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 groups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4초

대중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의 진정성 담론 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미스터트롯>을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uthenticity Discourse Strategies of Popular Music Audition Programs - Focused on -)

  • 이재원;김원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13
    • /
    • 2021
  • 본 연구는 TV조선 오디션 프로그램 <내일은 미스터트롯> 방송 이후 트로트가 방송콘텐츠 시장에서 우월적 지위를 갖게 된 기제를 탐색했다. 트로트 오디션 프로그램이 기존의 오디션 프로그램과 어떤 차별화 및 대중화 전략을 취했는지 프로그램의 서사 구조를 분석하고, 음악 전문가 심층 인터뷰, 제작진의 인터뷰 기사 등을 분석했다. <미스터트롯>은 기존의 오디션 프로그램의 성공 전략을 뒤집는 방식의 전략으로 시청자들에게 어필했다. 먼저, 실력자/비실력자 참가자들이 서로 경쟁하는 게 아니라, 실력자/실력자가 대결을 펼치는 방식을 취했다. 오디션 프로그램의 주요 전략인 '진정성 담론'을 그동안 개인사를 통해 이뤄냈던 것과 달리, 이번 트로트 오디션에서는 가창 실력을 새로운 '진정성 담론'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오디션 프로그램이라면 필수적이라고 여겨졌던 '악마의 편집'을 탈피하고, 악역을 배제하는 전략을 취하고 쇼 연출에 주력했다. 셋째, 아이돌음악, 힙합, 밴드 등 특정 장르의 전문성을 보여야 한다고 여겨졌던 오디션 프로그램의 관행을 깨고 트로트를 다양한 장르와 접합시켰다. 넷째, 10대, 20대 혹은 남성, 여성 등 특정 세대나 성별을 주로 공략했던 이전 오디션 프로그램과 달리, 다양한 연령대를 공략해 시청층을 확대하는 전략을 구사했다. 다섯째, 시청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감정이입을 돕는 자막을 잘 활용한 '자막 전략'으로 중장년 팬덤을 형성해냈다.

급성 통풍성 슬관절염과 패혈성 슬관절염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비교 (Comparison of MR Findings between Patients with Septic Arthritis and Acute Gouty Arthritis of the Knee)

  • 윤수영;추혜정;정해웅;이선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5호
    • /
    • pp.1071-1080
    • /
    • 2022
  • 목적 급성 통풍성 관절염과 패혈성 관절염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차이를 알아본다. 대상과 방법 2012년 10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패혈성 혹은 통풍성 관절염으로 확진된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한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패혈성 관절염과 급성 통풍성 관절염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으로 골수부종, 연부조직 부종, 농양 형성 여부, 활액막 비후 양상(엽상체, 층판, 미만성 선형 모양), 활액막 최대 두께와 관절액 양을 평가하였다. 통풍성 관절염(5명)과 패혈성 관절염(10명)을 윌콕슨 순위합 검정과 피셔 정확 검정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자기공명영상으로 평가된 각 소견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골수부종은 통풍성 관절염군에서 1건, 패혈성 관절염군에서 7건 관찰되었다. 연부조직 농양은 패혈성 관절염군에서만 관찰되었다. 활액막 비후양상은 통풍성 관절염군은 모두 미만성 선형 모양(100%), 패혈성 관절염군은 엽상체 모양(20%), 층판 모양(50%), 미만성 선형 모양(30%)으로 나타났다. 결론 통풍성 관절염과 패혈성 관절염은 자기공명영상 소견만으로 감별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층판 모양 활액막 비후나 골수부종, 연부조직 농양의 경우 패혈성 관절염에서 더 흔히 보였다.

