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PEG-V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9초

가상현실 콘텐츠 용 MPEG-V 후각효과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MPEG-V Scent effects on Virtual Reality Content)

  • 임용철;김상균;이영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89-599
    • /
    • 2017
  • 본 논문은 후각실험에 사용되는 향기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로 MPEG-V(ISO/IEC 23005) 표준을 활용한 후각효과 재현 시스템을 소개한다. 구현된 시스템을 활용하여 실험 참여자들에게 두부장착교시장치(Head Mounted Display: HMD)를 착용시킨 상태에서 향기와 향기객체 이미지의 일대일 매칭, 향기와 다수의 향기객체 이미지 매칭, 그리고 발향장치와 피험자와의 거리별 선호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해 후각도구로 커피, 코코아, 바나나, 복숭아 향기를 실험에 적합한 향기로 선정하였다. 매칭 정확도가 높았던 커피 향기의 경우 발향장치와 참여자 사이의 거리가 10~20cm인 경우가 30cm보다 이미지 매칭에 더 효과적이었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서 선정된 향기를 사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의 몰입감 및 현장감 향상을 위한 후각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MPEG-UD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시스템 제안 (Proposal for a Responsive User Interface System based on MPEG-UD)

  • 문재원;임태범;금승우;김태양;신동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83-93
    • /
    • 2014
  • 사용자 컨텍스트에 의거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점점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서비스들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Context-awareness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MPEG과 W3C 등의 표준화 기구에서도 Context-awareness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컨텍스트 표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MPEG7, MPEG-21, MPEG-V, EmotionML와 같은 컨텍스트 기반 표준화들은 다양한 시스템과 서비스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MPEG-UD 표준은 사용자를 위한 추천시 관련한 컨텍스트 정보를 사용하여 추천 결과를 만들어내는 서비스들과의 상호 호환성을 고려한 컨텍스트 표준화를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MPEG-UD를 비롯한 컨텍스트 관련 표준화 연구를 소개 하고 MPEG-UD 표준을 기반으로 한 RD-Engine 구조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MPEG-UD로 서술되는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사용하며, 특정 조건에 맞는 단위리소스를 수집하고 디바이스의 특성을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적응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자동적으로 적응적인 개인 컨텍스트에 따른 적응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시스템은 복합적 서비스 제공시 사용자의 UX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A case study to standardize odor metadata obtained from coffee aroma based on E-nose using ISO/IEC 23005 (MPEG-V) for olfactory-enhanced multimedia

  • Choi, Jang-Sik;Byun, Hyung-Gi
    • 센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04-209
    • /
    • 2021
  • Immersive multimedia comprising metadata for five senses can provide user experience by stimulating memory and sensation. In the case of olfactory-enhanced multimedia, a computer-generated smell is combined with additional media content to create a richer and/or more realistic experience for the user.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olfactory-enhanced multimedia using e-nose and olfactory display, their practical applications have been severely restricted owing to the absence of a related standard.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standardize odor metadata obtained from an e-nose system, which has been particularly used to acquire data from different coffee aromas. Subsequently, the data were transferred to an odor display applicable for olfactory-enhanced multimedia using the ISO/IEC 23005 (MPEG-V) data template.

IEEE1394와 이더넷 사이의 실시간 A/V 스트리밍을 위한 홈 게이트웨이 설계 (Design Home Network Gataway for Real-time A/V Streaming between IEEE1394 and Ethernet)

  • 정효문;이동규;이명진;강순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3-126
    • /
    • 2006
  • 멀티미디어 홈 네트워크 환경을 위해서는 A/V(Audio/Video)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에 유리한 IEEE1394 네트워크와 이동성을 편리하게 지원하고, 홈 외부로의 전송에 적합한 이더넷의 상호 연동 서비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가정내의 IEEE1394 기반 A/V 장치에서 홈 내부 및 외부의 이더넷 기반 모바일 장치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인터넷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IEEE1394 기반 A/V 장치로 전송하는 홈 게이트웨이의 구조를 제안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을 위해 DV to MPEG4 트랜스코더를 DV, MPEG4 코덱을 통해 구현하였고, IEEE1394 네트워크와 이더넷 사이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및 제어를 위해 스트리밍 서버와 MPEG4 코덱을 내장한 클라이언트, 그리고 IEC61883 규격을 이용한 IEEE1394 장치 제어 모듈을 제작하였다.

