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C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39초

하이브리드 SC/$MRC-L_c$/L 다이버시티 수신 광대역 DS-CDMA 시스템의 성능 해석 (Performance Analysis of Wideband DS-CDMA System using Hybrid SC/$MRC-L_c$/L Diversity Received)

  • 김영철;조성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4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89-49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다중경로 페이딩 환경에서의 하이브리드 (Hybrid) SC/MRC-L$_{c}$/L 다이버시티 수신기법과 콘볼루션 부호화 기법을 각각 이용할 때의 광대역 DS-CDMA 시스템의 성능을 구하였다. 다중경로 페이딩으로는 라이시안 페이딩 채널을 가정하였고, 다중사용자간섭의 영향을 함께 분석하였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SC/MRC-L$_{c}$/L 다이버시티 기법과 론볼루션 부호화 기법을 채용하여 성능개선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하이브리드 SC/MRC-L$_{c}$/L 수신에서는 각각의 반송파에 대하여 상관을 취하고 상관기 출력들 중에서 가장 큰 신호성분을 L$_{c}$개만큼 선택하여 최대비 합성하며, 콘볼루션 부호화는 다중경로 페이딩 및 다중접속간섭에 의하여 발생된 오류를 정정 및 검출한다. 분석 결과, 콘볼루션 부호화의 경우는 부호이득과 전력제한 시스템의 trade off를 고려한 부호화율의 선택과 하이브리드 SC/MRC-L$_{c}$/L 수신의 경우, 다이버시티 가지의 증가는 선택의 폭이 커져 성능개선은 이루어지지만 가지의 배수가 동일할 경우 가지의 수가 적은 것이 시스템의 복잡성과 경제적인 면에서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양성자빔 조사에 따른 MRC-5와 SK-N-SH의 DNA 손상 후 회복 특성 (DNA Repair Characteristics of MRC-5 and SK-N-SH Irradiated with Proton Beam)

  • 최은애;이봉수;조영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4호
    • /
    • pp.333-339
    • /
    • 2011
  • 양성자 빔의 조사선량에 따라 정상섬유모세포인 MRC-5와 신경모세포종세포인 SK-N-SH의 DNA 손상도를 확인하고 시간 흐름에 따른 회복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 가지의 세포에 2Gy, 5Gy, 8Gy의 양성자 빔을 각각 조사한 후 Alkaline comet assay를 실시하였다. Tail moment를 측정하여 DNA의 손상도를 비교하였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 재 측정을 하여 두 가지 세포의 회복가능성을 비교하였다. 세가지 선량으로 양성자 빔을 조사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SK-N-SH에 비해 MRC-5의 DNA 손상도는 낮았지만 8Gy 조사하였을 때 MRC-5의 Tail moment값은 $50.3202{\pm}23.17155$로 위험수준의 손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Gy와 5Gy 조사하였을 때 두 세포 모두 25시간 안에 거의 회복되는 반면 8Gy 조사시 두 세포 모두 회복률이 낮아졌으며 MRC-5의 경우 25시간 후 측정시 Tail moment값은 $18.1536{\pm}4.42849$로 선량 증가에 크게 반응하여 회복률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양성자 빔의 SOBP 중 다른 지점에 비해 distal declining edge에서 LET가 더 높으며 선량을 높이면 그 차이는 월등히 커진다. 이러한 특징과 더불어 본 연구에서 확인한 고선량 조사시 정상섬유모세포의 회복률이 낮아져 지속적인 손상으로 이어진다는 점은 양성자 치료시 주의하여야 한다. 종양조직에 해당하는 SOBP 중심부에 조사되는 조건 뿐 아니라 더 높은 RBE의 주변 정상조직에 적용되는 조사조건을 확인하여야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에서 MRC 다이버시티 수신시의 DS/CDMA-Trellis Coded QPSK 신호의 오율 해석 (Error Performance Analysis of DS/CDMA-Trellis Coded QPSK Signal with MRC Diversity Reception i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 노재성;김영철;박기식;강희조;조성준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17-32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라이시안 페이딩, 다중 사용자 간섭, 다중경로 채널에서 MRC(Maximum Ratio Combining) 다이버시티 수신된 DS/CDMA-Trellis Coded QPSK 변조 신호의 패킷 오율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직접 파 전력 대 반사파 전력의 벼($K_r$, , 다이버시티 가지의 수(M), 다중 사용자의 수(U), PN chip rate(PN), 다중 경로 채널의 수($L_p$), 패킷 길이(PL)를 함수로 하여 MRC 다이버시티 수신된 DS/CDMA-Trellis Coded Q QPSK 시스템의 성능과 용량올 구하였다. 해석 결과, 라이시안 페이딩($K_r$=6 dB), 5명의 다중 사용자 간섭,3개의 다중경로 채널에서 2가지(branch) 의 MRC 다이버시티를 적용한 DS/CDMA-Trellis Coded QPSK 시스댐은 2가지 (branch)의 MRC 다이버시 티를 적용한 부호화되지 않은 DS/CDMA BPSK 시스댐에 비하여 약 6 dB의 부호 이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AWGN 채널에 대해 디자인된 Trellis Coded QPSK 신호는 MRC 다이버시티 수신을 적용한 라이시안 페이딩 채널에서도 좋은 성능을 나타냉올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시스템 구조는 라이시안 때이딩, 다중 사용자 간섭, 다중경로 채널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시스템으로서 적절하다고 예상된다.