퇴행성 승모판막역류 환자에서 Partial Flexible Band와 Complete Rigid Ring을 이용한 승모판막 성형술의 중기 결과 비교 (Mid-Term Results of Mitral Valve Repair Using a Partial Flexible Band and a Completely Rigid Ring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Mitral Regurgitation)

  • 김경환;안혁;황호영;최진호;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5호
    • /
    • pp.475-481
    • /
    • 2010
  • 배경: 퇴행성 승모판막역류증으로 승모판막성형술을 받은 환자들 중에서 partial flexible band를 이용한 경우와 complete rigid ring을 이용한 경우의 중기 성적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8년 9월 사이에 단독 승모판막역류증으로 승모판막수술을 받은 112명의 환자 중 퇴행성 질환으로 확진되고, 승모판막성형술 및 승모판막륜 링 삽입술을 시행 받은 71명의 환자(남:여=36:35, $55{\pm}13$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을 승모판막륜성형술에 partial flexible band를 이용한 I군(43명)과 Complete rigid ring을 이용한 II군(28명)으로 나누어 단기 및 중기 성적을 비교하였다. 두 군 간의 수술 전 특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추적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36개월(2~69개월)이었다. 결과: 수술관련 사망은 없었으며, 심방세동(n=7), 저심박출 증후군(n=5)과 같은 수술 관련 합병증의 발생은 두 군 간 발생률의 차이가 없었고, II군에서 만기 사망이 1예 있었다. 4년 승모판막역류재발 자유 생존률은 I군과 II군에서 각각 94.5%와 91.8%였다(p=0.695). 좌심실 구출율은 수술 후 조기($7{\pm}2$일)에는 저하 되었고, 최종 추적관찰 시점($25{\pm}16$개월)에서 회복되었다(p=0.002). 이런 변화 추세는 양군에 차이가 없었다(p=0.905). 재수술은 3명의 환자(I군에서 1예, II군에서 2예, p=0.905)에서 시행되었다. 4년 판막 관련 사건 자유 생존률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I군 95.2% vs II군 92.6%, p=0.646). 결론: 승모판막륜 성형술에 사용되는 판막륜 링의 종류는 퇴행성 승모판막 역류증에 대한 승모판막 성형술의 중기 임상성적 및 기능결과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인공 환기요법 관련 폐렴의 임상양상과 기관내 삽관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Clinical Manifestations, Ddiagnostic Availability of Endotracheal Tip Culture)

  • 김남영;성태정;신선희;김성구;이건희;윤혜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2권1호
    • /
    • pp.67-74
    • /
    • 2005
  • 목 적 : 최근 신생아학의 발달과 신생아 집중 치료의 발달로 기관내 삽관 후 인공 환기요법 치료가 빈번하게 이루어져 호흡곤란증이 있는 신생아의 사망률은 감소된 반면 이에 따른 여러 합병증이 병발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인공 환기요법을 사용한 신생아에서 VAP의 발생빈도와 위험요인 및 주된 균주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 법 : 2000년 1월 1일부터 2003년 6월 30일까지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인공 환기요법을 사용한 신생아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입원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VAP의 진단은 기관내 삽관 당시에는 폐렴이 보이지 않으나 기관내 삽관 후 최소 48시간 경과 후 흉부 방사선상 새롭게 침윤이 발생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상기 조건에 만족하는 환아 13명을 VAP군으로, 만족하지 않는 환아 37명을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 인공 환기요법을 사용했던 환아 50명 중 VAP의 발생빈도는 26.0%(13명)였다. 동맥관 개존증과 뇌실내 출혈이 VAP 발생과 연관이 있었고 재태연령, 출생체중, 1분 및 5분 Apgar 점수 및 호흡곤란 증후군, 기관지폐 이형성증, 미숙아 망막증, 패혈증, 급성 신부전, 폐출혈, 공기 누출 증후군 등과는 연관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총 12균주가 동정되었는데 MR-CNS 4례(33.3%), E. cloacae 3례(25.0%), P. aeruginosa 2례(16.7%), MRSA 1례(8.3%), Acinetobacter baumanii 1례(8.3%), K. pneumoniae 1례(8.3%)로 MR-CNS가 가장 많았다. 결 론 : 본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인공 환기요법 치료 후 발생한 폐렴의 빈도는 26.0%이며 MR-CNS가 가장 많이 배양되였다. 기관삽관 말단의 배양은 VAP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적절치 않을 수 있으나 신생아에게 필요한 침습적이지 않고 정확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유방암 환자에서 시행한 유방 자기공명영상에서 배경 실질 조영 증강이 조직검사율과 악성률에 미치는 영향 (Background Parenchymal Enhancement on Breast MRI in Breast Cancer Patients : Impact on Biopsy Rate and Cancer Yield)

