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검색결과 2,023건 처리시간 0.03초

The Correlation between Caudal Epidurogram and Low Back Pain

  • Jo, Dae-Hyun;Jang, Sul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5권1호
    • /
    • pp.22-27
    • /
    • 2012
  • Background: The common causes of lower back pain with or without leg pain includes disk disease and spinal stenosis. A definitive diagnosis is usually made by means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but treatment is often difficult because the MRI findings are not consistent with the symptoms of the patient in many ca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tterns of epidurography performed in patients having lower back pain with or without leg pain and the position or severity of the pain as subjectively described by the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9 outpatients with lower back pain with or without leg pain who visited our clinic and complained of predominant pain on one side. We performed caudal epidural block using an image intensifier. A mixture of the therapeutic drug and the contrast agent (10 ml) was injected to observe the contrast flow pattern. The patients who complained of predominant pain on one side were divided into the left side group and the right side group. A judgment of inconsistency was made if the contrast agent flowed to the side of the pain, while a judgment of consistency was made if the contrast agent flow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pain. The degree of the drug distribution was evalu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cells to which the contrast agent's flowed for evalu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rasted cell and the severity of pain (one group ${\leq}$ VAS 7, the other group ${\geq}$ VAS 8) the degree of the contrast agent's contrast was evaluated by dividing and counting an image into 15 cells (the left, right, and middle sections at each level of L4, L5, S1, S2, and S3). Results: Thirty out of the 69 patients who had laterality in pain, that is, those who complained of predominant pain on one side, showed that the laterality of the pain and the contrast agent flow was consistent, while 39 patients showed that the laterality was inconsistent (P: 0.137). The evalu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in and the contrast agent flow showed that the mean number of contrasted cells was $9.0{\pm}2.2$ for the 46 patients in the group with a VAS of 7 or lower and $6.5{\pm}2.0$ for the 23 patients in the group with a VAS of 8 or higher, indicating that the former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contrasted cells (P < 0.001). Conclusions: This study, conducted with patients having lower back pain with or without leg pain, showed that the contrast flow pattern of caudal epidurograph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everity of the pain but not with the laterality of the pain.

미세수술을 통하여 수지신경을 압박하는 혈관종을 성공적으로 제거한 증례 보고 (Microscopic Decompression of Digital Nerve Surrounded by Hemangioma: A Case Report)

  • 고준걸;김준혁;나은영;이준용;유결;백상운
    •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 /
    • 제23권4호
    • /
    • pp.301-305
    • /
    • 2018
  • 혈관종은 내피세포로부터 기원한 양성종양의 일종으로, 수부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2세 여자환자로 우측 2수지 요골측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시행한 자기공명영상에서 수지신경을 압박하는 것으로 보이는 혈관종이 의심되었다. 수술을 시행하여 요골측 수지신경 및 수지혈관을 압박하고 있는 혈관종을 확인하였으며, 수지신경 및 혈관을 가능한 보존하기 위하여 미세수술을 통해 혈관종을 제거하였다. 공간점유성 병변에 의한 압박성 신경병증은 드문 일로, 정확한 진단에 어려움이 있으나, 본 증례와 같이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술 전 평가와 및 미세수술을 이용한 병변 제거 및 신경 보존을 통하여 신경병성 통증을 성공적으로 호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IBASPM을 이용한 해마체적 측정에서 뇌 Atlases에 대한 고찰 (A Study of brain Atlases in Hippocampus Volume Measurement Using IBASPM)

  • 김주호;이주원;김성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81-984
    • /
    • 2014
  • IBASPM(Individual Brain Atlases using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oftware)를 이용하여 해마의 체적 측정시, Atlas의 종류(Atlas69, Atlas71, Atlas84, Atlas116)에 따른 체적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20대 정상 성인 10명(남5/여5, $23.3{\pm}2.66$)으로부터 뇌 영상을 획득하였다. 1.5T MRI system(Siemens, Avanto, Erlangen, Germany)의 머리 격자코일(Head matrix coil)을 사용하여 3차원 경사에코 펄스 열(3-D gradient echo pulse sequence)인 MPRAGE(Magnetization Prepared Rapid Acquisition Gradient Echo)영상을 획득하였다. Atlas의 종류에 따라 획득된 해마의 체적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test)을 수행한 결과, 좌측 해마옆이랑(parahippocampal gyrus - left) Atlas69-Altas84, Atlas69-Atlas116(p=0.729, 0.729), 우측 해마형성체(hippocampal formation - right) Atlas69-Atlas84, Atlas69-Atlas116(p=0.219, 0.219)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이를 제외한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 그러고 Atlas84와 Atlas116을 이용한 해마의 체적은 모두 동일한 값을 나타내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00). Atlas영상과 원본 영상의 overlay를 이용한 영상분석에서는 Atlas71에서만 해마의 부위가 잘 못 정합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Atlas의 경우에는 서양인을 바탕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동양인의 뇌와는 차이가 있으며, 정확성 높은 체적의 측정을 위해서는 상황에 맞는 Atlas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메타분석을 통한 심리적 스트레스와 해마용적 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tress and hippocampus volume through meta-analysis)