  • PDF

SQuAD를 활용한 MRC 알고리즘 성능 분석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Analysis of MRC Algorithm Using SQuAD)

  • 임종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31-432
    • /
    • 2018
  • MRC(기계독해)는 Passage, Question, Answel 로 이루어진 Dataset 으로 학습된 모델을 사용하여 요청한 Question 의 Answer 를 같이 주어진 Passage 내에서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MRC 시스템의 성능 측정 지표로 활용되는 SQuAD Dataset 을 활용하여 RNN 의 한 분류인 match-LSTM과 R-NET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위상 에러와 하이브리드 SC/MRC-(2/3)기법을 고려한 MC-DS/CDMA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MC-DS/CDMA System with Phase Error and Hybrid SC/MRC-(2/3) Diversity)

  • 김원섭;박진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6호
    • /
    • pp.835-84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다중 경고 페이딩 환경 하에서 최적의 다이버시티 기법 중 하나로 알려진 하이브리드 SC/MRC(Selective Combining/Maximal Ratio Combining) (2/3) 기법을 적용하고, 각 경로를 통해 들어오는 수신 신호와 수신기 내의 PLL(Phase Locked Loop)에서 발생된 참조 신호와의 위상차를 위상 에러로 가정한 후, PLL 루프 내의 이득 값을 조정하여 완전 동기 된 수신 신호가 되는 MC-DS/CDMA(Multi-Carrier Direct Sequence/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동 통신 환경에 대한 채널 모델로 나카가미-m 페이딩 채널 환경을 채택하였으며, 하이브리드 SC/MRC-(2/3) 다이버시티 방식이 적용된 MC/DS-CDMA 시스템에서 고려 사항인 나카가미 페이딩 지수(m), 경로의 수$(L_p),$ 하이브리드 SC/MRC-(2/3) 다이버시티 브랜치 수$(L,\;L_c),$ 사용자 수(K), 부반송파의 수(U), PLL 루프 내의 이득 값 등을 고려하여 수식을 전개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하이브리드 SC/MRC-(2/3) 방식이 적용된 MC/DS-CDMA 시스템에서 완전 동기 된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절한 PLL 루프 이득 값을 조절하여 성능의 개선을 이룰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완전 동기 된 수신 신호가 되기 위해 페이딩 지수와 부반송파 확산이득에 따라 조금의 차이는 있지만 PLL 루프 이득 값이 7dB 이상 되어야 각 경로의 수신 신호가 완전 동기 된 수신 신호임을 확인하였다.

