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cropores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37초

Plasma 용사된 MgO 안정화 지르코니아 단열피복의 기공도와 경도에 미치는 용사조건의 영향 (Effects of Spraying Conditions on the Porosity and Hardness of Plasma Sprayed MgO Stabilized Zirconic Thermal Barrier Coatings)

  • 박영규;최국선;이동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5-94
    • /
    • 1992
  • Plasma 용사된 단열피복에 내재하는 기공의 크기, 형상 및 분포는 피복층 자체의 물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용사변수에 따라 조사하였다. MgO 안정화 지르코니아 피복시 도입되는 기공은 미세기공 외에 각각 생성기구가 다른 조대한 기공 즉 구형과 불규칙한 기공, 그리고 crack으로 구성되었다. 용사거리에 따라 기공의 생성과정과 특성이 변하였으며 Plasma 전류 및 가스 유량의 증가에 의해서 기공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lasma 가스가 $N_2$인 경우가 Ar보다 더 높은기공도를 보였고 전체적으로 단열피복의 기공도는 10~18%였다. Scratch test로 측정된 단열피복층의 상대적인 경도는 기공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rhBMP-2 using biphasic calcium phosphate block as a carrier induces new bone formation in a rat subcutaneous tissue

  • Kim, Joon-Il;Yun, Jeong-Ho;Chae, Gyung-Joon;Jung, Sung-Won;Kim, Chang-Sung;Cho, Kyoo-S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8권sup2호
    • /
    • pp.355-362
    • /
    • 2008
  • Purpose: The carrier for the delivery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s(BMPs) should also serve as a scaffold for new bone growth. In addition, predictable bone formation in terms of the volume and shape should be guaranteed. This study evaluated the ectopic bone formation of recombinant human BMP-2(rhBMP-2) using a micro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 (MBCP: mixture of ${\beta}TCP$ and HA) block as a carrier in a rat subcutaneous assay model. Materials and Methods: Subcutaneous pockets were created on the back of 40 male Sprague-Dawley rats. In the pockets, rhBMP-2/MBCP and MBCP alone were implanted. The blocks were evaluated by histological and histometric parameters after a healing interval of 2 weeks (each 10 rats; MBCP and rhBMP-2/MBCP) or 8 weeks (each 10 rats; MBCP and rhBMP-2/MBCP). Results: The shape and volume of the block was maintained stable over the healing period. No histological bone forming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MBCP alone sites after 2 weeks and there was minimal new bone formation at 8 weeks. In the rhBMP-2/MBCP sites, new bone formation was evident in the macropores of the block. The new bone area at 8 weeks was greater than at 2 weeks. There was a further increase in the quantity of new bone with the more advanced stage of remodeling. Conclusions: A MBCP block could serve as a carrier system for predictable bone tissue engineering using rhBMPs.

방사능탐지용 CAYS 함침 이중구조 폴리설폰막의 형상 및 특성에 제막공정의 습도가 미치는 영향 (Vapor Exposure Effect of a Casting Solution on the Embedding and Radioactive Detection of CAYS in Double-layered Polysulffne Film)

  • 한명진;남석태;이근우;서범경
    • 멤브레인
    • /
    • 제15권3호
    • /
    • pp.198-205
    • /
    • 2005
  • 방사능 오염도 측정에 사용하기 위한 이중구조 고분자막이 폴리설폰과 세륨활성화된 이트륨실리케이트(CAYS)를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제조된 막은 순수 고밀도 고분자 지지층과 이에 제막된 고분자 용액의 상전환 공정에 의해 고형화된 CAYS 함침 활성층의 이중구조로 구성된다. 제막공정에서 대기방치 공정이 생략되었을 때 CAYS를 포함하는 활성층은 전형적인 비대칭 구조를 지니며, CAYS 입자들이 고분자 구조 사이에 박혀있는 형상을 지닌다. 제막공정에서 대기에 방치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막의 형상은 스폰지 구조를 띠며 CAYS는 고분자 구조로부터 분리되어 막 내부에 셀 같은 공간에 밀집되어 존재함을 보였다. 한편, 두 충 사의 계면형상은 고분자 고형화 과정에서의 상전환 속도와 밀접한 관련되었으며, 대기방치 시간의 증가에 따라 계면의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방사능 탐지 특성에서 스폰지 구조를 지니는 막의 고분자 구조는 방사성핵종이 통과할 수 없는 밀집된 형상을 지니면서 탐지효율의 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 나노입자가 분산된 Honeycomb-patterned 수지 합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Synthesis of Honeycomb-patterned Resin Dispersed Silver Nanoparticles)

