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CP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3초

여러 간외담도 질환에서 삼차원적 자기공명 췌담관 조영술과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과의 비교: 진단적 정확성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Diagnostic Accuracy of Three-Dimensional MR Cholangiopanceatography and ERCP in Various Extrahepatic Biliary Lesions)

  • 김경숙;이문규;김명환;이승규;김표년;오용호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권1호
    • /
    • pp.148-153
    • /
    • 1997
  • 목적: 다양한 간외담도질환에서 3차원적 자기공명췌담도조영술(MR cholangiopancreatography, MRCP)의 진단적 가치를 내시경적 역생성 췌담도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와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간외담도질환이 의심되는 46명의 환자에 대하여 MRCP와 ERCP를 각각 시행하였다. MRCP는 reverse fast imaging with a steady-state free precession(reverse FISP:PSIF) 기법을 이용하여 얻어낸 후 MIP algorithm을 이용하여 재구성하였다. 담도확장여부와 폐쇄부위 진단에 대한 MRCP의 정확성을 ERCP를 최적기준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악성 및 양성병변의 감별과 종합적인 진단정확도를 MRCP와 ERCP간에 비교하였다. 결과: MRCP의 담도확장여부 예측은 민감도 94.6%, 특이도 75.0%, 정확도 91.1%였다. 폐쇄부위 예측의 정확도는 87.0%였다. 악성과 양성병변의 감별에 있어 MRCP와 ERCP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76.2%, 87.5%, 82.2%와 71.4%, 83.3%, 77.8%였다. 각각의 지롼에 대한 전체적 진단의 정확도는 MRCP가 60.0%, ERCP가 55.6%였다. 결론: 3D MRCP는 간외담도질환에 있어 ERCP와 비교하여 손색없는 진단적 가치를 가지며, 앞으로 ERCP를 대체할 수 있는 좋은 검사방법이라고 생각된다.

  • PDF

비결석, 비종양성 총담관 확장의 진단에 있어서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MRCP)의 유용성 (Usefulness of MRCP in the Diagnosis of Common Bile Duct Dilatation caused by Non-stone or Non-tumorous Conditions)

  • 정재준;양희철;김명진;김주희;이종태;유형식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6권2호
    • /
    • pp.129-136
    • /
    • 2002
  • 목적 : 총담관 확장을 유발하는 원인 중 결석과 종양을 제외한 여러 원인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MRCP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ERCP와 MRCP를 모두 시행받은 환자 26명 (남:여=15:11, 평균연령 62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중 12명은 역동적 MRCP를, 10명은 조영증강 MRI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총담관, 간내 담도, 췌관 등의 확장 정도, 간내 담도 결석, 췌장 가성낭종, 유두부의 부종이나 결절성 종대 등을 관찰하였다. 총담관은 T2-강조 관상영상에서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경우 7 mm 이상, 절제술을 받은 경우 10 mm 이상을 비정상적인 확장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환자의 총담관 평균 직경은 12.7mm(n=21, 9-19 mm)였고, 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평균 직경은 13.0 mm(n=5, 10-15mm)였다(p〉0.05). MRCP에서 담관염 11명(42.3%), 만성 췌장염 8명(30.8%), 원위부 총담관 협착 6명(23.1%), 팽대부 주위 게실 3명(11.5%), Vater 팽대부 협착, 오디 괄약근 기능장애, 췌장 두부의 국소적 췌장염이 각각 2명 (7.7%), 유두염, 췌장 두부 가성낭종에 의한 총담관 확장, 총담관 내 회충이 각각 1명(3.8%) 있었다. 췌관의 확장은 10명(38.5%)에서 보였고, 십이지장 게실은 3명(11.5%)에서 관찰되었다. 역동적 MRCP(n=12)에서 2명(16.7%)은 일반 MRCP에서 보이지 않던 원위부 총담관이 관찰되었고, 조영증강 MRI를 시행한 10명 중 1명 (10.0%)만이 유두염의 소견을 보였다. 결론 : 비결석, 비종양성 총담관 확장의 원인을 찾는데 있어서 MRCP는 총담관 원위부 협착 및 만성 췌장염, 역동적 MRCP를 이용한 생리적 총담관의 확장, 조영증강 MRI 를 통한 담관염 및 담관 외 병소의 발견 등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췌담관자기공명영상에서 2D TSE(RT)와 3D GRASE(BH) 기법에 대한 영상의 질 평가 : Fast MRCP 기법 (Evaluation of Image Quality for 2D TSE(RT) and 3D GRASE in MRCP Study: Fast MRCP Method)