  • PDF

장면 기술을 위한 MPEG-4 기반 XMT API 구현 (MPEG-4 based XMT APIs for Scene Description)

  • 정예선;김규헌;기명석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1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91-94
    • /
    • 2001
  • MPEG-4 시스템은 장면 자체를 하나의 구성 요소로 여기는 기존의 시스템과는 달리, 그 장면을 구성하는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A/V 객체(Audio/visual Objects)들을 하나의 단위로 인식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장면을 구성(Scene Composition)하고 표현 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MPEG-4 시스템의 객체 기반 특징은 다양한 사용자와의 대화성(Interactivity)을 가능하게 하며 , 또한 편리한 컨텐츠 편집 및 재사용 등이 가능하기에 차세대 디지털 방송 컨텐츠 제작에 중요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객체 기반 A/V 편집 도구는 MPEG-4를 기반으로 차세대 디지털 방송 컨텐츠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작/편집 도구로써 , 장면을 표현하기 위하여 BIFS(Binary Format for Scene description)와 XMT(eXtensible MPEG-4 Textual format) 포맷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 BIFS 포맷은 저작된 결과물을 바이너리 형태로 표현하기 때문에, 저작된 결과물을 전송하는 데에는 용이하나, 중간에 저작된 결과물을 확인하기 어렵고, 또한 기존의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상호 작용(Interoperability)과 교환(Exchange)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반해, XMT는 차세대 마크업 언어로 각광 받고 있는 XML 에 그 기반을 두고 있기에 저작된 결과물을 제작자가 쉽게 저작물을 이해할 수 있으며, SMIL 과 X3D 같은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상호작용과 교환 또한 용이하게 한다 XMT는 기술 방법에 따라 XMT-A 와 XMT-0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XMT-A 포맷은 VRML에서 발전한 X3D(extensible 3D)를 바탕으로 MPEG-4 시스템의 특징들을 수용하여 구성되고 BIFS와 일대일로 대응된다. 반면에 XMT-0는 멀티미디어 문서를 웹문서로 표현하는 SMIL 2.0 을 그 기반으로 하였기에 MPEG-4 시스템의 특징보다는 컨텐츠를 저작하는 제작자의 초점에 맞추어 개발된 형태이다. XMT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저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저작 정보들을 손쉽게 저장하고 조작할 수 있으며, 또한 XMT 파일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API 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XMT 형태의 중간 자료형으로의 저장 및 조작을 위하여 XML 에서 표준 인터페이스로 사용하고 있는 DOM(Document Object Model)을 기반으로 하여 XMT 문법에 적합하게 API를 정의하였으며, 또한, XMT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API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공된 API는 객체기반 제작/편집 도구에 응용되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에 사용되었다.

  • PDF

MPEG-2 압축 동영상 정보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PEG-2 Compressed Video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허진용;김인홍;배종민;강현석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1431-1440
    • /
    • 1998
  • 동영상 정보는 자료의 양이 방대하고 다양하여 압축된 형태로 저장하고 검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 문서의 구조를 추출하고 동영상 스트림의 인데싱에 대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일반적인 데이터 모델을 제시하고, 이 모델을 이용하여 MPEG-2로 압축된 동영상 자료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검색하는 MPEG-2 압축 동영상 정보 관리 시스템(CVIMS, Compressed Video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을 제안한다. CVIMS는 MPEG-2 파일에서 I-프레임들을 추출하고, 그 중에서 키 프레임(대표 이미지)을 선택한 후, 선택된 키 프레임에 대한 축소그림(thumbnail)과 캡션 및 그림 설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MPEG-2 동영상을 질의어나 키 프레임을 통해 검색한다.

