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SA infection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5초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한 메치실린 내성균주의 동정 (Identific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 박인철;김광수;박명진;이승훈;홍석일;최태부
    • KSBB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460-464
    • /
    • 1999
  • Methicillin-resistant Staphlococcus aureus(MRSA)는 다양한 항생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며 제 3세대 cephalosporin계가 보급된 1980년대 이후 원내 감염의 중요 원인균으로 대두되고있다. 그러나 MRSA 동정의 오류나 실수로 인한 부적절한 치료에 문제가 있으며 항생제의 오용으로 인한 다제약제 내성획득이 임상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거 있다. 따라서 MRSA 감염의 적절한 치료는 이 원인 균의 신속하고 믿을 수 있는 동정을 필요로 한다.본 연구에서는 분자 생물학적인 동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항생제의 내성 기구인 페니실린 결합 단백질 2‘(PBP2')를 암호화하는 mec A 유전자를 PCR 방법으로 증폭하여 MIC test 결과와 비교하여 MRSA를 동정하는데 PCR법이 유용한지를 판명하였다.각 환자의 다종 검체로부터 S. aureus 120균주를 분리하여 oxcillin으로 MIC test를 한 결과 MRSA의 비율로는 농에서는 MRSA가 61.9%로 가장 높게 판명되었다. 120균주 중 MRSA 40균주, MSSA 40균주를 성별하여 PCR 방법으로 동정하여 MIC test와 비교 한 결과, MRSA 1균주(2.5%), MSSA는 2균주(5%)의 차이만이 MIC test와 상이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PCR법으로 MRSA를 동정하는 것은 유용하며 일상검사 업무로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CD11b Deficiency Exacerbate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Induced Sepsis by Upregulating Inflammatory Responses of Macrophages

  • Hyunsub Sim;Daecheol Jeong;Hye-In Kim;Seongwon Pak;Bikash Thapa;Hyung-Joo Kwon;Keunwook Lee
    • IMMUNE NETWORK
    • /
    • 제21권2호
    • /
    • pp.13.1-13.19
    • /
    • 2021
  • Macrophages are important for the first line of defense against microbial pathogens. Integrin CD11b, which is encoded by Itgam, is expressed on the surface of macrophages and has been implicated in adhesion, migration, and cell-mediated cytotoxicity. However, the functional impact of CD11b on the inflammatory responses of macrophages upon microbial infection remains unclear. Here, we show that CD11b deficiency resulted in increased susceptibility to sepsis induced b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nfection by enhancing the pro-inflammatory activities of macrophages. Upon infection with MRSA, the mortality of Itgam knockout mi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mice, which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production of TNF-α and IL-6. In response to MRSA, both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and peritoneal macrophages lacking CD11b produced elevated amount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nitric oxide. Moreover, CD11b deficiency upregulated IL-4-induced expression of anti-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IL-10 and arginase-1, and an immunomodulatory function of macrophages to restrain T cell activation. Biochemical and confocal microscopy data revealed that CD11b deficiency augmented the activation of NF-κB signaling and phosphorylation of Akt, which promotes the functional activation of macrophages with pro-inflammatory and immunoregulatory phenotypes, respectively. Overall, our experimental evidence suggests that CD11b is a critical modulator of macrophages in response to microbial infection.

Isol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from a Shih-Tzu dog with canine distemper virus infection

  • Pak, Son-il;Hwang, Cheol-yong;Youn, Hwa-young;Han, Hong-ryul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76-382
    • /
    • 1999
  • 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olate was recovered from a 9-month-old female Shih-Tzu dog with canine distemper virus infection. We performed in vitro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antimicrobial drug against the isolate and thus, to emphasize its potential clinical importance in animal practices. Isolate was confirmed MRSA by oxacillin agar screening test. The isolate was fully resistant to all $\beta$-lactam antibiotics and was susceptible to glycopeptides. Of the other antibiotics, mupirocin, TMP/SMZ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and chloramphenicol showed inhibitory effect at the concentration of 4x MIC. The MICs ranged 0.25->$128{\mu}g/ml$, and MBCs ranged 0.5->$128{\mu}g/ml$. The combined TMP/SMZ with cefamandole or novobiocin showed synergistic effect, whereas the combination of novobiocin plus cefamandole or teicoplanin resulted in antagonistic effects. Although MRSA in animals so far has been reported in the geographically limited countries, at least theoretically, it could be occurred in the future more frequently through either human or animal origin. The use of this combination may be of value in this situation. As with all antimicrobial agents, inappropriate or unnecessarily prolonged therapy may contribute to the emergence of resistance strains and loss of efficacy.