  • 구은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983-98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환자상태가 좋지 않은 환자에게 적용하기 위하여 Fast MRCP 검사 방법를 이용한 2D TSE(RT)와 3D GRASE(BH) 기법에 적용하여 영상의 질을 평가하고 임상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한다. MRCP 검사를 시행한 환자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 평균나이 64±4.26)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장비는 Ingenia CX 3.0 T 장비를 사용하였고 Data 획득은 Ds anterior Coil을 사용하였다. 정량적 분석으로 각 영상의 SNR과 CNR을 측정하고 정성적 평가를 위해 5등급으로 나누어 영상의 질을 평가하였다. 영상평가는 paired t-test와 wilcoxon 검정을 하였으며 p 값이 0.05 이하 일 때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SNR과 CNR에 대한 정량적 분석 결과 2D TSE(RT) MRCP 와 3D GRASE(BH) 두 기법을 비교했을 때 3D GRASE(BH)가 높게 측정되었다(p<0.05). 정성적 분석결과는 담관의 선예도: 3D GRASE(BH):4.12 ± 0.03, 전반적인 영상의 질: 3D GRASE(BH):4.21 ± 0.91로 높게 나타났다(p=0.001). 담관의 움직임 인공물은 두 기법(2D TSE(RT): 4.41 ± 0.04, 3D GRASE(BH): 4.53 ± 0.14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67). 그러나 배경소거부분은 2D TSE(RT)가 4.14 ± 0.55로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다(p=0.001). 결론적으로, Fast MRCP 검사방법을 이용한 결과 3D GRASE (BH)로 획득한 MRCP 영상이 2D TSE(RT)를 사용한 MRCP 영상에 비해 우위의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호흡을 참기 힘든 환자의 경우 2D TSE(RT) MRCP 기법이 유용성이 있는 결과가 있을 것이다.

소아에서 담췌관 질환에 대한 자기공명 담췌관조영술의 진단적 유용성 (The Usefulness of MRCP in the Evaluation of Pancreaticobiliary Diseases in Children)

  • 엄지현;이승연;정기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1호
    • /
    • pp.1381-1388
    • /
    • 2002
  • 목 적: MRCP는 간담도췌장 질환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매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담도췌장 질환이 의심되는 소아에서 MRCP의 진단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1996년 10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간담도췌장 질환으로 입원하여 복부 초음파 및 MRCP를 시행한 환아 7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아의 최종 진단은 수술, 조직검사 소견, 임상 소견, 기타 검사 등을 토대로 하였다. 결 과 : 1) 대상 환아는 총 70례로 남녀비는 1 : 1.2였으며 평균 연령은 $2.6{\pm}3.3$세였다. 2) 간기능 검사상 혈청 AST, ALT 치는 각각 $192.7{\pm}139.6IU/L$, $182.7{\pm}143.8IU/L$이었고, 총 빌리루빈치, 직접 빌리루빈치는 각각 $6.9{\pm}3.7mg/dll$, $4.8{\pm}2.4mg/dll$이었다. 3) 간담도 췌장질환의 원인은 담도폐쇄증 25례(35.7%), 신생아 간염 18례(25.7%), 담관낭종 16례(23%)로 이 중 APBDU를 동반한 경우가 7례(10.0%), APBDU를 동반하지 않은 경우가 6례(12.9%)였으며, 전염성 단핵구증, 전격성 간염, 콕시엘라증(coxiellosis) 등으로 인한 담즙 정체성 간염이 5례(7.1%), 경화성 담도염이 2례(2.8%), 이차성 담도 경화증은 1례(1.4%), 만성 재발성 췌장염 환아가 3례(4.3%)였다. 4) 수술 소견과 병리 조직학적 소견을 기준으로 할 때 간담도췌장질환에 대한 복부 초음파의 진단의 정확도 75.7%에 비해 MRCP는 97.1%로 높았다. MRCP의 예민도와 특이도는 담도폐쇄증의 경우 각각 100%, 98%였고, APBDU가 동반된 담관낭종의 경우 87.5%, 100%였으며, APBDU가 동반되지 않은 담관낭종, 경화성 담도염, 만성 반복성췌장염은 양자 모두 100%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MRCP는 간담도췌장 질환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편리하고 안전하며 비침습적인 방법으로서 그 진단율 또한 다른 검사에 비해 뛰어나 소아에서 간담도췌장질환이 의심될 때 우선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검사임을 알 수 있었다.

