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achine translation

Search Result 38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electing Model of Head in Support Verb Constructions for Phrase-Pattern-based Korean-to-English Machine Translation (구 단위 패턴 기반 한영 기계 번역에서의 기능동사 구문의 중심어 선택 모델)

  • Kim, Hae-Gyung;Chae, Young-Soog;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203-208
    • /
    • 1999
  • 한국어는 잉여성과 중의성의 범 언어적인 특징과 함께 다른 언어에 비해 주어의 생략이 두드러지며 어순이 자유롭기 때문에 구문 형식의 지배를 덜 받는다는 개별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기계번역의 패턴을 추출할 때 서로 유사 가능성이 있는 패턴에 대한 고려가 없이는 같은 의미의 서로 다른 여러 개의 패턴을 모두 하나의 패턴으로 처리하는 오류를 범할 위험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구 단위 패턴은 동사구, 명사구, 형용사구 그리고 부사구를 중심으로 한국어 패턴, 패턴 대표 카테고리, 한국어 패턴의 중심어 및 제약조건 대역영어패턴 의미코드로 나뉜다. 범 언어적인 특성의 한국어와 영어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각각의 명사에 의미코드를 사용하여 다중 언어기반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한국어의 개별적인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중심어 부과 자질을 사용하였다. 중심어 부과 자질에 있어서, 특히 술어기능명사를 중심어로 하는 기능동사 '하-' 구문은 다른 동사 구문의 형식과는 달리 논항의 수와 형태를 동사가 아닌 명사가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에 대한 변별적인 자질 부여는 구문의 형태-통사적 특징 뿐만이 아니라 의미적인 고유의 특성까지도 잘 뒷받침하면서 패턴 추출에 월등한 효율성을 제시할 수 있다. 향후 이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인 기능동사 구문뿐만이 아니라 개별적인 특징을 보이는 모든 구문에 대한 연구로 확대되어 패턴 기반 기계번역의 패턴 추출에 기본적인 정보의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 PDF

A Conjunctive Generation of Korean Subordinating Adverb Clause using Feature Information In English-Korean Machine Translation (영한기계번역에서 자질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종속부사절의 연결어미 생성)

  • Lee, Young-Woo;Ahn, Dong-Un;Chung, Sung-J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110-114
    • /
    • 1999
  • 영한기계번역에서 영문의 복합문중 종속부사절이 한국어로 생성될 때, 종속절의 주절에 대한 의미에 따라 다양한 한국어 연결어미를 생성하게 된다. 주절의 의미를 보완하는 종속절은 그 연결어미에 의해 그 역할이 결정되는 것이다. 종속부사절을 이끄는 부사어는 연결어미로 재현되는데 기존의 사전을 기반으로 하는 기계번역시스템에서 사전에 있는 부사어의 표층어만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그 생성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았다. 영문의 부사어중의 일부는 한국어로 생성될 때 의미적 구분에 따라 여러 가지의 연결어미로 생성이 되어야 하는데 영어 해석에서 종속절의 의미 정보를 충분히 분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종속부사절을 이끄는 영어의 부사어와 각 부사어가 생성될 때 필요한 한국어 연결어미를 정리하였다. 또한, 형태소와 구문 자질정보를 이용하여 여러 연결어미를 갖는 부사어의 경우에 하나의 연결어미를 선택한다.

  • PDF

Phrase-Pattern-based Korean-to-English Machine Translation System using Two Level Word Selection (두단계 대역어선택 방식을 이용한 구단위 패턴기반 한영 기계번역 시스템)

  • Kim, Jung-Jae;Park, Jun-Sik;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209-214
    • /
    • 1999
  • 패턴기반기계번역방식은 원시언어패턴과 그에 대한 대역언어패턴들의 쌍을 이용하여 구문분석과 변환을 수행하는 기계번역방식이다. 패턴기반 기계번역방식은 번역할 때 발생하는 애매성을 해소하기 위해 패턴의 길이를 문장단위까지 늘이기 때문에, 패턴의 수가 급증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패턴의 단위를 구단위로 한정시킬 때 발생하는 애매성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시소러스를 기반으로 한 두단계 대역어 선택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애매성을 감소시키면서 패턴의 길이를 줄이는 모델을 제시한다. 두단계 대역어 선택 방식은 원시언어의 한 패턴에 대해 여러 가능한 목적언어의 대역패턴들이 있을 때, 첫 번째 단계에서는 원시언어 내에서의 제약조건에 맞는 몇가지 대역패턴들을 선택하고, 두번째 단계에서는 목적언어 내에서의 제약조건에 가장 적합한 하나의 대역패턴을 선택하는 방식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모델에서 패턴의 수가 코퍼스의 증가에 따른 수렴가능성을 논한다.