  • 이동창;이종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711-718
    • /
    • 2017
  • Poly(N-vinylcarbazole) (PVK)-cellulose triacetate (CTA) 복합체를 합성하고, 필름에 기공을 형성시킨 뒤, 화학적 환원법을 통해 은 나노입자를 부착하는 것을 연구하였다. PVK-CTA 복합체는 CTA-chloroform 용액에서 iron(III) chloride를 산화제로 사용하여 N-vinylcarbazole을 중합시켜 복합체를 합성하였고, 얻어진 복합체를 습한 환경에서 휘발성용매로 적셔 수증기를 적용하여 macropore가 균일하게 형성된 구조인 Honeycomb-pattern을 형성시켰다. 이후 환원제로 Tetrathiafulvalene (TTF)와 분산제로 polyvinylpyrrolidone (PVP)를 사용하여 화학적 환원법을 이용해 은 나노입자를 Honeycomb-pattern이 형성된 복합체 표면에 부착시켰다. FT-IR과 UV-Vis spectrometer을 이용하여 복합체의 형성여부를 확인하였고, N-vinylcarbazole의 함량을 달리하여 중합한 뒤 복합체의 열 분해도를 측정하였다.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통해 복합체 표면에 형성된 기공의 균일도와 부착된 은 나노입자들의 분산성을 분석하였으며, 환원제, 분산제, 전구체 용액의 농도를 달리하여 은나노입자의 분산성을 확인하였다.

Micromorphological Features of Pan Horizon in the Soils Derived from Different Parent Materials

  • Zhang, Yongseon;Sonn, Yeon-Kyu;Moon, Yong-Hee;Jung, Kangho;Cho, Hye-Rae;Han, Kyeong-Hwa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42-248
    • /
    • 2014
  • We have five soil series of pan soils in South Korea out of 391 series: Gangreung, Bugog, Yeongog, Jangweon, and Pogog. Productivity decreases in pan soils as pan horizons impede percolation and capillary rise of water and interrupt root extens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pedogenic processes of pan soils mainly located in footslope and river terrace by analyzi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oil micro-morphology. Korean pan soils belong to Alfisols, Ultisols, or Inceptisols and have udic or aquic soil moisture regime, mesic temperature regime, and mixed mineral substances. Texture of pan horizons selected for the present study was mainly silty clay loam with clay contents ranging from 26.3 to 45.3%. Bulk density of the pan horizons ranged from 1.4 to $2.1Mg\;m^{-3}$ and their soil structure were subangular or angular structure. In terms of micro-morphological structure, Bt horizon of Gangreung series was formed as platy and striated b-fabric structure possibly affected by uplift of coastal terrace following clay sedimentation by flood. Jangweon series showed micro-morphology of massive structure and crystallic b-fabric as macropores between coarse debris established by debris fall in slope were filled with silt-sized particles. The Bt horizons having massive structure and striated b-fabric in Yeongog, Pogog, and Bugog series implies that those horizons experienced horizontal mass flow after clay accumulation.