Evaluation of the Microvascular Research Center Training Program for Assessing Microsurgical Skills in Trainee Surgeons

  • Komatsu, Seiji;Yamada, Kiyoshi;Yamashita, Shuji;Sugiyama, Narushi;Tokuyama, Eijiro;Matsumoto, Kumiko;Takara, Ayumi;Kimata, Yoshihiro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0권3호
    • /
    • pp.214-219
    • /
    • 2013
  • Background We established the Microvascular Research Center Training Program (MRCP) to help trainee surgeons acquire and develop microsurgical skills. Medical students were recruited to undergo the MRCP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MRCP for trainee surgeons. Methods Twenty-two medical students with no prior microsurgical experience, who completed the course from 2005 to 2012, were included. The MRCP comprises 5 stages of training, each with specific passing requirements. Stages 1 and 2 involve anastomosing silicone tubes and blood vessels of chicken carcasses, respectively, within 20 minutes. Stage 3 involves anastomosing the femoral artery and vein of live rats with a 1-day patency rate of >80%. Stage 4 requires replantation of free superficial inferior epigastric artery flaps in rats with a 7-day success rate of >80%. Stage 5 involves successful completion of one case of rat replantation/transplantation. We calculated the passing rate for each stage and recorded the number of anastomoses required to pass stages 3 and 4. Results The passing rates were 100% (22/22) for stages 1 and 2, 86.4% (19/22) for stage 3, 59.1% (13/22) for stage 4, and 55.0% (11/20) for stage 5. The number of anastomoses performed was $17.2{\pm}12.2$ in stage 3 and $11.3{\pm}8.1$ in stage 4. Conclusions Majority of the medical students who undertook the MRCP acquired basic microsurgical skills. Thus, we conclude that the MRCP is an effective microsurgery training program for trainee surgeons.

Comparison Between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and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With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for Resectability Assessment in Ex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 Jeongin Yoo;Jeong Min Lee;Hyo-Jin Kang;Jae Seok Bae;Sun Kyung Jeon;Jeong Hee Yoo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0호
    • /
    • pp.983-995
    • /
    • 2023
  • Objective: To compare the diagnostic performance and interobserver agreement between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CECT) and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CE-MRI) with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MRCP) for evaluating the resectability in patients with ex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eCCA).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treatment-naïve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eCCA, who underwent both CECT and CE-MRI with MRCP using extracellular contrast media between January 2015 and December 2020. Among the 214 patients (146 males;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68 ± 9 years) included, 121 (56.5%) had perihilar cholangiocarcinoma. R0 resection was achieved in 108 of the 153 (70.6%)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intent surgery. Four fellowship-trained radiologists independently reviewed the findings of both CECT and CE-MRI with MRCP to assess the local tumor extent and distant metastasis for determining resectability. The pooled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C),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ECT and CE-MRI with MRCP were compared using clinical, surgical, and pathological findings as reference standards. The interobserver agreement of resectability was evaluated using Fleiss kappa (κ).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CECT and CE-MRI with MRCP in the pooled AUC (0.753 vs. 0.767), sensitivity (84.7% [366/432] vs. 90.3% [390/432]), and specificity (52.6% [223/424] vs. 51.4% [218/424]) (P > 0.05 for all). The AUC for determining resectability was higher when CECT and CE-MRI with MRCP were reviewed together than when CECT was reviewed alone in patients with discrepancies between the imaging modalities or with indeterminate resectability (0.798 [0.754-0.841] vs. 0.753 [0.697-0.808], P = 0.014). The interobserver agreement for overall resectability was fair for both CECT (κ = 0.323) and CE-MRI with MRCP (κ = 0.320), without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884). Conclusion: CECT and CE-MRI with MRC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agnostic performance and interobserver agreement in determining the resectability in patients with eCCA.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Pancreatitis on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 Hwang, Jae-Yeon;Yoon, Hye-Kyung;Kim, Kyung Mo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8권2호
    • /
    • pp.73-84
    • /
    • 2015
  • Pediatric pancreatitis is not uncommon and results in considerable morbidity and mortality in the affected children. Unlike adults, pediatric pancreatitis is mo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structural abnormalities, trauma, and drugs rather than an idiopathic etiology.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MRCP) is a good imaging modality for evaluating pancreatitis and determining etiology without exposure to radiation. This article focuses on MRCP findings associated with various causes of pancreatitis in children, particularly structural abnormalities of the pancreaticobiliary system, as well as describing the feasibility, limitations, and solutions associated with pediatric MRCP.