  • 조민경;홍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27-236
    • /
    • 2018
  • 본 연구는 심리적 스트레스 경험과 해마 용적의 차이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 1990년도에서 2016년도까지 출판된 국외 문헌들 중 스트레스를 경험한 개인의 해마 용적을 측정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PRISMA에 따라 스트레스 경험 집단과 정상 집단 간의 해마 용적 차이를 확인하였다. MRI를 사용하여 해마용적의 평균, 표준편차, 사례수가 제시된 연구들이 분석에 사용되었고, 13편의 연구(스트레스 경험 374명, 정상 대상자 439명)가 최종 선별되었다. 스트레스원의 유형에 따라서는, 전쟁관련 연구 8편, 개인적 외상사건 관련 연구 5편으로 나눌 수 있다. 전체 메타분석에서 효과크기는 -0.70(-1.04; -0.37)이었고, 스트레스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전쟁 관련 하위집단에서의 효과크기는 -0.47(-0.78; -0.16), 개인적 외상사건 관련 하위집단에서의 효과크기는 -0.91(-1.57; -0.26)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스트레스의 경험과 해마 용적 간의 유의한 부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만성적인 스트레스 요인과 그로 인한 환자 집단들의 해마 용적은 각 연구 간 이질성이 높은 편이었지만, 3개의 연구를 제외하고 모두 해마 용적이 통제집단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in the Korean population: demographics and its relation with coexisting rotator cuff tear

  • Yoo, Yon-Sik;Park, Jin-Young;Kim, Myung-sun;Cho, Nam-Su;Lee, Yong-Beom;Cho, Seung-Hyun;Park, Kyoung Jin;Cho, Chul-Hyun;Lee, Bong Gun;Shin, Dong Joo;Kim, Han-Hoon;Lim, Tae Kang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4권1호
    • /
    • pp.21-26
    • /
    • 2021
  • Background: To evaluate the demographics, clinical and radiographic features of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in the Korean population,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incidence of coexisting rotator cuff tear. Methods: Between October 2014 and January 2015, we performed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with 506 patients from 11 training hospitals in Korea. We collected data of demographics and radiographic analysis based on simple radiographs, clinical assessments based on visual analog scale (VAS) and the American Shoulder Elbow Surgeons (ASES) score, and treatment modalities that are used currently. We also evaluated coexisting rotator cuff tear by ultrasonography (US)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mages. Results: There were 402 female patients (79%) with mean age of 55 years (range, 31-87 years). Mean duration of symptoms was 16 months. Mean size of calcific materials was 11.4 mm (range, 0-35 mm). Mean value of VAS and ASES scores were 6.5 (range, 1-10) and 47 (range, 8-95), respectively. Of 383 patients (76%), 59 (15%) had rotator cuff tear including 15 full-thickness tears on US or MRI. Patients with rotator cuff tea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lder age, recurrent symptoms, menstrual disorders in females, and having undergone calcification removal surgery and rotator cuff repair (all p<0.05). Conclusions: This study reported demographic, radiographic, and clinical features of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in Korean population, which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Western population. Coexisting rotator cuff tear was found with 15% incidence in this large series, suggesting that further radiographic study to evaluate rotator cuff tear might be needed in some calcific tendinitis patients of older age and presenting with recurrent symptoms.