  • PDF

ST714-SCCmec type IV CA-MRSA에 의한 피부 연부조직 감염증으로 내원한 소아 증례 (ST714-SCCmec type IV CA-MRSA isolated from a Child with Recurrent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in South Korea: A Case Report)

  • 유리나;김서희;이진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3권1호
    • /
    • pp.62-66
    • /
    • 2016
  •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역사회 기원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CA-MRSA)에 의한 피부연부조직 감염증이 증가하고 있다. 16개월의 한국 여아가 생후 6개월부터 시작된 반복되는 피부연부조직 감염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아의 가족들도 환아와 비슷한 시기에 피부연부조직 감염증의 병력이 있었다. 환아의 혈중 면역글로불린 및 NBT 검사는 정상이었고, 피부 병변 외에는 가족 모두 건강하였다. 환아의 감염증 부위의 고름 배양 및 비강 내 보균 검사시 모두 PVL genes을 생성하는 CA-MRSA ST714 SCCmec type IV가 확인되었고, 이는 ST30의 single locus variant로서 국내에서는 보고된 적이 없는 MRSA의 유전형이다. 환아와 함께, 환아의 균주와 동일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보이는 MRSA 보균자인 환아부에게 재발 방지를 위해서 비강내 mupirocin 5일 요법을 시행하였고 이후 10개월간 추가적인 재발은 없었다.

Experimental therapy on induc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in canine model

  • Pak, Son-il;Han, Hong-ryul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83-389
    • /
    • 1999
  • A randomized experimental study was done to evaluate short course therapeutic efficacies of two types of mupirocin ointment (Bactroban Nasal and Bactroban) in the elimin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nasal colonization (16 dogs) and wound infection (3 dogs or 18 wound sites) in dogs. In each model, dogs being assigned to TR-1 treatment group was given ointment twice a day for two consecutive days, and those that assigned to TR-2 treatment group was given the same dose for three days. Neither TR-1 nor TR-2 regimen was effective to clear nasal carriage completely with a clearing rate of 62.5% and 87.5%, respectively. Whereas, for 2 days at least twice daily application of mupirocin for wound infection was quite enough to eliminate MRSA, with a clearing rate of 83.3~100% by 4 weeks follow-up. No apparent side effects were observed in each model, and in no case was it necessary to discontinue the treatment. Further controlled studies on the elimination of nasal colonization are required to establish cost-effective and efficient regimen on companion animals.

  • PDF

관상동맥우회술 후 흉골감염의 위험인자분석 및 반코마이신의 효과 (Analysis of Risk Factors and Effect of Vancomycin for Sternal Infection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백종현;정태은;이동협;이장훈;김정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4호
    • /
    • pp.381-386
    • /
    • 2010
  • 배경: 심장수술 후 흉골창상감염은 중요한 합병증의 하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관상동맥우회술 후 흉골창상감염의 빈도와 연관된 인자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들의 술 후 결과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영남대학교의료원 흉부외과에서 단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환자 219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를 하였다. 흉골감염환자의 정의는 상처에서 균이 동정이 되고 치료를 위해 단순봉합 혹은 기타 외과적 처치가 필요한 경우로 하였다. 결과: 수술 후 전체 감염의 빈도는 7.8% (17명)이었다. 감염을 일으킨 균은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가 13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epidermidis가 2명, Pseudomonas aeruginosa가 1명, Candida albicans가 1명에서 동정되었다. 감염의 정도는 종격동염을 동반한 심부흉골감염이 10명이었고 표재성 외과적 창상감염이 7명이었으며 창상감염으로 인한 사망은 1명이 있었다. 수술 후 흉골감염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소로는 당뇨병력(p=0.006)과 흡연력(p=0.020)이 유의한 인자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예방적 항생제로 vancomycin의 단기간 사용은 흉골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분석되었으며(p=0.009) vancomycin 사용 이후 MRSA에 의한 감염은 없었다. 감염된 환자의 치료로 단순봉합뿐만 아니라 광범위 소파술과 흉골 재봉합 혹은 다른 조직을 이용한 피판술이 필요하였다. 결론: 흉골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당뇨가 있거나 흡연력이 있는 환자는 특히 술 후 흉골창상 감염을 주의 해야 하며 예방적 항생제로서 vancomycin을 단기간 사용하는 것은 MRSA에 의한 감염을 줄이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소아의 근골격계 감염에서 지역사회 관련 메치실린 내성 황색 포도알균의 증가: 2000년 9월-2012년 8월간의 단일기관 연구 (Increasing Rates of Community 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Children with Muscular-Skeletal Infections in Korea: A Single Center Experience from 2000 to 2012)

  • 박재홍;이택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0권2호
    • /
    • pp.63-70
    • /
    • 2013
  •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CA-MRSA로 인한 소아의 세균성 근골격계 감염의 임상양상을 연구하기로 하였다. 방 법 : 2000년 9월부터 2012년 8월까지 12년간 분당 차병원에 입원한 18세 이하의 환아 중 혈액과 관절액, 조직이나 고름의 세균 배양검사에서 S. aureus가 동정된 환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수는 총 31례였으며 중간값은 7세(최소 17일, 최대 18세)이다. 화농성 관절염으로 진단된 경우는 11례(35.5%), 골수염은 16례(51.6%), 화농성 관절염과 골수염이 병발된 경우는 5례(16.1%)였다. 환아의 혈액이나 관절액, 조직이나 고름 등에서 동정된 S. aureus 31례 중 MSSA는 25례(80.6%), MRSA는 6례(19.4%)였다. 검출된 균주 중 다제내성균은 관찰되지 않았다. MRSA가 배양되었던 6례는 모두 2006년 이후 발생하였다. 모든 증례에서 항생제가 투여되었으며 항생제 투여 기간은 $26.4{\pm}12.7$일이었고, 첫 항생제로 반코마이신을 동반 사용한 경우는 4례(12.9%)였으며 10례(32.3%)에서 최종 항생제로 반코마이신이 투여되었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최근 12년간 세균성 근골격계 감염에서 MRSA의 발생은 연구기간 후반에 편중되었다.

