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reation and Meaning of Local Cultural Contents through Maeul-mandeulgi : Case of Chilgok-gun Yeong ori

공간생산이론을 통해 본 지역문화콘텐츠의 창출 과정과 의미 : 칠곡군 영오리 사례

  • Received : 2020.02.27
  • Accepted : 2020.03.21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reation process of local cultural contents that appears in the Maeul-mandeulgi by utilizing the "Village Rituals" handed down from village.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social values and meanings they represent.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ing Chilgok-gun Yeong-ori was applied and analyzed through Lefebvre's the production of space theory. Residents began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projects such as Maeul-mandeulgi to overcome the community crisis, and attempt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existing village rituals. Residents began to recognize the need for projects such as Maeul-mandeulgi to overcome the community crisis, Attempt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existing village rituals resulted in spatial practice. The new cultural contents were created by adding a playful element to the existing Cheonwangje, and thereby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the village. This resulted in the reproduction of the village as a new cultural space, but it showed the reproduction of the space in which the alienation occurred due to excessive physical expansion. However, through this process, villagers increased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increased their satisfaction, which showed the process of being produced as a space of representation that strengthens the sense of community.

본 연구는 마을에서 전승되는 '천왕제'를 활용하여 마을만들기 사업을 진행하면서 나타나는 지역문화콘텐츠의 창출 과정을 분석하고, 이것이 함의하는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칠곡군 영오리를 사례로 하는 질적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르페브르의 공간생산이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민들은 공동체 위기의 극복을 위해 마을만들기와 같은 사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였으며, 기존 마을신앙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시도하면서 공간적 실천양상이 나타났다. 기존 전승되던 천왕제에 유희적 요소를 가미하여 '천왕제 축제'라는 새로운 지역문화콘텐츠를 창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마을정체성을 강화하였다. 이는 마을을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재생산되는 계기가 되었으나, 한편 지나친 물리적 팽창에 따른 주민소외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는 공간의 재현 양상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마을만들기 활동을 실천함에 따라 마을주민들은 소속감이 증대되고, 만족감이 제고되었으며, 이는 공동체 의식이 강화되는 재현의 공간으로 생산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균태(2010), 한.일 마을제의(祭儀)의 축제적 성격 비교 고찰, 비교민속학 42, 57-93.
  2. 김병욱(2009), 공간의 생산과 미디어 담론 : 청계천의 1960년대 복개공사와 2005년 복원공사에 대한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류정아(2003), 축제인류학, 살림지식총서 014.
  4. 박승희(2013), 지역 역사 공간의 스토리텔링 방향과 실제, 한민족어문학, 63(0), 403-429.
  5. 박지애(2015), 대도시 인근 농촌경계지역의 민요 소통과 전승, 한국민요학 44, 47-73.
  6. 서경원.정명철.김상범.권봉관.양예숙(2017), 마을공동체 전통유물을 활용한 축제콘텐츠 개발의 실제 : 영원 삼굿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이벤트컨벤션연구 13(3), 41-65.
  7. 서영표(2013), 추상적 공간과 구체적 공간의 갈등, 공간과 사회 47, 5-45.
  8. 이동아(2013), 서울지역 마을신앙의 변화 양상, 민족문화논총 70, 205-234.
  9. 이용범(2013), 도시마을에서의 마을신앙 변화, 민속연구 27, 97-120.
  10. 이재민.임지혜(2016), 칠곡군 어로리 인문학 마을의 공동체 형성과정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7(S), 593-608.
  11. 이재민(2017), 복합문화공간으로서 보수동 책방골목의 기능분석, 인문사회 21 8(6), 735-749.
  12. 이재민.임지혜(2017), 평생학습으로서 노인 연극 활동의 의미, 교육문화연구 23(6), 625-643.
  13. 이재민(2018a), 주민들의 마을프로그램 참여경험으로 본 마을공동체 지속가능성 평가와 대안,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박사학위논문.
  14. 이재민.권기창(2018b), 새로운 복합문화공간 유형으로서 자연융합형 공간에 관한 사례연구,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21(11), 1333-1341.
  15. 이재민(2019a), 마을 공동체 만들기, 커뮤니케이션북스
  16. 이재민(2019b), 새로운 복합문화공간 유형으로서 자연융합형 공간의 개념 및 특성: 공간생산 이론을 적용한 사례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40, 65-85.
  17. 임재해(2008), 공동체 문화로서 마을 민속문화의 공유가치, 실천민속학연구 11, 107-163.
  18. 장승현.이근모(2014), 피트니스클럽 공간의 생산: 일상적 공간으로서 실천, 재현, 전유, 한국스포츠학회지 27(1), 51-78.
  19. 조정현(2009), 공동체신앙의 축제화를 통한 마을 활성화, 민속연구 18, 201-228.
  20. 태지호(2014), 공간형 콘텐츠, 커뮤니케이션북스.
  21. 태지호(2019), 문화콘텐츠 2.0,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문화콘텐츠에서 인터콘텐츠로, 콘텐츠문화연구 1, 1-29.
  22. 한양명(2000), 축제와 놀이, 한국축제의 이론과 현장, 월인.
  23. 이진우.태정호(역), 인간의 조건, Arendt. H(1958), 한길사.
  24. 양영란(역), 공간의 생산, H. Lefebvre(2011), 에코리브르.
  25. 표준국어대사전(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자료검색일 2020.02.15.)
  26. 지역문화진흥원홈페이지(http://www.rcda.kr/business4_new.asp, 자료검색일 2020.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