  • PDF

Integrated Clustering Method based on Syntactic Structure and Word Similarity for Statistical Machine Translation (문장구조 유사도와 단어 유사도를 이용한 클러스터링 기반의 통계기계번역)

  • Kim, Hankyong;Na, Hwi-Dong;Li, Jin-Ji;Lee, Jong-Hy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44-49
    • /
    • 2009
  • 통계기계번역에서 도메인에 특화된 번역을 시도하여 성능향상을 얻는 방법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장의 유형이나 장르에 따라 클러스터링을 수행한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 중 문장의 유형 정보와 장르에 따른 정보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는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문장 사이의 문법적 구조 유사성으로 문장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시하였고, 단어 유사도 정보로 문서의 장르를 구분하여 기존의 두 기법을 통합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말뭉치에서 추출한 모델과 전체 말뭉치에서 추출된 모델에서 보간법(interpolation)을 사용하여 통계기계번역의 성능을 향상하였다. 문장구조의 유사성과 단어 유사도 계산을 위하여 각각 커널과 코사인 유사도를 적용하였으며, 두 유사도를 적용하여 말뭉치를 분류하는 과정은 K-Means 알고리즘과 유사한 기계학습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일본어-영어의 특허문서에서 실험한 결과 최선의 경우 약 2.5%의 상대적인 성능 향상을 얻었다.

  • PDF

Building an Annotated English-Vietnamese Parallel Corpus for Training Vietnamese-related NLPs

  • Dien Dinh;Kiem Hoang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summer
    • /
    • pp.103-109
    • /
    • 2004
  • In 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asks, the highest difficulty which computers had to face with, is the built-in ambiguity of Natural Languages. To disambiguate it, formerly, they based on human-devised rules. Building such a complete rule-set is time-consuming and labor-intensive task whilst it doesn't cover all the cases. Besides, when the scale of system increases, it is very difficult to control that rule-set. So, recently, many NLP tasks have changed from rule-based approaches into corpus-based approaches with large annotated corpora. Corpus-based NLP tasks for such popular languages as English, French, etc. have been well studied with satisfactory achievements. In contrast, corpus-based NLP tasks for Vietnamese are at a deadlock due to absence of annotated training data. Furthermore, hand-annotation of even reasonably well-determined features such as part-of-speech (POS) tags has proved to be labor intensive and costly. In this paper, we present our building an annotated English-Vietnamese parallel aligned corpus named EVC to train for Vietnamese-related NLP tasks such as Word Segmentation, POS-tagger, Word Order transfer, Word Sense Disambiguation, English-to-Vietnamese Machine Translation, etc.

  • PDF

Improve Performance of Phrase-based Statistical Machine Translation through Standardizing Korean Allomorph (한국어의 이형태 표준화를 통한 구 기반 통계적 기계 번역 성능 향상)

  • Lee, Won-Kee;Kim, Young-Gil;Lee, Eui-Hyun;Kwon, Hong-Seok;Jo, Seung-U;Cho, Hyung-Mi;Lee, Jong-Hy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285-290
    • /
    • 2016
  • 한국어는 형태론적으로 굴절어에 속하는 언어로서, 어휘의 형태가 문장 속에서 문법적인 기능을 하게 되고, 형태론적으로 풍부한 언어라는 특징 때문에 조사나 어미와 같은 기능어들이 다양하게 내용어들과 결합한다. 이와 같은 특징들은 한국어를 대상으로 하는 구 기반 통계적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데이터 부족 문제(Data Sparseness problem)를 더욱 크게 부각시킨다. 하지만, 한국어의 몇몇 조사와 어미는 함께 결합되는 내용어에 따라 의미는 같지만 두 가지의 형태를 가지는 이형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이러한 이형태들을 하나로 표준화하여 데이터부족 문제를 완화하고, 베트남-한국어 통계적 기계 번역에서 성능이 개선됨을 보였다.

