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I Image

검색결과 941건 처리시간 0.032초

Multidetector CT arthrography를 이용한 견관절 병변의 진단 - MRI, MR arthrography와의 비교 - (Multidetector CT (MDCT) Arthrography in the Evaluation of Shoulder Pathology: Comparison with MR Arthrography and MR Imaging with Arthroscopic Correlation)

  • 김재윤;공현식;김우성;최정아;김병호;오주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9권1호
    • /
    • pp.73-82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efficacy of CT arthrography (CTA) in the assessment of various shoulder pathologies, compared with MR arthrography (MRA) and MRI with arthroscopic correlation. Materials and Methods: CTA in 84 patients, MRA in 70 patients, and MRI in 27 patients were obtained. A radiologist interpreted each image for 5 pathologies: Bankart, SLAP, Hill-Sachs lesion, full-thickness, and partial-thickness rotator cuff tear. Detailed arthroscopic reports were compared with CTA, MRA, and MRI.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redictive values, and accuracy were calculated. The agreement between each diagnostic modality and arthroscopy was calculated. Diagnostic efficacy was assessed by the areas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s. Results: The diagnostic values of all three imaging groups were comparable to each other for Bankart, SLAP, Hills-Sachs, and full-thickness cuff tear lesions, but those of CTA were lower than MRI and MRA for partial-thickness cuff tears. The areas under the ROC curves for CTA, MRA, and MR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ll pathologies, except for partial-thickness cuff tears. Conclusion: CTA was equally competent to MRA or MRI in demonstrating Bankart, Hill-Sachs lesions, SLAP, and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s but not as efficient in diagnosing partial thickness rotator cuff tears.

Normal Range of Humeral Head Positioning on the Glenoi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Validation through Comparison of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 Kim, Jung-Han;Min, Young-Kyoung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1권4호
    • /
    • pp.186-191
    • /
    • 2018
  • Background: To determine the normal range of humeral head positioning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Methods: We selected normal subjects (64 patients; group A) to study the normal range of humeral head positioning on the glenoid by MRI measurements. To compare the MRI measurement method with the computed tomography (CT), we selected group B (70 patients) who underwent both MRI and CT. We measured the humeral-scapular alignment (HSA) and the humeral-glenoid alignment (HGA). Results: The HSA in the control group was $1.47{\pm}1.05mm$, and the HGA with and without reconstruction were $1.15{\pm}0.65mm$ and $1.03{\pm}0.59mm$, respectively, on MRI. In the test group, HSA was $2.67{\pm}1.47mm$ and HGA with and without reconstruction was $1.58{\pm}1.16mm$ and $1.49{\pm}1.08mm$, on MRI. On CT, the HSA was $1.72{\pm}1.01mm$, and HGA with and without reconstruction were $1.54{\pm}0.96mm$ and $1.59{\pm}0.93mm$, respectively. HS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image modality (p=0.0006), but HG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gardless of reconstruction (p=0.8836 and 0.9234). Conclusions: Although additional CT scans can be taken to measure decentering in patients with rotator cuff tears, reliable measurements can be obtained with MRI alone. When using MRI, it is better to use HGA, which is a more reliable measurement value based on the comparison with CT measurement (study design: Study of Diagnostic Test; Level of evidence II).

Deep Learning-Based Brain Tumor Classification in MRI images using Ensemble of Deep Features

