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eul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4초

전통적 공간과 포스트모던 공간 -고향의 의미를 중심으로- (Traditional Space and Postmodern Space -The Case Study of Three Korean Communities -)

  • 김진명
    • 건축역사연구
    • /
    • 제10권1호
    • /
    • pp.61-74
    • /
    • 2001
  • This paper intends to explore some aspects of space as metaphor for the being of a subject and a subjected state of being. This paper deals with 3 Korean communities. Examples include (1) Yeog-maeul in Honam province (2) Samni village in Youngnam province (3) Bem Island in Seoul. Yeog-maeul is the village of Sannmin's (commoners), which is socially isolated from it's surrounding Yangban's villages. The social life in Yeog-maeul is generally divided two areas : that of men and women. The former is expressed as a life Dorang-Pak(outside of the stream) and the latter as Dorang-Ahn(inside of the stream). The former is a life of formality, sacredness. The latter is a life of informality, profaneness. Samni is a typical Yangban's village. With the support of literature such as Kohyun-Hyang-Yak(古縣鄕約). Yangban has exercised the social control which is widely practiced in various fields ranging from the fetal movement to the location of tombs. Bam Island is located Han river. It's resident had lived on the Island for over 700 Years, until they were forced to move collectively out of the Island, and settle in Chang-chun dong of Seoul. Yet, these people have kept holding Bugundang Kut, ritual for the entire village. The former Bam Islanders whose traditional culture is suppressed by the surrounding postmodern culture, have tried to fill the gap between their ideal and actual lives by symbolically realizing the former in the community ritual. In ritual life, the former Bam Islanders are deemed to sacred, while the rest of citizens of Seoul profane. The residents of Yeog-maeul and Samni village which live a life an their traditional space, has been subjects. But, the former Bam Islanders which moved collectively out of traditional space and settle in the postmodern space experience the subjected state of being.

  • PDF

마을공동체미디어 활성화 방안 - 광주광역시 마을미디어를 중심으로 (Activation of Maeul Community Media - Analysis of Gwangju Metropolitan Community Media)

  • 강철수;김덕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89-98
    • /
    • 2019
  • 마을공동체미디어는 마을의 구성 복원과 마을 주민의 소통을 위해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운영되는 공동체미디어이다. 공동체내의 소통구조 활성화와 마을 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역할로써 마을 미디어에 대한 학계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마을미디어의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운영주체들의 성격과 활동의 특성 등을 통해서 활성화 방안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광주광역시 마을미디어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마을미디어 활동가, 종사자,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마을미디어의 특성과 문제점 및 애로점과 활성화 방안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광주광역시 마을미디어들은 공모사업을 통해서 재원을 마련하고 다양한 매체들을 활용하였고 주민참여를 확대하고자 하였으며 공간 확보는 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활성화 방안으로는 행정적 제도적 지원을 지적하였고 정책적인 관심과 활동가에 대한 제작실비의 지원을 제기하였다. 지속적인 교육의 필요성도 제시하였다. 마을미디어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심의 전환과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공간생산이론을 통해 본 지역문화콘텐츠의 창출 과정과 의미 : 칠곡군 영오리 사례 (Creation and Meaning of Local Cultural Contents through Maeul-mandeulgi : Case of Chilgok-gun Yeong ori)

  • 이재민
    • 지역과문화
    • /
    • 제7권1호
    • /
    • pp.1-26
    • /
    • 2020
  • 본 연구는 마을에서 전승되는 '천왕제'를 활용하여 마을만들기 사업을 진행하면서 나타나는 지역문화콘텐츠의 창출 과정을 분석하고, 이것이 함의하는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칠곡군 영오리를 사례로 하는 질적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르페브르의 공간생산이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민들은 공동체 위기의 극복을 위해 마을만들기와 같은 사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였으며, 기존 마을신앙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시도하면서 공간적 실천양상이 나타났다. 기존 전승되던 천왕제에 유희적 요소를 가미하여 '천왕제 축제'라는 새로운 지역문화콘텐츠를 창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마을정체성을 강화하였다. 이는 마을을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재생산되는 계기가 되었으나, 한편 지나친 물리적 팽창에 따른 주민소외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는 공간의 재현 양상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마을만들기 활동을 실천함에 따라 마을주민들은 소속감이 증대되고, 만족감이 제고되었으며, 이는 공동체 의식이 강화되는 재현의 공간으로 생산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마을 만들기를 통한 노후주거지의 주거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사례비교를 중심으로 -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in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via the Maeul-mandeulgi - Focus on the cases in Korea and Japan -)

  • 이주헌;최찬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75-82
    • /
    • 2011
  • In this study, the desirable dire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was presented by comparing the areas in Korea and Japan that are difficult to develop due to regulations and low profitabilit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a new plan should be presented by autonomous governments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make the most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omprehensive nationwide redevelopment. The project must be gradually progressed without haste, from the residents' point of view. The basic project outline and the method must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ity planning.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hat the designation of the housing redevelopment district should be cancelled if the project cannot be progressed due to the constraints such as city planning and residents' opposition, and a legal basis should be stipulated so that different project methods, including maeul-mandeulgi, can be introduced.