부산 하수처리장에서 공정별 용존 희토류 원소의 농도 및 인위적 기원 가돌리늄의 배출량 평가 (Assessments of Dissolved Rare Earth Elements and Anthropogenic Gadolinium Concentrations in Different Processes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Busan, Korea)

  • 임이진;류종식;이준엽;이준호;조형미;김태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303-311
    • /
    • 2022
  • 자기공명영상(MRI) 장비의 조영제로 흔히 사용되는 가돌리늄(Gd)은 매우 안정된 상태로 하수처리과정에서 거의 제거되지 않고 수환경으로 유입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의 공법으로 하수처리를 하는 부산 수영 하수처리장에서 채취한 하수 시료의 공정별 용존 희토류 원소의 제거율 및 수환경으로 배출되는 인위적 기원 Gd(Gdanth)의 배출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용존 희토류 원소는 공정별 처리 단계에 따라 무거운 희토류 원소(Tb-Lu)에 비해 가벼운 희토류 원소(La-Eu)에서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일부 시료에서 나타난 음의(negative) Sm anomaly (<1)는 생물학적 제거 과정에서 Sm이 입자나 인산염과 흡착되어 함께 제거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모든 시료에서 양의(positive) Gd anomaly (149±50, n=9)를 보였으며, 공정별로 측정된 Gd의 총 농도 중 Gdanth은 약 97%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수처리과정에서 Gdanth 이 거의 제거되지 않고 수영강 하류로 배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별 처리용량을 고려하여 각 공정에서 배출되는 Gdanth의 배출량은 259 mmol/day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수처리장을 통해 수영만 연안으로 Gdanth이 지속적으로 배출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Gd의 중장기적인 관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간전이를 동반한 대장 상피모양혈관육종: 증례 보고 (Primary Colonic Epithelioid Angiosarcoma with Hepatic Metastasis: A Case Report)

  • 임지윤;홍성숙;황지영;김현주;진소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432-438
    • /
    • 2022
  • 대장 혈관육종은 매우 드문 악성 종양이며 빠르게 진행하고 나쁜 예후를 보인다. 우리는 장 폐쇄를 일으킨 대장 상피모양혈관육종의 빠르게 진행한 간전이가 있었던 44세 여자 환자의 사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복부 CT에서 불균질하게 조영증강되는 상행결장의 종괴로 인한 근위부 장 확장 소견이 있었고 수술 후 병리적으로 저분화암종으로 보고되었다. 4개월 후 추적 간 MRI에서 테두리 및 결절성의 현저한 동맥기 조영증강을 보이는 수많은 작은 간 결절들이 새로 생겼으며 간 혈관육종이 의심되는 형태로 보였다. 추가 면역조직화학검사 병리적 이차 의견에서 대장 상피모양혈관육종이 진단되었다. 환자는 6개월 후 추적 복부 CT에서 빠른 진행성 간 전이를 보였으며 8개월 후 사망하였다. 빠른 진행을 보이는 혈관육종의 간 전이의 영상 소견을 통해 혈관육종을 의심하고 재진단할 수 있었던 드문 대장 혈관육종의 교훈적인 사례로 생각된다.

Targetoid Primary Liver Malignancy in Chronic Liver Disease: Prediction of Postoperative Survival Using Preoperative MRI Findings and Clinical Factors

  • So Hyun Park;Subin Heo;Bohyun Kim;Jungbok Lee;Ho Joong Choi;Pil Soo Sung;Joon-Il Choi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3호
    • /
    • pp.190-203
    • /
    • 2023
  • Objective: We aimed to assess and validate the radiologic and clinical factors that were associated with recurrence and survival after curative surgery for heterogeneous targetoid primary liver malignancies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and to develop scoring systems for risk stratific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97 consecutive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who had a single targetoid primary liver malignancy (142 hepatocellular carcinomas, 37 cholangiocarcinomas, 17 combined hepatocellular carcinoma-cholangiocarcinomas, and one neuroendocrine carcinoma) identified on preoperative gadoxetic acid-enhanced MRI and subsequently surgically removed between 2010 and 2017. Of these, 120 patients constituted the development cohort, and 77 patients from separate institution served as an external validation cohort. Factors associated with recurrence-free survival (RFS) and overall survival (OS) were identified using a Cox proportional hazards analysis, and risk scores were developed. The discriminatory power of the risk scores in the external validation cohort was evaluated using the Harrell C-index. The Kaplan-Meier curves were used to estimate RFS and OS for the different risk-score groups. Results: In RFS model 1, which eliminated features exclusively accessible on the hepatobiliary phase (HBP), tumor size of 2-5 cm or > 5 cm, and thin-rim arterial phase hyperenhancement (APHE) were included. In RFS model 2, tumors with a size of > 5 cm, tumor in vein (TIV), and HBP hypointense nodules without APHE were included. The OS model included a tumor size of > 5 cm, thin-rim APHE, TIV, and tumor vascular involvement other than TIV. The risk scores of the models showed good discriminatory performance in the external validation set (C-index, 0.62-0.76). The scoring system categorized the patients into three risk groups: favorable, intermediate, and poor, each with a distinct survival outcome (all log-rank p < 0.05). Conclusion: Risk scores based on rim arterial enhancement pattern, tumor size, HBP findings, and radiologic vascular invasion status may help predict postoperative RFS and OS in patients with targetoid primary liver malignancies.

