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PEG-V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Preliminary Study of MPEG-V Scent effects on Virtual Reality Content (가상현실 콘텐츠 용 MPEG-V 후각효과 기초 연구)

  • Lim, Yong-Chul;Kim, Sang-Kyun;Lee, YoungMi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2 no.5
    • /
    • pp.589-599
    • /
    • 2017
  • This paper introduces a system to reproduce the olfactory effect using the MPEG-V (ISO / IEC 23005) standar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fragrance used in the olfactory experiment Using the implemented system, with experiment participant wearing HMD(Head Mounted Display), we carried out one-to-one matching of aroma and scent object images, matching images of aroma and many scent objects, matching of aroma and fragrance object images, and analyzing distance preferenc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aroma of coffee, cocoa, banana, and peach aroma is suitable scent for testing. In case of coffee aroma with high matching accuracy, 10 ~ 20cm distance between smell and participant was more effective in image matching than 30cm. In the future, we can conduct the olfactory research for enhancing the sense of immersion and presence of virtual reality contents using the selected fragrance.

Proposal for a Responsive User Interface System based on MPEG-UD (MPEG-UD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시스템 제안)

  • Moon, Jaewon;Lim, Tae-Beom;Kum, Seungwoo;Kim, Taeyang;Shin, Dong-Hee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5 no.5
    • /
    • pp.83-93
    • /
    • 2014
  •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s customized to users' needs and preferences becomes highlighted as a key area of user-context computing. It is essential for context-aware technology to be developed more intelligent and meaningful services by being widely applied to a variety of sectors and domains. SDO (Standard Development Organization) such as MPEG and W3C has been actively developed to be standardized services and to improve context-awareness services. Yet current standards related to context-aware technology, such as MPEG-7, MPEG-21, MPEG-V, and emotionML, are not capable enough to support various systems and diverse services. Against this backdrop, the MPEG User Description, referred to also as MPEG-UD Standard, is to ensure interoperability among recommendation services, which take into account user's context when generating recommendations to users. In this light, we introduce standards related to the user context and propose the structure for RD-Engine and the Remote Responsive User Interface(RRUI) system in reference to MPEG-UD. This system collects unit resources matching specific condition according to the user's contexts described by MPEG-UD. In so doing, it improves adaptive user interface considering device features in real-time. By automatically generating adaptive user interfaces tailored to an individual's contexts, the proposed system aims to achieve high-quality user experience for a complex service.

A case study to standardize odor metadata obtained from coffee aroma based on E-nose using ISO/IEC 23005 (MPEG-V) for olfactory-enhanced multimedia

  • Choi, Jang-Sik;Byun, Hyung-Gi
    •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
    • v.30 no.4
    • /
    • pp.204-209
    • /
    • 2021
  • Immersive multimedia comprising metadata for five senses can provide user experience by stimulating memory and sensation. In the case of olfactory-enhanced multimedia, a computer-generated smell is combined with additional media content to create a richer and/or more realistic experience for the user.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olfactory-enhanced multimedia using e-nose and olfactory display, their practical applications have been severely restricted owing to the absence of a related standard.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standardize odor metadata obtained from an e-nose system, which has been particularly used to acquire data from different coffee aromas. Subsequently, the data were transferred to an odor display applicable for olfactory-enhanced multimedia using the ISO/IEC 23005 (MPEG-V) data template.

Design Home Network Gataway for Real-time A/V Streaming between IEEE1394 and Ethernet (IEEE1394와 이더넷 사이의 실시간 A/V 스트리밍을 위한 홈 게이트웨이 설계)

