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 studies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4초

3.0 T MRI 환경에서 마이크로비드를 이용한 서브복셀 추적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Sub-Voxel Tracking Using Micro-Beads in a 3.0 T MRI)

  • 한병희;이수열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2-107
    • /
    • 2007
  • In molecular imaging studies via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vivo cell tracking is an important issue for the observation of cell therapy or disease behavior. High resolution imaging and longitudinal study are necessary to track the cell movement. Since the field inhomogeneity extends over several voxels, we have performed the numerical analysis using the sub-voxel method dividing a voxel of MR image into several elements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field inhomogeneity distribution around the micro-beads. We imbedded ferrite-composite micro-beads with the size of $20-150{\mu}m$ in the subject substituted for cells to induce local field distortion. In the phantom imaging with the isotropic voxel size of $200{\mu}m^3$, we could confirm the feasibility of sub-voxel tracking in a 3.0 T MRI.

Hemodynamically Induced Aneurysm-mimicking Findings at Anterior Communicating (A-com) Artery Area due to Anatomical Variation on 3D-TOF MRA

  • 강원석;정태섭;심용운;유병규;박인국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1년도 제6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33-133
    • /
    • 2001
  • Purpos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natomical variation at A-com. artery area an hemodynamically induced aneurysm-mimicking findings on 3D-TOF MRA clinically a experimentally. Method: Sixty-two patients who had no aneurysm at A-com artery on DSA were evalua with MRA. MRA was performed with 1.5T MR machine(Vision, Siemens). Scan parameters o MRA included TR/TE/FA=30/6.4/25$\psi$$\circledR$˙¡, 512*192 of matrix with MIP technique. The occurrence of signal defect at shoulder area of bifurcated A-com artery on MRA was evalua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mmetricity of bilateral ACA and the patency of A-c artery. DSA images were acquired at both ICA and VA. To analyze hemodynamical facto of signal defect, experimental studies of MRA and DSA were peformed with elastic silic phantom using conducting pulsatile pump. We also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o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 PDF

갈색세포종이 의심되는 환자의 평가에 있어서 $^{131}I-MIBG$ Scan의 역할 ($^{131}I-MIBG$ Scintigraphy in the Evaluation of Suspected Pheochromocytoma)

  • 오세정;유형식;박창윤;이소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65-370
    • /
    • 1992
  • Pheochromocytomas are catecholamine producing tumors of neuroectoderrnal origin. Diagnosis of pheochromocytoma is significant due to potentially curable hypertension. But they have a significant associated morbidity due to uncontrolled hypertension and mortality since 10% are malignant. From Aug. 1989 to Jul. 1992, 12 patients of our institution had $^{131}I-MIBG$ scan during work up of suspected primary or recurrent pheochromocytoma. In our studies conclude that $^{131}I-MIBG$ scan is recommended as the initial localizing study of choice (especially for the detection of extraadrenal disease and postoperative recurrence) as a guide for CT and/or MR and specific functional confirmation of their findings.

  • PDF

Imaging diagnosis of clonorchiasis

  • Choi, Don-Gil;Hong, Sung-Ta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77-85
    • /
    • 2007
  • Among several diagnostic tools for clonorchiasis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radiologic examinations are commonly used in clinical practices. During the 2 past decades, many reports regarding imaging findings of clonorchiasis were introduced. The basic imaging finding of clonorchiasis is diffuse dilatation of the peripheral intra-hepatic bile ducts, without dilation of the large intrahepatic or extrahepatic bile ducts. By this finding, however, active clonorchiasis cannot be differentiated from cured infection. Some recent radiologic studies suggested specific findings of active clonorchiasis. Besides direct demonstration of worms, increased periductal echogenicity on sonography and periductal enhancement on dynamic contrast-enhanced CT or MR imaging possibly represent active clonorchiasis. Those images of the liver clonorchiasis are known to be correlated with worm burdens (EPG counts) in their frequency and also severity. The images of cholangiocarcinoma associated with clonorchiasis show both the tumor with obstruction images and diffuse dilatation of the peripheral intrahepatic bile ducts. Radiological images can be a good practical alternative diagnostic method of clonorchiasis.

견관절의 유착성 관절낭염 (Adhesive Capsulitis of the Shoulder)

  • 최수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6호
    • /
    • pp.1355-1365
    • /
    • 2021
  • 견관절의 유착성 관절낭염은 '오십견'이라 불리며 견관절의 동통과 운동제한을 주된 증상으로 한다. 대부분 임상양상으로 진단되지만 유착성 관절낭염의 병태생리와 일치하는 다양한 영상 소견들이 초음파, 자기공명영상, 자기공명영상 관절조영술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진단에 이용되고 있다. 이 종설은 견관절 유착성관절낭염의 다양한 영상의학적 진단과 관련 해부학을 다루었다.

