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D FLAT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6초

위성원격탐사를 이용한 곰소만 간석지의 미지형과 퇴적물 입도특성 분석 (An Analysis of Micro-landform and Its Grain Size of Tidal Flat in Gomso-Bay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 조화룡;조명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4-56
    • /
    • 2000
  •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하여 곰소만 간석지의 미지형을 분류하고, 현지조사를 통하여 분류된 각 미지형의 퇴적물 입도 특성과 지형특성을 밝혔다. 내만 쪽의 mud flat는 갯골과 갯골 사이의 평탄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균입경이 $4{\phi}$ 이하의 세립질이고 분급은 1 S.D. 이상이며, positive skewness를 보인다. 만구쪽에 분포하는 sand flat는 갯골이 없이 평탄한 지형을 이루며 ripple mark가 발달해 있다. 분급이 좋은 모래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고 negative skewness를 보인다. mixed flat는 mud flat 와 sand flat와의 중간적 특징을 보인다.

  • PDF

축제식(築堤式) 폐양식장을 활용한 고창 갯벌 복원계획 수립 (A Establishment of Mud Flat Restoration Plan in Gochang Using Abandoned Embanked Farms)

  • 최희선;김효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4-137
    • /
    • 2010
  •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objective of restoring abandoned embanked farms, which are recently increasing, to mud flat by putting in least amount of energy in the aspect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For the direc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proposal for the restoration of mud flat using embanked farms, a case of Maipo Wetland in Hongkong was analyzed, and a proposal was prepared considering the condition of mud flat in Gochang. The restoration of mud flat in Gochang is intended to create various wetland ecological spaces as well a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experience, education, recreation, and tourism. Effort was made to development an environment closest to the local ecological environment considering the shape and topographical condition of existing abandoned farms. For construction of the habitat, a target species was chosen and the plan for selection, planting, and management of species of trees suitable for the target species was established. In addition, the water level will be controlled by water gates to conform to the resting, spawning, breeding, and migration period considering the behavioral pattern of waders, the target species. The research on the restoration of mud flat in Korea is in incipient stage and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restoration of abandoned embanked farms to mud flat. For the success of mud flat restoration from a long-term perspective, development of acclimating design infrastructure, technology improvement for mud flat restoration, and basis of partnership for the maintenance should be prepared in a systematical way.

W/C 70%인 모르타르에서의 갯벌 혼입률에 따른 특성 (Characteristic of mixing rate of mud flat on Mortar in W/C 70%)

  • 이흥열;안소현;양성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0-31
    • /
    • 2016
  • Recently in the construction site is required various performance of mortar to deal with reliability, economy. Especially of environment-friendly, saving resources and high performance of mortar it began to require improvement of performance. Therefore, in this study, a series of tests was designed to develop a using mud flat mortar in view of the high absorption rate of tidal flats, to fix the water cement ratio to 70%. The mixing ratio were 10:0, 9:1, 8:2, 7:3, 6:4, 5:5, 4:6 of fine aggregate and mud flats. Compared the flow value, chloride content, compres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workability of fine aggregate the substituted mud flat mortar and basic cement mortar, present the basic data on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mud flat mortar.

  • PDF

남양만 남부 조간대 퇴적환경의 퇴적학적 특성에 관하여 (Sedimentological Properties Of the Recent Intertidal Flat Environment, Southern Nam Yang Bay, West Coast Of Korea)

  • 정공수;박용안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18
    • /
    • 1978
  • 조간대는 창조류와 낙조류의 영향으로 주기적인 침수와 노출이 일어나는 해역으로서 조류에 의해서 퇴적작용이 이루어지는 해양퇴적환경이다. 우리나라 서 남 해안에는 조간대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서 남해안 조간대의 조사 연구방향에 대하여 박(1976)에 의해 제시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해의 남양만 남부에 발달하여 있는 조간대 퇴적환경에서의 (1)퇴적물분포양상, (2)퇴적작용, (3)퇴적물의 화학성분 및 (4)퇴적물의 점토광물의 종류를 밝히는데 있다.

