다 정확하게 코일을 위치시키는 신경항법 등을 이용한 TMS 적용 등의 새로운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세타돌발자극과 자기경련치료와 같은 새로운 치료기법을 이용한 시도가 우울증 치료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비록 현재까지 rTMS의 항우울효과가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임상양상을 세분화한 치료적용과 개선된 치료기법의 적용 등을 통해 더 많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여러 형태의 TMS 기법에 대해 잘 설계된 허위자극에 대한 통제연구뿐만 아니라 서로의 비교연구를 통해 우울증 치료에서의 근거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반복자기자극이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증식과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petitive Magnetic Stimulation on Proliferation and Viability of Adipose Tissue-Derived Stromal Cells)

  • 김수정;박해운;조윤우;이준하;서정민;신현진;강재훈;안상호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1권3호
    • /
    • pp.87-93
    • /
    • 2009
  • Purpose: T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repetitive magnetic stimulation (RMS) on the viability and proliferative response of human adipose tissue-derived stromal cells (hATSCs) in vitro. Methods: The hATSCs were cultured primarily from human adipose tissue harvested by liposuction and incubated in a $37^{\circ}C$ plastic chamber. The cells were exposed to a repetitive magnetic field using a customized magnetic stimulator (Biocon-5000, Mcube Technology). The RMS parameters were set as follows: repetition rate=10Hz, 25Hz (stimulus intensity 100%= 0.1 Tesla, at 4cm from the coil), stimulated time= 1, 5, and 20 minutes. Twenty four hours after one application of RMS, the hATSCs were compared with the sham stimulation, which were kept under the same conditions without the application of RMS. The cells were observed by optical microscopy to determine the morphology and assessed by trypan blue staining for cell proliferation. The apoptosis and viability of the hATSCs were also analyzed by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FACS) analysis of Annexin V and MTT assay. Results: After RMS, the morphology of the hATSCs was not changed and the apoptosis of hATSCs were not increased compared to the sham stimulation. The viability of the cells was similar to the cells given the sham stimulation. Interestingly, the level of hATSC prolife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RMS groups.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RMS may not cause a change in morphology and viability of hATSCs but can increase the level of cell proliferation in vitro. RMS might be useful as an adjuvant tool in combination with stem cell therapy without adverse effects.

  • PDF

경두개 자기자극 시 운동신경 유발응답 측정을 위한 근전도 측정 시스템 구축 (Establishing EMG Measurement System for Measurement of Motor Nerve Response in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 이근용;김수환;조재현;윤세진;이상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13-418
    • /
    • 2019
  • 뇌와 관련된 질병(치매, 조현병, 우울증, 파킨슨병 등)을 가진 환자의 치료 및 재활 정도의 진행을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에서 경두개 자기 자극법(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MS)은 뇌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비 침습적으로 뇌 신경 조절에 사용되는 기법이기 때문에 치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경두개 자기 자극 시 정상인의 근피로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에 운동 신경 유발 응답 측정을 위한 근전도 측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피실험자의 Raw Data를 RMS 기법으로 분석하고, RMS 그래프의 경향을 통해 운동 신경 유발 응답 측정 시스템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목표이다. 실험 방법으로는 피실험자의 위팔두갈래근의 수축과 이완 운동을 통해 피로한 상황까지 도달하게 한 후, 표면 근전도 기기를 통해 받아들인 원신호를 RMS 기법으로 분석한다. 실험 결과, RMS 그래프가 상승하는 경향을 확인 하였고, 이를 통해 구축된 근전도 측정 시스템으로 운동 신경 유발 응답을 측정한 데이터를 고려하여 개개인에 맞는 자기자극 강도 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소 허혈성 뇌졸중 모델 흰쥐의 인지기능에 반복경두개자기자극이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n Enhancement of Cognitive Function in Focal Ischemic Stroke Rat Model)

  • 이정인;김계엽;남기원;이동우;김기도;김경윤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20
    • /
    • 2012
  • Purpose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n cognitive function in the focal ischemic stroke rat model. Methods : This study selected 30 Sprague-Dawley rats of 8 weeks.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ssigned 15 rats to each group. Control group: Non-treatment after injured by focal ischemic stroke; Experimental group: application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0.1 Tesla, 25 Hz, 20 min/time, 2 times/day, 5 days/2 week) after injured by focal ischemic stroke. To assess the effect of rTMS, the passive avoidance test, spatial learning and memory ability test were analyzed at the pre, 1 day, $7^{th}$ day, $14^{th}$ day and immunohistochemistric response of BDNF were analyzed in the hippocampal dentate gyrus at $7^{th}$ day, $14^{th}$ day. Results : In passive avoidance test, the outcome of experimental group was different significantly than the control group at the $7^{th}$ day, $14^{th}$ day. In spatial learning and memory ability test, the outcome of experimental group was different significantly than the control group at the $7^{th}$ day, $14^{th}$ day. In immunohistochemistric response of BDNF in the hippocampal dentate gyrus, experimental groups was more increased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 suggest that improved cognitive function by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after focal ischemic stroke is associated with dynamically altered expression of BDNF in hippocampal dentate gyrus and that is related with synaptic plasticity.

경두개 자기자극장치의 치료자극 펄스 (Treatment Stimulator's Pulse of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 김휘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89-296
    • /
    • 2009
  • 본 논문에서, 생물계로 자기자극장치를 사용할 경우 잠재적인 사용에 대한 전력소자 응용제어 기술에 대해 언급 하고자 한다. 자기자극장치의 효과는 자기 자극코일에 의해 전달된 전류 펄스파형에 유도한 전계와 기하학 구성에 의존한다. TMS는 두뇌에 있는 전계를 유도하는 전자장의 펄스를 머리의 외부에서 자극하게 된다. TMS는 두뇌의 자극을 통해, 진단 및 치료에 있는 수많은 응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요소들은 코일의 구성과 전원 장치와 크기의 등가적 요구와 특성으로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지게 된다. 제안하고자 하는 해결방법은 입력에 대하여 가변크기와 주기를 가지는 전류펄스 발생을 가진다. 또한, 해결방법은 전원에서 부하로 에너지 전송과 축적의 요소를 기본으로 할 수가 있다. 제안한 방식으로, 전력 회로 매개 변수의 충분한 통제를 통한 기획과 전략으로 단극파형 또는 양극 파형을 얻을 수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