  • PDF

임상검체로부터 분리된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us aureus의 유전자형 분석 (Genotype Analyses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 김진수;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315-3322
    • /
    • 2015
  • 황색포도상구균은 임상에서 중요한 병원체로 원내감염의 주 원인균이다. methicillin에 내성인 황색포도상구균(MRSA) 출현은 특히 전 세계적으로 임상과 역학의 주요 문제가 되고 있으며 다른 병원성 세균과 차별되는 특징으로 독성인자를 가지면서 항생제 내성을 빠르게 획득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한 종합병원 임상 검체로부터 얻어진 MRSA 101균주의 독소유전자(enterotoxin(se), toxic shock syndrome toxin-1(tst), exfoliative toxin(et), Panton Valentine leukocidin(pvl)) 보유 분포와 이들 독소 유전자 보유 균주들간의 항생제 내성과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 하고자 하였다. 독소유전자중 가장 많이 분리된 seg 유전자가 59균주(58.4%)에서 검출되었으며 70균주(69.3%)에서 두개 이상의 독소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독소유전자 보유조합으로 seb, sec, seg, sei, tst가 19균주(18.8%)에서 발견되었으며 다음으로 빈번한 조합은 sec, seg, sei로 11균주(10.9%)로 나타났다. seb, sec, seg, sei, tst 동일한 독소유전자 조합을 갖고 있는 19균주(18.8%)들은 Ampicillin, Benzylpenicillin, Ciprofloxacin, Clindamycin, Gentamicin, Erythromycin, Telithromycin, Tetracycline 항생제 내성이 100% 였다. 독소유전자 보유수가 많은 균주들은 항생제 내성이 높은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MRSA 균주의 내성이 확산되지 않도록 효과적인 치료와 철저한 감염관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손씻기 교육이 간호사의 손씻기 행위와 중환자의 호흡기로의 MRSA 분리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Nurses' Hand Washing Behavior and Reduction of Respiratory Isolation Rate of MRSA of the Hand Washing Education)

  • 김남초;최경옥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6-33
    • /
    • 2002
  • Purpose: This is a clinical experimental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ensure quality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nurses hand washing behavior and decrease respiratory isolation rate of MRSA.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subjects included 5 nurses working at the NS ICU and 165 specimen for nasal swabs and 46 specimen for sputum cultures from 106 patients admitted to the NS ICU.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September 2000. Results: 1.The percentage of the nurses hand washing was 15.6percent but was improved to 46.5 percent after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In particular, hand washing behavior was increased in situations such as after suctioning, before parenteral nutrition, and after providing hygiene care. 2. Results of nasal swab showed that MRSA isolation rate was reduced from 42.8 percent before the education to 18.6percent after the education. The sputum cultur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MRSA rate was reduced from 40.7percent before the education to 34.6percent after the education. Conclusion: The findings showed the nurses' strict hand washing behavior and use of disposable gloves and paper towers as well as use of hand sterilization spray by visitors or families can decrease the MRSA isolation rate in the NS ICU patients. Since the NS ICU patients may have respiratory complications due to long-term hospitalization, the nurses regular hand washing is important enough to be emphasized. Future research should be focused on the impact of nurses' hand washing behavior on the incidence of pneumonia, an iatrogenic infection.

  • PDF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손 소독제에 따른 소독효과 및 MRSA 분리 (The Effect of Disinfection and the MRSA Isolation from Hand Disinfectant in ICU Nurses)

  • 박선남;류경화;정정임;박옥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59-367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a within subject repeated pretest-posttest design done to compare the effect of disinfection and the degree of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ion from hand disinfectant in ICU nurses. Method: Out of the total internal medicine/surgery ICU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29 female nurses who were participating in direct patient care wer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fter collection of samples, Staphylococcus aureus and MRSA were isolated from the palms, nails and nasal cavities of the nurses according to disinfectants (soap and beta-scrub). Results: The effect of disinfection was greater in the beta-scrub group than in the soap group, and the effect of disinfection on palms was higher in the beta-scrub group than in the soap group. As for the degree of MRSA isolation, there was more isolation in palms in the soap group than in the beta-scrub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MRSA isolation from the hand disinfectant in nails and nasal cavities. Conclusion: Beta-scrub showed a superior prolonged effect against transient bacteria compared with soap. Further, to reduce MRSA infection, we recommend interventions focused on these asp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