Gadolinium Deposition in the Brain: Current Updates

  • Jin Woo Choi;Won-Jin Moo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0권1호
    • /
    • pp.134-147
    • /
    • 2019
  • Gadolinium-based contrast agents (GBCAs) are commonly used for enhancement in MR imaging and have long been considered safe when administered at recommended doses. However, since the report that nephrogenic systemic fibrosis is linked to the use of GBCAs in subjects with severe renal diseases, accumulating evidence has suggested that GBCAs are not cleared entirely from our bodies; some GBCAs are deposited in our tissues, including the brain. GBCA deposition in the brain is mostly linked to the specific chelate structure of the GBCA: linear GBCAs were responsible for brain deposition in almost all reported studies. This review aimed to summarize the current knowledge about GBCA brain deposition and discuss its clinical implications.

Sturge-Weber 증후군의 뇌관류 SPECT 영상: 자기공명영상과의 비교 (Brain Perfusion SPECT Imaging in Sturge-Weber Syndrome: Comparison with MR Imaging)

  • 류진숙;최윤영;문대혁;양승오;고태성;유시준;이희경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6-64
    • /
    • 1996
  • 목적 : 본 연구는 Sturge-Weber 증후군환자의 뇌관류 SPECT와 MRI를 비교해 봄으로써 이들 환자에 동반되는 특징적인 뇌관류 변화를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 대상환자는 Sturge-Weber 증후군으로 진단된 3개월에서 12세에 이르는 5명의 환아로 모두 간질의 병력이 있었으며, MRI를 시행후 2주이내에 $^{99m}Tc$-HMPAO 또는 $^{99m}Tc$-ECD를 주사하고 삼중헤드 감마카메라에서 뇌관류 SPECT를 시행하였다. 결과 : 석회화를 동반되지 않은 3개월, 9개월, 3년 5개원의 3명의 환아에서는 MRI상 피질의 경미한 위축 소견과 함께 조영증강후 병변부위에 띠모양의 조영증강이 뇌피질을 따라서 관찰되었는데 뇌관류 SPECT상에는 이 부위에 경미한 관류감소 소견을 보였다. 3개월된 다른 1명의 환아에서는 MRI상 우측 대뇌 반구에 피질의 위축소견없이 대뇌피질을 따라 띠모양의 조영증강이 있고, T2강조 영상에서 나이에 비하여 수초화가 항진된 소견을 보였는데 뇌관류 SPECT상에서는 이 부위에 현저한 미만성 관류증가를 보였고, 6개월 뒤 추적 시행한 뇌관류 SPECT상에서는 다른 환아와 마찬가지로 병변부위의 관류저하가 관찰되었다. 또한 석회화가 동반된 12세 환아에서는 MRI상 심한 뇌위축과 함께 병변이 있는 우측 대뇌반구에 뇌관류 SPECT상 관류저하소견이 있었으나 일부 우측 측두엽에는 오히려 국소적으로 혈류가 증가된 부위가 있었다. 결론 : 이상에서 Sturge-Weber 증후군 환아의 뇌관류 SPECT 소견은 MRI상의 병변부위와 대체로 일치되는 관류저하를 보였다. 그러나 조기 병변의 환아에서 병변부위에 관류증가를 보이거나, 진행된 병변f에서도 오히려 국소적인 관류증가 부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들 병변에서 관류가 증가되는 현상에 대해서는 설명하기 어려우나 Sturge-Weber 증후군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기 위한 향후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MRI와 동시 측정한 뇌전도 신호에서 경사자계 유발잡음의 제거 (Gradient Noise Reduction in EEG Acquired During MRI Scan)

  • 이항로;이하나;한재용;박태석;이수열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8권1호
    • /
    • pp.1-8
    • /
    • 2004
  • 목적: MRI를 촬영하면서 뇌전도 신호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은 뇌기능 영상에 있어 매우 필요한 일이다. 그러나 MRI와 동시에 측정한 뇌전도 신호에는 많은 잡음이 유발되는데 이중 가장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은 경사자계에 의해서 유발되는 잡음이다. 경사자계 유발잡음을 ICA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9채널의 MR-compatible 뇌전도 측정시스템과 3.0 T MRI 시스템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3.0 T MRI 시스템 안에 뇌전도 캡을 쓴 피험자를 놓고 EPI 촬영을 하면서 뇌전도 신호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뇌전도 신호에 대하여 ICA를 적용해 경사자계 유발 잡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였다. 제거한 결과를 평균화 방법과 PCA 방법을 사용해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ICA 방법, 평균화 방법 , PCA 방법 모두 경사자계 유발잡음 제거에 있어 일정 부분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들 방법들을 상호 비교하였을 때 잡음 제거 결과는 ICA 방법이 평균화 방법과 PCA 방법에 비해 우수하였다. 결론: ICA를 이용하여 경사자계 유발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잡음이 제거된 뇌전도 신호는 간질환자에 대한 뇌기능영상이나 뇌전도결합 fMRI 촬영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중국 이민자, 유학생, 여행자를 통해서 본 세계화 네트워크 (Sino-Globalization Network of Chinese Migrants, Students, and Travellers)