Application of two different synthetic sequential media for the human IVF-ET program: a prospective, randomized, and comparative study

  • Yoon, Jeong;Yoon, Hye-Jin;Juhn, Kyoung-Mi;Ko, Jin-Kyung;Yoon, San-Hyun;Ko, Yong;Lim, Jin-H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8권4호
    • /
    • pp.186-192
    • /
    • 2011
  • Objective: Since IVF program was first established, various types of media and culture systems have been developed either in-house or commercial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acy of in-house Maria Research Center (MRC) media to that of commercially available Sydney IVF media in human day 3 embryo transfer cycles. Methods: Three hundred sixty nine couples were included in this prospective, randomized, and comparative study. All couples undergoing IVF treatment at the Maria Fertility Hospital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Sydney IVF (n=178) or MRC (n=191) media. Results: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MRC media and Sydney IVF media groups with respect to fertilization rate (74.4% vs. 75.5%). The clinical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of MRC media (47.1% and 20.0%, respectively) were also similar to those of Sydney IVF media (44.4% and 19.4%, respectively). However, the proportion of embryos with good quality on day 3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RC media group than the Sydney IVF media group (50.2% vs. 43.2%) ($p$ <0.05). Conclusion: MRC media were as effective as Sydney IVF media for sustaining embryo development and pregnancy rates. The present study implies that MRC media can be a suitable alternative to commercially available media for human IVF-ET program.

혼합냉매 혼합비에 따른 천연가스 액화공정 성능 비교 (Determination of Mixing Ratio of Mixed Refrigerants and Performance Analysis of Natural Gas Liquefaction Processes)

  • 김민진;이경범;유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6호
    • /
    • pp.677-684
    • /
    • 2013
  • 혼합냉매를 사용하여 천연가스를 액화하는 혼합냉매공정(Mixed refrigerant cycle, MRC)은 공정이 간단하고 장치비가 적게 들며 운전 또한 용이하여 널리 채택되고 있는 공정이다. MRC에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는 혼합냉매를 선택하고 최적의 혼합비를 결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MRC에서 혼합냉매와 혼합냉매의 혼합비가 공정의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통계적 기법 중 실험계획법의 하나인 혼합물 설계와 반응 표면법을 이용하여 전체 공정의 에너지 소비가 최소가 되게 하는 최적의 냉매를 선택하고 그 혼합비를 결정하였다. 여러 냉매와 혼합비에 따른 MRC 공정의 모사는 Aspen HYSYS를 사용하였으며 혼합물설계와 반응 표면법은 Minitab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냉매로는 methane ($C_1$), ethane ($C_2$), propane ($C_3$)과 nitrogen ($N_2$)가 선택되었으며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혼합비(몰 비) 또한 구할 수 있었다.

나카가미 페이딩 환경하에서 MRC 다이버시티와 간섭제거기를 채용한 DS/CDMA 통신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DS/CDMA Communication System with MRC Diversity and CCI Canceller in Nakagami Fading Environment)

  • 소준영;강희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010-1021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채널 환경에서 다중접속간섭(MUI: Multi-User Interference)과 나카가미 페이딩에 의한 DS/CDMA GMSK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고려되는 DS/CDMA GMSK 시스템은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최대비 합성(MRC) 다이버시티 수선법과 간섭제거기를 사용하였다. 유도한 오율식을 이용하여 DS/CDMA GMSK 시스댐의 성능을 구하여, PN 코드 길이(N), 다중 사용자의 수(K), 다이버시티 가지의 수(L), 비트에너지 대 잡음전력비($E_b/N_0$), 페이딩 지수(m)등을 함수로 하여 그래프로 나타내고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MRC 다이버시티 기법이나 간섭제거 기법을 채용함으로써 큰 폭의 성능 개선을 얻을 수 았었다 또한 MRC 다이버시티와 간섭제거기를 직렬로 채용하면 더 큰 개선을 얻을 수 있었다. 결과적으 로 제안된 시스템 구조는 나카가미 페이딩. 다중접속간섭, 다중경로 채널에서 음성 통신시스댐으로서 적절하 다고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