  • PDF

TTA 시험$\cdot$인증 서비스 - 디지털방송장비 분야 - ㈜엠시스 MPEG Player (모델명: MSY200) TTA Verified 인증 획득

  • 권동현;이근구
    • TTA 저널
    • /
    • 통권87호
    • /
    • pp.169-173
    • /
    • 2003
  • 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는 2003년 4월 30일 ㈜엠시스(http://www.msys.tv)의 MPEG Player(모델명 : MSY200)의 기능 및 성능시험을 수행하여 TTA Verified 인증서(번호 : TTA-V-B-03-001)을 발급하였다. 위의 장비는 MPEG Player의 기본 기능인 Play, Record 외에 스트림 정보를 전면 LCD 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4개의 독자적인 물리채널 운용으로 Play, Record 등의 기능을 4 채널에서 동시에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국제기준 PCR 정확도 및 균일 출력 비트율을 만족하였으며, 장시간 사용 동작 시험에서도 양호한 동작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고속 MPEG-2 프로그램 스트림 편집기 (A Fast Editor for MPEG-2 Program Stream)

  • 한재웅;손채봉;오승준;정광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A)
    • /
    • pp.133-13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MPEG-2 프로그램 스트림(Program Stream)을 위한 A/V(Audio/Video) 편집기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이 편집기에서는 사용자가 일반 문서를 편집하듯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스트림(Stream)을 복사(Copy), 자름(Cut), 삭제(Delete), 붙이기(Paste)가 가능하며, 또한 스트림 내에서 임의로 조합하여 새로운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는 조합기능도 제공된다. 기존 편집기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사용자가 접근하기 쉽도록 제작되었으며, 계산량을 현저히 줄임으로써 보다 향상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지상파 UHD 방송 기반 A/V 스트림 전송 오버헤드 분석 (A Transport Overhead Analysis in Terrestrial UHD Broadcast A/V Stream)

  • 김나연;배병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4-45
    • /
    • 2017
  • 최근 등장한 지상파 UHDTV 에서는 A/V 미디어 전송을 위해서 기존 MPEG-2 TS 대신으로 ROUTE 와 MMT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실시간 UHD 방송 서비스를 위해 ROUTE 또는 MMT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UHD 미디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MPEG-2 TS 와 ROUTE, MMT 세 가지 프로토콜의 실질적 전송 효율에 대한 성능 비교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UHD 방송 기반 A/V 스트림을 분석해 전송 오버헤드를 나타내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전송 효율을 비교하고자 한다.

  • PDF

MMT 기반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의 영역 선별적 전송 방안 (Region Selective Transmission Method of MMT based 3D Point Cloud Content)

  • 김두환;김준식;김규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25-35
    • /
    • 2020
  • 최근 하드웨어 성능뿐 아니라 영상 처리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에게 자유로운 시야각과 입체감을 제공하는 3차원 포인트를 다루는 기술에 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3차원 포인트를 표현하는 형식 중 포인트 클라우드 기술은 포인트를 정밀하게 획득/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하나의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를 표현하기 위해 수십, 수백만 개의 포인트가 필요하므로 기존의 2차원 콘텐츠보다 많은 양의 저장 공간을 요구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국제 표준화 기구인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서는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압축 및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방안에 대해 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MPEG-I (Immersive) 그룹에서 제안한 V-PCC(Video based Point Cloud Compression) 부호화기를 통해 생성된 V-PCC 비트스트림을 MMT (MPEG Media Transport) 표준에서 정의한 MPU (Media Processing Unit)로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MMT 표준에서 정의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확장하여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의 영역 선별적 전송 방안을 위한 파라미터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품질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도록 V-PCC에서 상정하는 품질 파라미터를 추가 정의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기술을 기반으로 검증 플랫폼의 설계/구현을 통해 결과를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