  • PDF

서해안 갯벌 쏙(Upogebia major) 서식지와 비 서식지의 퇴적환경 특성 (Comparison of Sedimentar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of Tidal Flats on the West Coast of Korea Depending on the Habitation of Mud Shrimp Upogebia major)

  • 전승렬;홍석진;최용현;조윤식;송재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56-665
    • /
    • 2019
  • Environmental monitoring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sedimentary environments of tidal flats in 12 areas on the west coast of Korea. The habitat of the mud shrimp Upogebia major contained higher organic and mud contents compared to the habitat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particular, the mud content increased from 84.38% to 89.18% in the Seongam-4 area, where the mud shrimp and manila clam coexist, and the mean grain size exhibited a finer particle size, from 5.48 Φ to 5.80 Φ. In the mud shrimp habitat, the sediment mud content was > 60% and the mean grain size was > 5 Φ. Additionally, the mud shrimp only inhabited open coast tidal flat areas. The management of shellfish aquaculture farms by physical methods should be continued based on comparison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Boryeong and Seongam areas in response to the damage to the mud shrimp habitat.

한국 서해안 강화 남부 갯벌 퇴적물 및 지형의 장기적인 변화 (Long-term Changes of Sediment and Topography at the Southern Kanghwa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 우한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93-500
    • /
    • 2013
  • 강화 남부 갯벌의 장기적인 퇴적환경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7년과 2011년 여름철 표층 퇴적물의 분포와 1998년 4월과 2013년 3월의 갯벌 고도를 비교하였다. 표층퇴적물은 1997년에 동부의 펄, 서부의 모래 펄 퇴적물이 우세하였으나, 2011년에는 동부의 선두리와 동검도 갯벌은 펄과 모래 펄, 중부의 동막리 갯벌은 모래 펄, 그리고 서부의 여차리와 장화리 갯벌은 모래와 펄 모래 퇴적물이 우세하게 분포하였다. 지난 14년 동안 펄 퇴적물 면적은 감소하였으나, 모래와 펄 혼합 퇴적물의 면적은 동쪽으로 확장되었다. 갯벌의 장기적인 지형 변화는 지난 15년 동안 동막리와 여차리 갯벌은 퇴적, 장화리 갯벌은 침식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들은 1990년대 이후 강화 남부 갯벌 주변에 여러 종류의 인공구조물건설에 의하여 지역적인 수리적 변화가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갯벌의 콘크리트용 혼화재 및 채움재로서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about the Applicability of Mud Flat as a Concrete Admixture and Filler)