  • Kang, Jaeyong;Gwak, Jeongh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7호
    • /
    • pp.37-44
    • /
    • 2021
  • 뇌 MRI 영상의 자동 분류는 뇌종양의 조기 진단을 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심층 특징 앙상블을 사용한 MRI 영상에서의 딥 러닝 기반 뇌종양 분류 모델을 제안한다. 우선 사전 학습된 3개의 합성 곱 신경망을 사용하여 입력 MRI 영상에 대한 심층 특징들을 추출한다. 그 이후 추출된 심층 특징들은 완전 연결 계층들로 구성된 분류 모듈의 입력 값으로 들어간다. 분류 모듈에서는 우선 3개의 서로 다른 심층 특징들 각각에 대해 먼저 완전 연결 계층을 거쳐 특징 차원을 줄인다. 그 이후 3개의 차원이 준 특징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특징 벡터를 생성한 뒤 다시 완전 연결 계층의 입력값으로 들어가서 최종적인 분류 결과를 예측한다. 우리가 제안한 모델을 평가하기 위해 웹상에 공개된 뇌 MRI 데이터 셋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우리가 제안한 모델이 다른 기계학습 기반 모델보다 더 좋은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유방의 중재적시술: 조직생검술 및 침위치결정술 (MRI-Guided Breast Intervention: Biopsy and Needle Localization)

  • 박가은;이정민;강봉주;김성헌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345-360
    • /
    • 2023
  • 국내에 자기공명영상의 보급의 증가와 함께 유방 자기공명영상의 건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비해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조직생검술 및 침위치결정술과 같은 유방의 중재적 시술은 초음파 유도하 시술이나 입체정위생검술에 비해 많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유방 자기공명영상은 다른 유방 영상 검사들에 비해 높은 민감도를 보이는 검사법이지만 그 특이도는 제한되는 검사법이기 때문에, 자기공명영상에서만 발견된 병변들은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조직생검술이나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침위치결정술을 통한 수술적 절제를 통하여 병리적 진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종설에서는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유방의 중재적 시술들의 적응증, 시술 방법, 시술 과정에서의 여러 고려 사항 및 제한점들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대퇴 골두 충돌 증후군(Cam type)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자기공명 3D 영상 재구성 기법의 유용성 (Usefulness of MRI 3D Image Reconstruction Techniqu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Femoral Acetabular Impingement Syndrome(Cam type))

  • 곽영곤;김종일;조영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313-321
    • /
    • 2015
  • Hip FAI 진단과 수술 계획 시 Hip FAI MRI 검사시 3D 영상을 추가로 활용하여 CT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Hip Clock face 영상을 MRI 3D 영상으로 대체할 수 있는지 비교 평가 하였다. Hip 자기공명 영상검사(MRI)와 3D Hip 컴퓨터 단층 촬영(CT)을 동시 시행한 환자 31명 (남: 21명 평균연령: 35세 여: 10명 평균연령: 40.3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영상평가는 정형외과 전문의 1명과 영상의학과 전문의 1명이 MR과 CT modality에서 Hip joint articular transverse ligament의 6 o'clock을 중심으로 Superior을 12 o'clock, Labrum의 전면을 3 o'clock, 반대쪽을 9 o'clock로 기술하는 Clock face을 재구성 한 후 11 o'clock에서 A. retinacular vessel, B. head neck junction, 12 o'clock A. Epiphyseal line, B. Cam lesion, 1,2,3,4 o'clock의 Cam lesion, Posterior Cam lesion확인 여부를 리커트(Likert scale)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Independent t-test p<0.05). 리커드 척도 결과 11 o'clock A. retinacular vessel MR 평균 값 $3.69{\pm}1.0$, CT 평균값 $2.8{\pm}0.78$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B. head neck junction은 두 평가자간 차이가 없었다(p<0.416). 12 o'clock A. Epiphyseal line MR 평균값 $3.54{\pm}1.00$, CT 평균값 $4.5{\pm}0.62$이었다(p<0.000). B. Cam lesion은 두 평가자간 차이가 없었다(p<0.532). 1,2,3,4 o'clock 의 Cam lesion과 Posterior Cam lesion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656, p<0.658). weighted Kappa 검증 결과 11 o'clock A.retinacular vessel CT K값이 0.663으로 가장 낮은 일치도였으며, 각각의 평가 항목의 일치도 평가 결과 매우 높은 결과로 두 평가자간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강자성 인공물 발생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질 평가: 1.5T와 3.0T 비교 (Assessment of Magnetic Resonance Image Quality For Ferromagnetic Artifact Generation: Comparison with 1.5T and 3.0T.)