  • PDF

An Optical Flow Based Time-to-Collision Predictor

  • Yamaguchi, T.;Kashiwagi, H.;Harada, H.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8.10a
    • /
    • pp.232-237
    • /
    • 1998
  • This paper describes a new method for estimating time-to-collision which exhibits high tolerance to noise contained in camera images. Time to collision (TTC)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available from a camera attached to a mobile machine. TTC indirectly stands far the translation speed of the camera and is usually calculated either from successive images or optical flow by using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TC and flow divergence. In most cases, however, it is not easy to get accurate optical flow,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alculate TTC. In this study it is proved that if the target has a smooth surface, the average of divergence over any point-symmetric region on the image is equal to the divergence of the center of the region. It means that required divergence can be calculated by integrating optical flow vectors over a symmetric region. It is expected that in the process of the integration, accidental noise is canceled if they are independent of optical flow and the motion of the camera.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TC can be estimated regardless of the surface condition. It is also shown that influence of noise is eliminated as the area of integration increases.

  • PDF

Determination of an Optimal Sentence Segmentation Position using Statistical Information and Genetic Learning (통계 정보와 유전자 학습에 의한 최적의 문장 분할 위치 결정)

  • 김성동;김영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C
    • /
    • v.35C no.10
    • /
    • pp.38-47
    • /
    • 1998
  • The syntactic analysis for the practical machine translation should be able to analyze a long sentence, but the long sentence analysis is a critical problem because of its high analysis complexity. In this paper a sentence segmentation method is proposed for an efficient analysis of a long sentence and the method of determining optimal sentence segmentation positions using statistical information and genetic learning is introduced. It consists of two modules: (1) decomposable position determination which uses lexical contextual constraints acquired from a training data tagged with segmentation positions. (2) segmentation position selection by the selection function of which the weights of parameters are determined through genetic learning, which selects safe segmentation positions with enhancing the analysis efficiency as much as possible. The safe segmentation by the proposed sentence segmentation method and the efficiency enhancement of the analysis are presented through experiments.

  • PDF

Korea-English Noun Phrase Machine Translation (한국어와 영어의 명사구 기계 번역)

  • Cho, Hee-Young;Seo, Hyung-Won;Kim, Jae-Hoon;Yang, Sung-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6.10e
    • /
    • pp.273-278
    • /
    • 2006
  • 이 논문에서 통계기반의 정렬기법을 이용한 한영/영한 양방향 명사구 기계번역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정렬기법을 이용한 기계번역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않은 양의 병렬말뭉치(Corpus)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병렬 말뭉치를 구축하기 위해서 웹으로부터 한영 대역쌍을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병렬 말뭉치와 단어 정렬 도구인 GIZA++ 그리고 번역기(decoder)인 PARAOH(Koehn, 2004), RAMSES(Patry et al., 2002), MARIE(Crego et at., 2005)를 사용하여 한영/영한 양방향 명사구 번역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약 4만 개의 명사구 병렬 말뭉치를 학습 말뭉치와 평가 말뭉치로 분리하여 구현된 시스템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한영/영한 모두 약 37% BLEU를 보였으나, 영한 번역의 성공도가 좀더 높았다. 앞으로 좀더 많은 양의 병렬 말뭉치를 구축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며, 지속적으로 병렬 말뭉치를 구축할 수 있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한국어 특성에 적합한 단어 정렬 모델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을 다국어 정보검색 시스템에 직접 적용해서 그 효용성을 평가해보아야 할 것이다.

  • PDF

English Auxiliary Verb Generation for Korean-to-English Machine Translation (한영 자동 번역을 위한 보조 용언 생성)

  • Shin, Jong-Hun;Yang, Seong-Il;Seo, Young-Ae;Kim, Chang-Hyun;Kim, Young-K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1.10a
    • /
    • pp.143-14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로 입력된 문장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그에 해당하는 영어 대역문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한국어의 보조용언을 영어 대역문에 반영 할 것인가를 다룬다. 특히 대화체 분야를 다루는 한영 자동번역 시스템에서는 한국어의 보조용언 생성이 대역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에, 한영 자동 번역에서의 자연스러운 영어 보조용언 생성을 위한 방법론을 제안한다. 첫째, 기존 패턴 기반 한영 자동 번역 엔진과 한국어 말뭉치를 형태소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고, 자연스러운 보조 용언 대역어 생성의 어려움을 살펴본다. 둘째, 자연스러운 보조용언 생성에 필요한 양상을 규칙화 한 지식을 기반으로 자연스러운 단일 보조용언 생성을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셋째, 두 개 이상의 보조용언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다중 보조용언의 생성 방법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실험과 결론을 통하여 본 논문이 제안하는 방법론을 사용했을 때, 자동 번역 엔진의 성능 평가 지표 중 하나인 BLEU와 NIST점수의 변화를 나타내봄으로 그 성능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