Medium and Long-Term Data from a Series of 96 Endoscopic Transsphenoidal Surgeries for Cushing Disease

  • Buruc Erkan;Muhammed Bayindir;Ebubekir Akpinar;Osman Tanriverdi;Ozan Hasimoglu;Lutfi Sinasi Postalci;Didem Acarer Bugun;Dilara Tekin;Sema Ciftci;Ilkay Cakir;Meral Mert;Omur Gunaldi;Esra Hatipoglu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7권2호
    • /
    • pp.237-248
    • /
    • 2024
  • Objective : Postoperative data on Cushing's disease (CD) are equivocal in the literature. These discrepancies may be attributed to different series with different criteria for remission and variable follow-up durations. Additional data from experienced centers may address these discrepancies.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results obtained from 96 endoscopic transsphenoidal surgeries (ETSSs) for CD conducted in a well-experienced center. Methods : Pre- and postoperative data of 96 ETSS in 87 patients with CD were included. All cases were handled by the same neurosurgical team between 2014 and 2022. We obtained data on remission status 3-6 months postoperatively (medium-term) and during the latest follow-up (long-term). Additionally,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pathology results were obtained for each case. Results :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39.5±3.2 months. Medium and long-term remission rates were 77% and 82%, respectively. When only first-time operations were considered, the medium- and long-term remission rates were 78% and 82%, respectively. The recurrence rate in this series was 2.5%. Patients who showed remission between 3-6 months had higher long-term remission rates than did those without initial remission. Tumors >2 cm and extended tumor invasion of the cavernous sinus (Knosp 4) were associated with lower postoperative remission rates. Conclusion : Adenoma size and the presence/absence of cavernous sinus invasion on preopera-tive MRI may predict long-term postoperative remission. A tumor size of 2 cm may be a supporting criterion for predicting remission in Knosp 4 tumors. Further studies with larger patient populations are necessary to support this finding.

CycleGan 딥러닝기반 인공CT영상 생성성능에 대한 입력 MR영상의 T1 및 T2 가중방식의 영향 (Dependency of Generator Performance on T1 and T2 weights of the Input MR Images in developing a CycleGan based CT image generator from MR images)

  • 이사무엘;정종훈;김진영;이연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7-44
    • /
    • 2024
  • MR은 우수한 연조직 대비와 기능 정보를 보여줄 수 있지만, 방사선치료에서 정확한 선량 계산을 위해서는 CT영상의 전자밀도 정보가 필요하다. 방사선치료(Radiotherapy) 계획 워크플로우에서 MR영상과 CT영상을 융합하기 위해 환자는 일반적으로 MR과 CT영상 방식 모두에서 스캔된다. 최근에 딥러닝기술 덕분에 MR영상에서 딥러닝 기반의 CT영상 생성이 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CT 스캔 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MR영상으로부터 CycleGan 딥러닝 기반 CT영상생성을 구현했다. T1가중이나 T2가중 중에 한 가지 또는 그 둘다의 MR영상을 가지고 합습한 3가지의 인공지능 CT생성기를 만들었다. 결과에서 우리는 T1가중 MR 영상 기반으로 학습한 생성기가 T1가중 MR영상이 입력될 때 다른 CT생성기보다 더 나은 결과를 생성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반면, T2가중 MR영상 기반 CT생성기는 T2가중 MR영상을 입력 받을 때, 다른 시퀀스기반 CT생성기보다 더 나은 결과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MR영상을 기반으로 한 CT생성기는 곧 임상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특정 시퀀스 MR영상으로 학습한 머신러닝 CT생성기는 다른 시퀀스 MR영상으로 학습한 생성기보다 더 그 특정 시퀀스와 같은 MR영상을 입력받을 때 더 나은 CT영상을 생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