자기공명 담관췌장초영술에서 음성 경구 조영제로 사용한 초상자성 산화철 제재의 유용성 (Usefulness of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SPIO) as a Negative Oral Contrast Agent in MR Cholangiopancreatography)

  • 이정민;송원규;이종덕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5권1호
    • /
    • pp.49-56
    • /
    • 2001
  • 목적 자기공명 담관췌장조영술(MR Cholangiopancreatography, 이하 MRCP)에서 음성 경구 조영제로 사용한 초상자성 산화철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SPIO) 제제의 유용성을 영상 질의 향상 효과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상소견, 이학적 검사 및 초음파 검사에서 담도와 췌장질환이 의심되었던 48명의 환자와 자원자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음성 경구 조영제로 사용한 SPIO 제재의 적정 농도의 선택을 위해 정주용 SPIO제재 0.5ml, 0.75m1, 1 ml, 1.5 ml 및 2ml을 500m1 물에 희석시켜 가상 실험을 통하여 72강조영상에서 물의 신호강도가 완전히 소실되는 최소농도를 산출하였다. MRCP영상은 1.57를 이용하여 지방억제 HASTE (half-courier acquisition single-shot turbo spin echo) 와 터보스핀에코(Turbo spin echo) 기법을 이용하여 얻었다. 조영 후 영상은 음성 경구 조영제 300m1를 경구 섭취하고 10분 후에 얻었고, 조영 전 후 영상을 최대 신호 투영법으로 재구성하였다. 영상 분석은 조영 전 영상에 비교하여 위 십이지장내의 액체의 고신호강도에 따른 총수담판 및 췌관의 묘출의 방해 정도 및 진단의 향상 정도를 두 명의 방사선과 의사가 합의하여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가상 실험에서, 22.4 ugFe/ml 농도의 혼합액 (Feridex I ml 용액을 자유수 500m1에 희석하여 만든 농도)에서의 신호강도 소실 백분율의 증가가 가장 현저한 변화를 보였다. 영상분석에서는, 조영 후 영상이 조영 전 영상에 비해 영상의 질이 향상되었다. 또한 환자의 25% (12/48)에서 조영 전 영상에 비하여 더 정화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였다. 결론. MRCP영상 획득 시 음성 경구 조명제로서 사용된 초상자성 산화철 (SPIO) 제재는 영상질의 향상시켜 담도 및 췌장질환을 평가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양극 경두개직류자극에 의한 운동관련피질전위의 변화 (Change of Cerebral Motor Area Activity by An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 임영은;김수현;양대중;김태열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1권4호
    • /
    • pp.65-71
    • /
    • 2009
  • Purpos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is a useful method for modulating the brain activity.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 of continuous and interrupted tDCS using the change in the movement related cortical potential. Methods: Thirty healthy participants (male: 18 and female: 12) were assigned randomly to three groups; sham tDCS, continuous tDCS, which the current continuously flowed for 10 minutes, and interrupted tDCS, which the interrupted current flowed for 10 minutes (repetition: 4sec stimulation and 5sec rest) at an intensity of 1mA with anodal polarity. The effect of tDCS on the right primary motor area was measured from the movement related cortical potential (MRC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MRCP consisted of the bereitshaftspotential (BP) and negative slope potential (NS) at Cz and C4. Results: Continuous and interrupted tD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in the BP, NS at Cz and C4 compared to the sham tDC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inuous tDCS and interrupted tDCS. Conclusion: The change in cortical activity by continuous and interrupted tDCS results from an improvement in the MRCP. An interrupted tDCS may be a safe and useful modality for stimulating the cortical reg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