튜브식 양극판의 침적공정이 전지 성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soaking in the manufacturing of positive tubular plates on the performance of lead-acid batteries)

  • 윤연섭;김병관;안상용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1-218
    • /
    • 2008
  • The performance of positive plates depends on the structure of the lead dioxide active mass. The positive active materials (PAM) consists of a skeleton, built up of agglomerates and macropores. Agglomerates, in their turn, comprise particles and micropores. This paper described a study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soaking times between the acid fill and formation stages of the tubular plate production. For the positive plates a lead oxide were filled into tubular bag with a red lead. After filling the positive plates were soaked in $H_2SO_4$ solution. X-ray diffraction(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and electrical testing had been used to study the compositional and morphological aspects of the positive active material(PAM) just prior and after formation. Results indicate that PAM compositions were effected by the soaking time and acid density of $H_2SO_4$ solution. It can be seen that as the soaking time duration increases, $\alpha$-PbO, $Pb_3O_4$, and Pb were all gradually sulphating. Composition of 3BS reached a maximum at around 3 h duration and $H_2SO_4$ of sp. gr. 1.10 on soaking. This results would suggest that the most beneficial conditions for soaking were the $H_2SO_4$ of sp. gr. 1.10 and 2 to 6 h of soaking.

Effect of soil physical properties on nitrogen leaching during sesame (Sesamum indicum L.) cultivation under lysimeter conditions

  • Chan-Wook Lee;Jung-Hun Ok;Yang-Min Kim;Yo-Sung Song;Hye-Jin Park;Byung-Keun Hyun;Ye-Jin Lee;Taek-Keun Oh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2호
    • /
    • pp.379-387
    • /
    • 2022
  • A large amount of the mineral nitrogen is necessary for crop growth. With the use of nitrogen fertilizers, agricultural yield has increased during the last few decades. However, at the same time, nitrate from the cultivated land can be a sour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especially in water systems. For nitrogen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attern of nitrogen movement in soil. In this study, nitrogen leaching in upland soils was evaluated using undisturbed lysimeters with different soil textures during sesame cultivation. The soil texture of the lysimeters was clay loam (Songjung series) and sandy loam (Sangju series) soils. Sesame was cultivated from May 25 to August 24 in 2020. The standard amount of NPK fertilizer (N-P2O5-K2O = 2.9-3.1-3.2 kg·10 a-1) was applied before sowing. The amount of nitrogen leaching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nitrogen (NO3-N + NH4-N) concentration and the amount of water drained below 1.5 m soil depth. The water was drained through percolation into macropores in the clay loam lysimeter. In contrast, in the sandy loam lysimeter, water drained more slowly than in the clay loam lysimeter.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he total amount of leachate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but the amount of nitrogen leaching was high in sandy loam soil. During the sesame cultivation period, the amount of nitrogen leaching from clay soil was 5.64 kg·10 a-1, and 10.70 kg·10 a-1 for sandy soil. We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leaching depending on the soil phys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oil to evaluate the leaching of nitrogen.

포화 불교란 토양시료의 Cl- 및 Cu2+ 출현곡선에 의한 preferential flow의 검증 (Preferential Flow as Tested by Breakthrough Curves of Cl- and Cu2+ from Saturated Undisturbed Soil Core Samples under Steady Flow Conditions)

  • 류순호;한경화;노희명;한광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71-78
    • /
    • 2000
  • 사과 과수원 토양(송정통, the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Hapludults)을 층위별로 채취하여 토양 수리적 특성과 누적공극분포를 조사하고 표토인 Ap1층과 점토집적층인 B1층에서 각각 토양코아시료 (지름 7.4 cm, 높이 7.4 cm)를 채취하여 포화조건에서 $Cl^-$$Cu^{2+}$로 혼성치환실험을 수행하고 그 출현곡선으로부터 선택류(選擇流)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Ap1층과 B1층은 사질 식양토로 같은 토성이나 Ap1층의 포화수리전도도는 $2.0cmhr^{-1}$로 B1층($0.27cm hr^{-1}$)의 약 7배에 달하였다. C층은 포화수리전도도 $5.2cmhr^{-1}$인 구조가 없는 사양토로 물과 용질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이 가장 낮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누적 공극분포에서 Ap1층과 B1층의 대공극량(토양수분포텐셜 - 6 kpa에 해당하는 지름 $49{\mu}m$ 이상의 공극)은 각각 총 공극량의 24%, B1층은 14%이었다. 염소출현곡선에서 Ap1층 코아와 B1층 코아의 수력학적 분산계수는 각각 $34cm^2hr^{-1}$, $1.3cm^2hr^{-1}$이었고 이때 B1층 코아의 지연계수는 1인 반면 Ap1층 코아는 0.6으로 부동수분과 유동수분의 분배가 일어났다. 양이온 치환용량이 Ap1층이 B1층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Ap1층 코아의 구리지연효과가 B1층보다 더 작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포화수리전도도와 대공극 함량이 큰 Ap1층에서 선택류(選擇流)가 일어날 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투수성이 좋은 모재층을 가진 이 토양단면에서 Ap1층에서 선택류(選擇流)가 일어난다 하더라도 B1층에 의해 제한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시멘트 클린커 반응에서 중금속(Cd, Cr, Cu, Pb)의 거동과 영향 (Effects and Behaviors of Heavy Metals(Cd, Cr, Cu, Pb) in Cement Clinker Reaction)