  • 구은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93-199
    • /
    • 2018
  • 본 연구는 총 15명의 정상인 지원자를 대상으로 1.5T와 3.0T의 자기공명영상기기(Philips, Medical System, Achieva)를 이용하여 강자성 인공물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의 Tesla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평가는 신호대 잡음비 평가, 강자성 인공물이 형성된 부위의 길이와 Histogram을 평가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T1, T2 sagittal 영상의 Background의 4 부위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L3, L4, L5의 각 추체부에 관심영역을 설정한 후 신호대잡음비 값을 측정하였고, 인공물이 형성된 3 부위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길이 값을 측정하였고,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해 인공물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 값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 대한 결과로 신호대 잡음비 평가에서 L3에서는 1.5T와 3.0T 사이에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L4, L5에서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강자성 인공물이 형성된 3 부위의 길이는 3.0T에 비해 1.5T가 더 짧아 주변조직에 대한 진단적 정보를 더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Histogram평가에서는 3.0T보다 1.5T가 Count값이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1.5T와 3.0T의 신호대 잡음비, 강자성 인공물의 길이, Histogram을 비교 평가해 봤을 때, Spine MRI 검사 시에 PLIF 등 디스크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는 Low Tesla로 검사가 최적의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NASNet을 이용한 이미지 시맨틱 분할 성능 개선 (Improved Performance of Image Semantic Segmentation using NASNet)

  • 김형석;류기윤;김래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2호
    • /
    • pp.274-282
    • /
    • 2019
  • 최근 빅데이터 과학은 사회현상 모델링을 통한 예측은 물론 강화학습과 결합하여 산업분야 자동제어까지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 가운데 이미지 영상 데이터 활용연구는 화학, 제조, 농업, 바이오산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신경망 기술을 활용하여 영상 데이터의 시맨틱 분할 성능을 개선하고자, U-Net의 계산효율성을 개선한 DeepU-Net 신경망에 AutoML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구현한 NASNet을 결합하였다. BRATS2015 MRI 데이터을 활용해 성능 검증을 수행하였다. 학습을 수행한 결과 DeepU-Net은 U-Net 신경망 구조보다 계산속도 향상 뿐 아니라 예측 정확도도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미지 시맨틱 분할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드롭아웃 층을 빼고, DeepU-Net에 강화학습을 통해 구한 커널과 필터 수를 신경망의 하이퍼 파라미터로 선정했을 때 DeepU-Net보다 학습정확도는 0.5%, 검증정확도는 0.3% 시맨틱 분할 성능을 개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논문에서 시도한 자동화된 신경망을 활용해 MRI 뇌 영상진단은 물론,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이상진단, 비파괴 검사 진단, 화학물질 누출감시, CCTV를 통한 산불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차원 볼륨 렌더링을 이용한 가상 돌출형 전립선 부피 평가 (Evaluation on Protrusion of the Imaginary Prostate Volume Using Three-Dimensional Volume Rendering)