  • 주우붕;박혜진;박한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509-517
    • /
    • 2020
  • 이 연구는 중국인이 세계화로 편입되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이민자, 유학생, 여행자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중국 세계화 현황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글로벌 네트워크에서 중국 이민자, 유학생, 여행자의 연관성을 제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UN의 이민자 데이터와 UNESCO의 유학생 데이터, 중국문화여행부의 여행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국 세계화의 관점에서 네트워크 및 QAP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이민이나 유학은 선진국으로 향하는 경향이 강했고, 여행은 아시아 지역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태국은 여행자 네트워크에서, 미국은 이민자와 유학생 네트워크의 주요 목적지로 나타났다. 둘째, QAP 기반 통계적 상관관계 분석결과 중국 이민자들과 유학생들로 구성된 매트릭스 간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MR-QAP 분석을 통해 유학생과 이민자 네트워크가 높은 결정계수를 보여 두 변수 간 인과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을 통해 중국의 세계화에 따른 기회와 문제점을 검토하고 각국별 정책적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중국 유학생과 중국 이민자의 국가 선택 요인, 중국의 세계화가 다른 나라들에 미치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이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할 것이다.

실험적으로 유발시킨 VX2 동물모델에서의 Mn-phthalocyanine과 Mangafodipir trisodium의 비교영상 (The Comparative Imaging Study on Mn-phthalocyanine and Mangafodipir trisodium in Experimental VX2 Animal Model)

  • 박현정;고성민;김용선;장용민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8권1호
    • /
    • pp.32-41
    • /
    • 2004
  • 목적 : MnPC의 자기이완성질을 살펴보고, 토끼의 간에 이식한 VX2 암종을 이용해 자기공명영상에서 간의 조영증강형태를 관찰하고자하였다. 또한 간세포 특이성 조영제 사용 시와 비교하여 MnPC의 조직특이성 조영제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조영제 합성시 상자성 원소의 배위자로 phthalocyanine(PC)를 선택하였다. 2.01 g (5.2 mmol)의 phthalocyanine을 0.37g(1.4 mmol)의 manganese chloride와 $310^{\circ}C$에서 36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혼합물을 크로마토그래피 (CHC13: CH3OH=98:2, volume ratio)로 정제하여 2000 달톤의 분자량을 갖는 1.04 g $(46\%)$의 MnPC를 얻었다. 자기이완율은 MnPC를 0.1 mmol로 희석시켜 1.5 T (64 MHz)에서 측정하였다. VX2 암종은 토끼의 간실질 내에 종양세포 부유액을 주입해 실험적으로 유발시켰다. 모든 영상은 1.5 T MR장비에서 무릎관절코일을 사용하여 획득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로 개발된 거대분자 자기공명영상 조영제인 MnPC (4m-mol/kg)와 간세포 특이성 조영제인 Mn-DPDP (0.01 mmol/kg)가 사용되었으며 이들 조영제는 토끼의 이정맥을 통해 주입되었다. T1 강조영상은 스핀에코 (TR/TE=516/14 msec)와 고속다면회손경사회복 (TR/TE=80/4 m-sec, flip angle $60^{\circ}$)을 사용하여 얻었고, T2 강조영상의 획득을 위해서는 고속스핀에코 (TR/TE=1200/85 m-sec)를 사용하였다. 결과 MnPC의 1.5T (64MHz)에서의 자기이완율은 $R1=7.28\;mM^{-1}S^{-1}$, $R2=55.56\;mM^{-1}S^{-1}$ 이었고, MnPC의 높은 T2 자기이완율은 T2 강조영상에서의 정상 간실질의 신호강도를 감소시켜 간실질과 VX2 암종의 구분을 쉽게 하였다. MnPC 주입시 T1 강조영상에서는 간세포 특이성 조영제의 주입시보다 종양의 경계가 명확하였고, 조영증강은 주입후 최소한시간 이상 높게 유지되었다. 결론 : MnPC가 간세포로 흡수되어 담관으로 배설된다는 사실은 Mn-DPDP와 유사한 특성이며 이는 MnPC가 새로운 간특이성 조영제임을 확인시켜 준다. 또한 MnPC의 R2값이 기존의 조영제에 비해 매우 크다는 사실은 T1 조영제로서 뿐만 아니라 T2 조영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사실들을 좀더 정확하게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임상적으로 사용되기 이전에 생체 내 그리고 시험관내 연구가 더 필요하며 다른 동물모델에서의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