  • 홍성수;이택홍;임계규;오희갑;이봉한
    • 공업화학
    • /
    • 제10권5호
    • /
    • pp.696-700
    • /
    • 1999
  • 산업부산자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중금속이 시멘트 클린커 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거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원료물질에 Cu, Cd, Cr, Pb의 중금속 이온을 500 ppm 첨가하고 $1450^{\circ}C$에서 30분간 소성하여 소성성, 중금속의 고정농도 및 분배율에 따른 거동을 관찰하였다. 중금속의 고정농도는 Pb가 5% 이하로 가장 낮았으며 Cr은 약 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450^{\circ}C$에서 소성한 Cr을 첨가한 클린커는 free CaO의 함량이 3.41%로 소성성이 낮았으며 기타 중금속의 첨가는 클린커의 반응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만 중금속의 휘발로 인하여 클린커 조직에 거대 및 미세 기공이 다수 발생되었다. 클린커 원료에 첨가한 중금속중 Cd와 Cr은 주로 alite와 belite에 분배되었으나 Cu는 간극물질에 집중적인 분배율을 나타냈고 Pb는 휘발도가 높아 클린커 조직내에서 검출한계 내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원자력시설 해체 시 특성평가를 위한 표면오염 탐지 이중구조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 (Preparation of polymeric composites for surface contamination measurement in order to characterize 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 한명진;서범경;우주희;이근우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학술논문집
    • /
    • pp.97-104
    • /
    • 2004
  • 원자력시설의 해체를 위한 표면오염도를 측정함에 있어 기존의 일반적인 단일층 함침 복합체의 단점을 개선한 치밀한 구조의 지지층 위에 활성층의 2차막을 도포 하여 제조된 이중 구조의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세륨활성화된 이트리움실리케이트(Cerium-activated ytttrium silicate, CAYS)를 함침시킨 폴리설폰 이중구조 필름은 1차 지지층으로서 폴리설폰 (polysulfone, PSF)과 메틸렌클로라이드 (methylene chloride, MC)로 이루어진 2액용액을 유리판 위에 제막하고 증발을 통해 MC를 제거하여 고분자의 유리화(vitrification)를 통해 치밀한 구조로 고형화하도록 하였다. 고형화한 1차층 위에 CAYS 와 용매로 이루어진 2차 제막용액을 덧붙여 도포하고 물에 침지시키거나 대기방치를 통해 고형화시켰다. 이렇게 이루어진 2중 구조의 무기섬광체 함침 복합체 필름은 2차 제막층에 손가락 형태의 큰 기공이 생성되었으며, 1차층과 2차층이 완전히 결합되어 있어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냈다. 한편, 섬광체인 CAYS를 첨가하였을 때 필름에 생성되는 은 기공의 형성이 증대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용매의 증발에 의해 고형화 된 필름은 치밀한 구조의 형상을 보였다. 제조된 필름들은 방사성핵종의 탐지에 있어 신뢰할만한 탐지 결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