  • 김태윤;김성헌;백지은;김윤주;강봉주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3호
    • /
    • pp.224-231
    • /
    • 2013
  • 목적 : 유방암이 진단된 환자에서 시행한 자기공명영상에서 배경 실질 조영 정도에 따른 추가적인 조직 검사율 및 악성률의 차이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유방암을 진단받고 유방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한 32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2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이들의 유방 자기공명영상을 분석하여 배경 실질 조영 증강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판독지를 통해 추가적인 BI-RADS 범주 4 이상의 병변 유무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인 BI-RADS 범주 4 이상의 병변에 대해서는 조직검사를 시행하였고, 악성률을 구하기 위해 조직검사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 총 322명의 유방암 환자의 배경 실질 조영 증강 단계별 환자수는 최소 조영 증강 47.5%, 경한 조영 증강 28.9%, 중간 조영 증강 12.4% 그리고 현저한 조영 증강 11.2%였다. 이 중 70예에서 추가적으로 악성이 의심되는 조영 증강 병변이 발견되었고, 4예를 제외한 66예에서 조직 검사가 시행되었다. 배경 실질 조영 증강이 적은 경우 (최소/경한 조영 증강)와 많은 경우 (중간/현저한 조영 증강) 에 따른 조직 검사율은 각각 19.9%, 22.3%이었고, 악성률은 각각 6.5%, 5.2%이었으나, p-value가 각각 0.77, 0.8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유방암이 진단된 환자에서 시행한 자기공명영상에서 배경 실질 조영 정도와 조직 검사율 및 악성률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가철성 보철물의 금속면 처리방법이 열중합 레진과 금속간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TAL SURFACE TREATMENTS ON THE BONE STRENGTH OF POLYMETHYL METHACRYLATE BONDED REMOVABLE PROSTHESE)

  • 엄태완;장익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36-354
    • /
    • 1998
  • Traditionally, many kinds of mechanical bonding techniques were used for bonding resins to the surface of the metal alloys. If there is a seperation between resin and metal junction by stress accumulation and temperature change of oral cavity, the cracks or crazing may occur, accompanied by failure of resin bonding to metal.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of the type IV gold alloy and Cr-Co alloy surfaces treated with various methods and thermocycling. Universal Instron (Model 1000)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JEOL, Japan) was used to record the shear bond strength of 5 groups. Forty specimens were made for each group ; group 1 was treated with sandblasting only, group 2 was coated with V-primer after sandblasting, group 3 was coated with Metal primer, group 4 wase coated with MR Bond and group 5 was coated with silane. After treated with various methods, thermocycling was done for half of the each group. The surfaces of failed pattern were observed with 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Shear bond strength of the group 1 was lower than that of another groups in type IV gold alloys and bond strength of the group 1, 2 were lower than that of group 3, 4, 5 in Cr-Co alloys. 2. Shear bond strength of the gold alloy with resin was higher than that of Cr-Co alloy when specimens were coated with V-primer. 3. Shear bond strength of the Co-Cr alloys with resin was higher than that of gold alloys when specimens were coated with Metal primer. 4. The bond strength of all specimens did no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rmocycling. 5. Adhesive failures were found in group 1 and Cr-Co alloy in group 2, but adhesive and cohesive failures were found in another groups.