  • 성열훈;주용현;임재동;최보영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0권4호
    • /
    • pp.208-215
    • /
    • 2009
  • 2차원의 영상을 이용한 돌출형 전립선 비대증의 부피 평가방법에서 돌출부위를 포함시킬 경우와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의 부피변화를 3차원 볼륨 렌더링(volume rendering, VR)을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돌출형 전립선 부피측정을 위한 가상 전립선 모델은 곤약을 이용해 임의로 평균 1 cm 정도로 돌출되도록 하여 10 ml에서 각각 10 ml씩 부피를 변화시켜 100 ml까지 총 10 개의 모델을 제작하였다. 이 때 제작된 모델의 부피측정은 64 channel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과 3.0 Tesla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e, MRI)을 이용하여 획득된 3차원 볼륨 영상자료로 계측하였다. 산출한 CT와 MRI영상들의 3차원 볼륨데이터 근접성 평가를 위해 wilcoxon 부호순위(signed rank) 검정을 하였다. 또한 획득한 영상자료는 3차원 영상처리를 통하여 볼륨 렌더링으로 재구성한 후 타원체부피공식법을 이용하여 돌출부위를 포함시킬 때와 포함하지 않을 때의 부피를 구하였다. 이 때 돌출 유무에 따라 각각 측정된 부피와 3차원 볼륨 렌더링의 부피를 wilcoxon 부호순위(signed rank) 검정을 사용하여 유의성을 평가했으며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를 사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계측된 가상 전립선 모델의 돌출부위길이는 CT에서 $0.90{\pm}0.18\;mm$, MRI에서 $0.75{\pm}0.11\;mm$이었으며, CT와 MRI에서 계측된 3차원 영상 부피의 p-value는 0.414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MRI에서 측정된 3차원 영상 부피와 2차원 영상에서 돌출부위를 포함시킬 때의 p-value는 0.005인 반면 포함하지 않을 때의 p-value는 0.139로 나타났으며, CT에서도 측정된 3차원 영상 부피와 2차원 영상에서 돌출부위를 포함시킬 때의 p-value는 0.005인 반면 포함하지 않을 때의 p-value는 0.057로 나타났다. 돌출형 전립선의 부피측정은 돌출부위를 제외하고 상하길이를 측정하는 것이 3차원 볼륨 렌더링에 의한 부피 값과 더 가까운 부피 값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동시 뇌경두개자기자극-기능자기공명영상 시행을 위한 홀더 제작과 시뮬레이션 및 영상 데이터 평가 (A System for Concurrent TMS-fMRI and Evaluation of Imaging Effects)

  • 김재창;경성현;이종두;박해정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3호
    • /
    • pp.169-180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신경망의 인과성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인 뇌경두개자기자극기 (TMS)를 기능자기공명영상(fMRI) 내에서 동시에 시행하기 위한 적합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 및 방법 : TMS 코일을 지지할 수 있도록 비자성의 특징을 갖는 물질인 Polyetherether Keton (PEEK)을 이용하여 홀더를 제작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MR 스캐너 안에서의 TMS 코일의 위치와 방향에 따른 자기장의 분포를 계산하였다. 또한, TMS 자극시 발생할 수 있는 영상 왜곡을 최소화하면서 fMRI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볼륨과 볼륨 획득 사이 간극 동안 TMS 자극을 가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결과 :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코일 중심의 자기장은 코일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급격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팬텀실험을 통해 fMRI 자극제시는 볼륨간 시간 간격을 100 ms정도 수준에서도 영상 왜곡을 줄이는데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운동 과제 수행과 TMS로 운동 중추 자극시 각각의 뇌반응 분석 연구를 통해 fMRI 측정 중 TMS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fMRI 환경 내에서 관심 영역에 TMS를 가함으로써 뇌 기능의 인과적 연결성 연구를 할 수 있는 기본 도구를 확립하게 되었다.

지간 신경종의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한 진단 (Diagnosis of Morton's Neuroma Using MR Imaging scans)

  • 홍기도;하성식;심재천;김재영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1-134
    • /
    • 2003
  • Most interdigital neuroma can be diagnosed clinically. But, diagnostic local injection method, son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e(MRI) have been used as secondary tests for clinical confirmation or surgery. Recently, there have been active discussions on the method of interdigital neuroma diagnosis for which sonography or MRI is used. For finding out the location or the number of interdigital neuroma particularly in non-typical clinical manifestation or surgery, MRIs, which are exellent in tissue contrast, may be quite helpful. This case had an interdigital neuroma showing non-typical manifestation. MRIs were used for clinical diagnostic confirmation and finding out the location and the number of interdigital neuroma. Thus, the validity along with literary consideration is being repor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