  • Jeong Hyo-Moon;Lee Dong-Kyu;Lee Myung-Jin;Kang So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3-126
    • /
    • 2006
  • 멀티미디어 홈 네트워크 환경을 위해서는 A/V(Audio/Video)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에 유리한 IEEE1394 네트워크와 이동성을 편리하게 지원하고, 홈 외부로의 전송에 적합한 이더넷의 상호 연동 서비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가정내의 IEEE1394 기반 A/V 장치에서 홈 내부 및 외부의 이더넷 기반 모바일 장치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인터넷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IEEE1394 기반 A/V 장치로 전송하는 홈 게이트웨이의 구조를 제안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을 위해 DV to MPEG4 트랜스코더를 DV, MPEG4 코덱을 통해 구현하였고, IEEE1394 네트워크와 이더넷 사이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및 제어를 위해 스트리밍 서버와 MPEG4 코덱을 내장한 클라이언트, 그리고 IEC61883 규격을 이용한 IEEE1394 장치 제어 모듈을 제작하였다.

  • PDF

MPEG-4 based XMT APIs for Scene Description (장면 기술을 위한 MPEG-4 기반 XMT API 구현)

  • 정예선;김규헌;기명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1.11b
    • /
    • pp.91-94
    • /
    • 2001
  • MPEG-4 시스템은 장면 자체를 하나의 구성 요소로 여기는 기존의 시스템과는 달리, 그 장면을 구성하는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A/V 객체(Audio/visual Objects)들을 하나의 단위로 인식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장면을 구성(Scene Composition)하고 표현 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MPEG-4 시스템의 객체 기반 특징은 다양한 사용자와의 대화성(Interactivity)을 가능하게 하며 , 또한 편리한 컨텐츠 편집 및 재사용 등이 가능하기에 차세대 디지털 방송 컨텐츠 제작에 중요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객체 기반 A/V 편집 도구는 MPEG-4를 기반으로 차세대 디지털 방송 컨텐츠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작/편집 도구로써 , 장면을 표현하기 위하여 BIFS(Binary Format for Scene description)와 XMT(eXtensible MPEG-4 Textual format) 포맷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 BIFS 포맷은 저작된 결과물을 바이너리 형태로 표현하기 때문에, 저작된 결과물을 전송하는 데에는 용이하나, 중간에 저작된 결과물을 확인하기 어렵고, 또한 기존의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상호 작용(Interoperability)과 교환(Exchange)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반해, XMT는 차세대 마크업 언어로 각광 받고 있는 XML 에 그 기반을 두고 있기에 저작된 결과물을 제작자가 쉽게 저작물을 이해할 수 있으며, SMIL 과 X3D 같은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상호작용과 교환 또한 용이하게 한다 XMT는 기술 방법에 따라 XMT-A 와 XMT-0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XMT-A 포맷은 VRML에서 발전한 X3D(extensible 3D)를 바탕으로 MPEG-4 시스템의 특징들을 수용하여 구성되고 BIFS와 일대일로 대응된다. 반면에 XMT-0는 멀티미디어 문서를 웹문서로 표현하는 SMIL 2.0 을 그 기반으로 하였기에 MPEG-4 시스템의 특징보다는 컨텐츠를 저작하는 제작자의 초점에 맞추어 개발된 형태이다. XMT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저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저작 정보들을 손쉽게 저장하고 조작할 수 있으며, 또한 XMT 파일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API 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XMT 형태의 중간 자료형으로의 저장 및 조작을 위하여 XML 에서 표준 인터페이스로 사용하고 있는 DOM(Document Object Model)을 기반으로 하여 XMT 문법에 적합하게 API를 정의하였으며, 또한, XMT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API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공된 API는 객체기반 제작/편집 도구에 응용되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에 사용되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PEG-2 Compressed Video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MPEG-2 압축 동영상 정보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Heo, Jin-Yong;Kim, In-Hong;Bae, Jong-Min;Kang, Hyun-Syu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6
    • /
    • pp.1431-1440
    • /
    • 1998
  • Video data are retrieved and stored in various compressed form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we present a generic data model that captures the structure of a video document and that provides a means for indexing a video stream, Using this model, we design and implement CVIMS (the MPEG-2 Compressed Video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o store and retrieve video documents, CVIMS extracts I-frames from MPEG-2 files, selects key-frames from the I -frames, and stores in database the index information such as thumbnails, captions, and picture descriptors of the key-frames, And also, CVIMS retrieves MPEG- 2 video data using the thumbnails of key-frames and v31ious labels of queries.