  • PDF

Functional Neuroimaging of General Fluid Intelligencein Prodigies

  • Lee, Kun-Ho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7-138
    • /
    • 2003
  • Understanding how and why people differ is a fundamental, if distant, goal of research efforts to bridge psychological and biological levels of analysis. General fluid intelligence (gF) is a major dimens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refers to reasoning and novel problemsolving ability. A conceptual integration of evidence from cognitive (behavioral) and anatomical studies suggeststhat gF should covary with both task performance and neural activity in specific brain systems when specific cognitive demands are present, with the neural activity mediating the relation between gF and performance. Direct investigation of this possibility will be a critical step toward a mechanistic model of human intelligence. In turn, a mechanistic model might suggest ways to enhance gF through targeted behavioral or neurobiological intervent ions, We formed two different groups as subjects based on their scholarly attainments. Each group consists of 20 volunteers(aged 16-17 years, right-handed males) from the National Gifted School and a local high school respectively. To test whether individual differences in general intelligence are mediated at a neural level, we first assessed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n 40 subjects using standard intelligence tests (Raven's Advanced Progressive Matrices,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administered outside of the MR scanner. We then us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l) to measure task-related brain activity as participants performed three different kinds of computerized reasoning tasks that were intended to activate the relevant neural system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neural activity according to discrepancy in general intelligence, we compared the brain activity of both extreme groups (each, n=10) of the participants based on the standard intelligence test scores. In contrast to the common expect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brain region involved in high-g tasks between both groups. Random effect analysis exhibited that lateral prefrontal, anterior cingulate and parietal cortex are associated with gF. Despite very different task contents in the three high-g-low-g contrasts, recruitment of multiple regions is markedly similar in each case, However, on the task with high 9F correlations, the Prodigy group, (intelligence rank: >99%) showed higher task-related neural activity in several brain reg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F and brain activity should be stronger under high-g conditions than low-g conditions.

  • PDF

뇌성마비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ies of Cerebral Palsy)

  • 강원식;전경훈;손병희;김성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4호
    • /
    • pp.512-518
    • /
    • 2002
  • 목 적: 저자들은 뇌성마비의 임상양상과 원인인자를 관찰함으로써 본질환의 원활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운동발달 지연이나 자세이상으로 성분도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여 뇌성마비로 진단 받고 부설 소아물리치료실에서 추적 관찰한 103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통하여 뇌성마비 환아의 생리적 분류와 고위험요인 및 뇌단층 또는 뇌자기공명영상의 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 총 103명의 환아들 중 남아가 64명, 여아가 39명이었다. 2) 뇌성마비 환아들 중 미숙아 출생이 59명, 만삭아 출생이 44명이었다. 3) 대상 환아 103명의 생리적 국소학적 분류에서는 경직성 반신마비가 55례(53.4%)로 가장 많았다. 4) 대상 환아의 위험인자로 산전인자는 전치태반 1례(0.9%), 태반조기박리 1례(0.9%),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 1례(0.9%)였다. 주산기 인자는 미숙아 출생이 59례(52.2%), 신생아 가사 12례(10.6%), 난산 2례(1.7%), 다태임신 5례(5.5%), 둔위분만 1례(0.9%)였다. 산후인자는 두부 외상 3례(2.7%), 뇌막염 2례(1.8%)였으며, 총 103명의 환아들 중 원인을 모르는 경우도 26례(23%)였다. 5) 대상 환아의 뇌단층촬영 및 뇌자기공명영상 소견은 미숙아군 59례 중 55례에서 관찰한 결과 37례(62.7%)에서 뇌실주위연화증이 가장 많았고 정상소견도 6례(10.2%)였다. 만삭아군은 44례 중 33례에서 관찰한 결과 뇌위축이 15례(41.7%)로 가장 많았고, 정상소견을 보인 경우도 6례(13.6%)였다. 6) 대상 환아 103명 중 29례(28.2%)에서 경련을 동반하였다. 결 론: 최근의 뇌성마비 원인인자와 임상양상 등 그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뇌성마비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Relationship between Abnormal Hyperintensity on T2-Weighted Images Around Developmental Venous Anomalies and Magnetic Susceptibility of Their Collecting Veins: In-Vivo Quantitative Susceptibility Mapping Study