  • 양성환;강윤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71-57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갯벌의 콘크리트용 혼화재 및 채움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혼화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화학 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잠재수경성 및 포졸란 반응에 필요한 성분들이 함유되어있었지만 플라이애시 및 고로슬래그의 성분 분석 결과와 비교한 결과 성분 함유량이 소량으로 반응을 하기에는 부족한 양이었다. 또한, 물리적 실험 분석 결과 갯벌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갯벌의 혼화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은 화학 성분분석에서 예상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채움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시험을 실시한 결과 재령 28일 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 갯벌의 채움재로서 활용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갯벌 치환율 10~30% 까지 벽돌의 압축강도 기준인 8MPa 이상의 강도를 발현하여 벽돌 등 2차 제품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벽돌제작 등의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플로우 시험결과에서는 갯벌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플로우 값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화물 함유량 분석 결과를 통해 갯벌 자체의 염분 함유량이 많아 갯벌을 치환할 경우 철근 사용구조물에는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며, 내장벽돌 등 철근을 사용하지 않는 제품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서남해안 두우리 조간대에서 표층 퇴적물 및 퇴적구조의 특성과 계절변화 (Depositional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Change of Surface Sediment and Sedimentary Strucutre on the Doowoovi Tidal Flat,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백영숙;전승수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0권1_2호
    • /
    • pp.10-17
    • /
    • 2004
  • 한국 서남해안에 위치한 두우리 조간대는 사주와 보호섬이 존재하지 않고 외해로 열려있는 전형적인 개방형 조간대이다. 이러한 개방형 조간대에서는 바람에 의한 파랑이 퇴적작용에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므로, 계절에 따른 파랑에너지의 차이가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분포와 퇴적구조의 특성에 직접적으로 반영된다. 두우리 조간대는 상부의 조수해빈 (tidal beach), 중부의 전형적인 조간대 (intertidal flat)와 최하부의 니질대 (lowermost mudflat)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분은 표층퇴적물의 구성뿐만 아니라 조간대의 경사도에 의한 구분과도 일치한다. 조간대 내에서의 퇴적물은 1차 퇴적구조와 사서질 퇴적물의 함량에 따라 다시 사질 조간대, 혼합 조간대와 니질조간대로 나누어진다. 두우리 조간대의 표층퇴적상은 계절에 따라서 퇴적물의 함량과 퇴적구조에 변화를 보이며, 퇴적상의 변화양상은 계절풍의 방향과 세기, 폭풍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북서계절풍이 강한 겨울철과 봄철에는 사질 조간대의 퇴적상이 우세하며, 약한 남동풍이 우세한 여름철에는 니질 조간대의 퇴적상이 우세하게 분포한다. 가을철에는 혼합 조간대가 우세하게 나타난다. 표층퇴적물은 여름에는 전 조간대가 약 20 cm 두께의 니질 퇴적물로 뒤덮이고 가을이 지나 겨울로 가면서 니질 퇴적상에서 사질 퇴적상으로 바뀐다. 이러한 표층퇴적상의 변화는 바람도 세어지고 풍향도 바뀌어 조간대를 공격하는 파랑의 에너지가 강해지면서 여름철에 퇴적되었던 니질 퇴적물을 침식시키기 때문이다. 캔코아 주상시료에서 퇴적구조는 여름철에는 조간대 상부 ($0{\~}l.3 {\cal}km$)에서는 니질 퇴적물의 평행엽층리와 상승연흔 사엽층리가 하부 $(1.7{\~}2.3 {\cal}km)$에서는 괴상의 니질 퇴적층이, 겨울철에는 전체적으로 평행엽층리와 연흔사층리가 우세하게 나타나며, 부분적으로 둔덕사층리 (HCS)가 나타난다.

  • PDF

강화 남부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Southern Tidal Flat of Kanghwa Island)

  • 우한준;제종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31-343
    • /
    • 2002
  • The southern tidal flat of Kanghwa Island with an area of approximately $90km^2$ is one of the biggest flats on the west coast of Korea. Surface sediments for sedimentary analyses were sampled at 83 stations in August 1997, September 1999 and August 2000. The very poorly-sorted mud sediments were predominant in the eastern part of the tidal flat, whereas the poorly-sorted sand-mud mixed sediments were dominant in the western part. The area of muddy sediment distribution diminished, but that of sandy mud sediment extended to southeastward tidal flat for three years. In the western part of tidal flat, deposition occurred during the period of spring to summer, whereas erosion occurred in winter. Sediment accumulation rates during three years indicated that the sediments deposited continuously in the eastern part of tidal flat, whereas eroded in the western part of tidal flat. Recently, construction of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new airport, island-connecting bridges and dikes near the tidal flat might change tidal current and river flow pattern. In order to reduce the ecological damage and to preserve tidal-flat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long-term impacts on sedimentary environment and ecology.

비식생 갯벌에서 퇴적물 입도에 따른 블루카본 저장 특성: 함평만과 동대만 (Characteristics of Blue Carbon Stock by Particle Size of Sediments in Unvegetated Tidal Flats : Hampyeong Bay and Dongdae Bay)

  • 박경덕;강동환;소윤환;조원기;김병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1-189
    • /
    • 2023
  • In this study, sediment cores from unvegetated tidal flats in the Hampyeong Bay (west coastal wetland) and Dongdae Bay (south coastal wetland) were sampled, the blue carbon stock in the sediments was calcul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ue carbon stock were analyzed based on particle size of the sediments. The sediments in the Hampyeong Bay tidal flat had large particle size and low mud content, and the Dongdae bay tidal flat had small particle size and high mud content. The organic carbon content and blue carbon stock in the sediments were higher in the Dongdae tidal flat than in the Hampyeong Bay tidal flat.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function, in both the Hampyeong Bay and Dongdae Bay tidal flats, the sediments had the smaller particle size and higher mud contents the higher the organic carbon content and blue carbon stock. The sediments with smaller particle size had the larger specific surface area, so were feasible to adsorb and store more organic ma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