  • PDF

TTA 시험$\cdot$인증 서비스 - 디지털방송장비 분야 - ㈜엠시스 MPEG Player (모델명: MSY200) TTA Verified 인증 획득

  • 권동현;이근구
    • TTA Journal
    • /
    • s.87
    • /
    • pp.169-173
    • /
    • 2003
  • 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는 2003년 4월 30일 ㈜엠시스(http://www.msys.tv)의 MPEG Player(모델명 : MSY200)의 기능 및 성능시험을 수행하여 TTA Verified 인증서(번호 : TTA-V-B-03-001)을 발급하였다. 위의 장비는 MPEG Player의 기본 기능인 Play, Record 외에 스트림 정보를 전면 LCD 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4개의 독자적인 물리채널 운용으로 Play, Record 등의 기능을 4 채널에서 동시에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국제기준 PCR 정확도 및 균일 출력 비트율을 만족하였으며, 장시간 사용 동작 시험에서도 양호한 동작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A Fast Editor for MPEG-2 Program Stream (고속 MPEG-2 프로그램 스트림 편집기)

  • 한재웅;손채봉;오승준;정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133-13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MPEG-2 프로그램 스트림(Program Stream)을 위한 A/V(Audio/Video) 편집기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이 편집기에서는 사용자가 일반 문서를 편집하듯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스트림(Stream)을 복사(Copy), 자름(Cut), 삭제(Delete), 붙이기(Paste)가 가능하며, 또한 스트림 내에서 임의로 조합하여 새로운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는 조합기능도 제공된다. 기존 편집기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사용자가 접근하기 쉽도록 제작되었으며, 계산량을 현저히 줄임으로써 보다 향상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A Transport Overhead Analysis in Terrestrial UHD Broadcast A/V Stream (지상파 UHD 방송 기반 A/V 스트림 전송 오버헤드 분석)

  • Kim, Nayeon;Bae, By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44-45
    • /
    • 2017
  • 최근 등장한 지상파 UHDTV 에서는 A/V 미디어 전송을 위해서 기존 MPEG-2 TS 대신으로 ROUTE 와 MMT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실시간 UHD 방송 서비스를 위해 ROUTE 또는 MMT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UHD 미디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MPEG-2 TS 와 ROUTE, MMT 세 가지 프로토콜의 실질적 전송 효율에 대한 성능 비교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UHD 방송 기반 A/V 스트림을 분석해 전송 오버헤드를 나타내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전송 효율을 비교하고자 한다.

  • PDF

Region Selective Transmission Method of MMT based 3D Point Cloud Content (MMT 기반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의 영역 선별적 전송 방안)

  • Kim, Doohwan;Kim, Junsik;Kim, Kyuheo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5 no.1
    • /
    • pp.25-35
    • /
    • 2020
  •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mage processing technology, as well as hardware performance, has been continuing the research on 3D point processing technology that provides users with free viewing angle and stereoscopic effect in various fields. Point cloud technology, which is a type of representation of 3D point, has attracted attention in various fields because it can acquired/expressed point precisely. However, since Hundreds of thousands, millions of point are required to represent one 3D point cloud conten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larger amount of storage space is required than a conventional 2D content. For this reason, the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a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is continuing to research how to efficiently compress, store, and transmit 3D point cloud content to users. In this paper, a V-PCC bitstream generated by a V-PCC (Video-based Point Cloud Compression) encoder proposed by the MPEG-I (Immersive) group is composed of an MPU (Media Processing Unit) defined by the MMT. In addition, by extending the signaling message defined in the MMT standard, a parameter for a segmented transmission method of the 3D point cloud content by area and quality paramete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3D point cloud content, so that the quality parameters can be selectiv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Finally, in this paper, we verify the result through design/implementation of the verification platform based on the proposed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