  • Yangsean Choi;Jinhee Jang;Yoonho Nam;Na-Young Shin;Hyun Seok Choi;So-Lyung Jung;Kook-Jin Ahn;Bum-soo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0권4호
    • /
    • pp.662-670
    • /
    • 2019
  • Objective: A developmental venous anomaly (DVA) is a vascular malformation of ambiguous clinical significance. We aimed to quantify the susceptibility of draining veins (χvein) in DVA and determine its significance with respect to oxygen metabolism using quantitative susceptibility mapping (QSM). Materials and Methods: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27 consecutive patients with incidentally detected DVA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Based on the presence of abnormal hyperintensity on T2-weighted images (T2WI) in the brain parenchyma adjacent to DVA, the patients were grouped into edema (E+, n = 9) and non-edema (E-, n = 18) groups. A 3T MR scanner was used to obtain fully flow-compensated gradient echo images for susceptibility-weighted imaging with source images used for QSM processing. The χvein was measured semi-automatically using QSM. The normalized χvein was also estimated. Clinical and MR measureme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E+ and E- groups using Student's t-test or Mann-Whitney U test. Correlations between the χvein and area of hyperintensity on T2WI and between χvein and diameter of the collecting veins were assess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lso calculated using normalized veins. Results: The DVAs of the 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χvein (196.5 ± 27.9 vs. 167.7 ± 33.6, p = 0.036) and larger diameter of the draining veins (p = 0.006), and patients were older (p = 0.006) than those in the E- group. The χvein was also linearly correlated with the hyperintense area on T2WI (r = 0.633, 95% confidence interval 0.333-0.817, p < 0.001). Conclusion: DVAs with abnormal hyperintensity on T2WI have higher susceptibility values for draining veins, indicating an increased oxygen extraction fraction that might be associated with venous congestion.

Feasibility of Spin-Echo Echo-Planar Imaging MR Elastography in Livers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 Kim, Jin Kyem;Yoon, Haesung;Lee, Mi-Jung;Kim, Myung-Joon;Han, Kyunghwa;Koh, Hong;Kim, Seung;Han, Seok Joo;Shin, Hyun Joo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3권3호
    • /
    • pp.251-258
    • /
    • 2019
  • Purpose: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the use of spin-echo echo-planar imaging (SE-EPI) magnetic resonance elastography (MRE) in livers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leq}20$ years old) who underwent 3T SE-EPI MRE were included retrospectivel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liver MRI: suspicion of fatty liver or focal fat deposition in the liver (FAT group), liver fibrosis after receiving a Kasai operation from biliary atresia (BA group), and hepatic iron deposition after receiving chemotherapy or transfusions (IRON group). Technical failure of MRE was defined when a stiffness map showed no pixel value with a confidence index higher than 95%, and the patients were divided as success and failure groups accordingly. Clinical findings including age, gender, weight, height, and body mass index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sults including proton density fat fraction (PDFF), $T2^*$, and MRE values were assessed. Factors affecting failure of MRE were evaluated and the image quality in wave propagation image and stiffness map was evaluated using the appropriate scores. Results: Among total 240 patients (median 15 years, 211 patients in the FAT, 21 patients in the BA, and 8 patients in the IRON groups), technical failure was noted in six patients in the IRON group (6/8 patients, 75%), while there were no failures noted in the FAT and BA groups. These six patients had $T2^*$ values ranging from 0.9 to 3.8 ms. The image quality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FAT and BA groups (P > 0.999), while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IRON group (P < 0.001). Conclusion: The 3T SE-EPI MRE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had a high technical success rate. The technical failure was occurred in children with decreased $T2^*$ value (${\leq}3.8ms$) from iron de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