Rural landscape and biocultural diversity in Shinan-gun, Jeollanam-do, Korea

  • Kim, Jae-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2호
    • /
    • pp.249-256
    • /
    • 2015
  • Islands are often habitats to unique species because they have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from the mainland and other islands. Another characteristic of islands is their limited natural resources, which has led island residents to heavily rely on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TEK) and use resources sustainably. The so-called "Maeul landscape" shows the interrelationship of biological species and people's use of natural resources. Shinan-gun is an administrative district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that forms an archipelago with huge tidal flat areas. Since long ago, people's use of these tidal flats shows a high degree of biocultural diversity. Maeul landscapes also show humans' adaptation to the natural environment. For instance, strong winds blowing mainly from the northwest have led people in Shinan-gun to create "Ushil," a windbreak forest with stone blocks to block wind from their villages and agricultural fields. At present, the transfer of TEK to future generations is at stake due to socio-economic changes that cause island populations to shrink and age rapidly. Islands are often regarded as good destinations for tourism, but attention should also be given to sustainable development due t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sland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re making efforts to curb the threats of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especially on small islands. Their activities are aimed at seeking solutions that stress the central role of biocultural diversity in establishing the sustainable use of natural resources on islands. Joint efforts oflocal people and government authorities to protect and conserve the Maeul landscape should be encouraged.

Some Design Approaches for Practical Use of Small Urban Spaces

  • Kim, Do-Kyong;Hong, Hyung-Soon;Suh, Joo-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1호
    • /
    • pp.192-201
    • /
    • 2001
  • Today, the availabity of usable pieces of land in urbanized areas is very limited. Specifically, it is very difficult to secure a piece of land to be used as a park for the public, mainly due to the high price of land in cities. However, the City of Seoul has carried out three action plans to secure land deemed for insufficient parks and to vitalize these small piece of land in downtown areas such as following: 1. Ssamzie-park(Korean version of a 'vest pocket park') Development Plan in 1990 through 1991. 2. Modernization Plan for Children's Parks since 1994. 3. Maeul-madang (Korean version of 'community garden')Development Plan since 199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some design approaches for practical use of small urban spaces by articulating the concepts of Modernization Plan for Children's Park and Maeul-madang Development Plan of the winning entries and by describing how the concepts were actualized in reality.

  • PDF

거주와 관광의 양립을 위한 문화재마을 공간체계의 조정 원칙과 방법에 관한 연구 - 아산 외암마을 관광객의 관광행태 분석을 중심으로 - (The Principle and Method for the Spatial System Modification of Cultural Property Villages for the Compatibility of Habitation and Tourism - Based on the Analysis of Tourists' Behavior in Asan Oeam-maeul -)

  • 한필원;홍정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47-54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rinciple and method of the spatial system modification for the compatibility of habitability and tourism convenience in cultural property villages. Based on the field survey on tourists' routes, activities and their durations in Oeam-maeul, the problems of conflict, between habitability/residents and tourism/tourists, and their causes are analyzed. And the modification principle and method of spatial system is proposed as follows; The basic principle of the spatial system modification is to respect the traditional hierarchy in village roads, between the main road and sub-roads, and the territoriality of settlement space that is typically differentiated as the social, individual, and ceremonial domains, from the front to rear part of settlement. With this principle, it is recommended to restrict the tour route to one that is composed of the main road and the periphery road of housing area, and some connecting sub-roads. based on the surveyed tourists's routes.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tourist facilities, whether they are existing houses or newly built buildings, and the tourist programs are necessary for experience tourism to cultural property villages, and they are proposed to be placed along the restricted tour route.

민간 아카이브 활성화의 의미와 과제 마을공동체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and Tasks of Vitalizing Private Archives : Focused on Maeul-community Archives)

  • 손동유
    • 기록학연구
    • /
    • 제65호
    • /
    • pp.89-108
    • /
    • 2020
  • 기록관리법이 처음 제정된 후 20여년이 지난 지금 기록관리 환경은 많이 바뀌었다. 전자기록환경의 도래, 대통령기록관리의 중요성, 민간기록물관리의 중요성 등은 2006년 기록관리법을 전면 개정하는 직접적인 배경이 되었다. 전자기록관리분야와 대통령기록관리 분야는 과제와 한계가 있지만 꾸준히 발전해 오고 있다. 그러나 민간분야의 아카이빙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는 양상에 비해 정책과 제도의 변화는 크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을공동체 아카이빙의 전국적 움직임은 기록관리계의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한 사회는 민간영역과 공공영역의 서로 협력하고 건강한 견제관계를 이룰 때 발전하게 된다. 아카이빙 분야에 있어서도 관민의 협력을 통해 사회전반에 걸쳐 활발한 아카이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무당굿의 축제 가능성과 방향 모색 (Seeking for a Festival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Mudang Gut)

  • 홍태한
    • 공연문화연구
    • /
    • 제20호
    • /
    • pp.309-338
    • /
    • 2010
  • 이글은 무당굿이 가지고 있는 축제적인 본질에 주목하여 무당굿의 현대 축제화의 가능성을 모색한 글이다. 무당굿의 여러 구성요소나 마을굿의 연행 과정을 볼 때 무당굿이 축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최근의 굿판의 사정을 고려할 때 무당굿이 진정한 축제가 되는 데에는 다소 문제가 있는데, 무엇보다도 무당굿을 바라보는 왜곡된 시선이 무당굿이 가지고 있는 축제성을 외면하게 한다. 아울러 무당굿이 개인의 기복성을 강조하는 쪽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자신은 무당굿을 하면서도 그를 감추려는 이중적인 시선이 무당굿의 축제성을 약화시킨다. 마을굿에서도 잘못된 행정관청의 지원과 무형문화재 제도의 편중된 지원 등이 겹쳐 점점 일회적 행사굿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무당굿이 진정한 축제가 되는 길은 요원하다. 하지만 무당굿을 종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문화 현상 내지는 놀이문화로 바라보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축제에서 구색 맞추기로 무당굿을 연행할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참가할 수 있는 공연물로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공연물은 여느 공연물과는 성격이 다른 것도 받아들여야 한다. 무당굿은 관객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무당의 반응에 공감하면서 직접 참여하는 연행인을 필요로 한다. 구경꺼리로 볼 것이 아니라, 자신이 직접 배우로 참여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할 때 무당굿의 축제화 길이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