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ECULAR WEIGHT

검색결과 5,158건 처리시간 0.026초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표면에 저분자량의 폴리에틸렌이민을 연결한 새로운 유전자 전달체 합성 및 특징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ethylenimine-conjugated Polydiacetylene Liposome as a Gene Delivery Carrier)

  • 이영화;임강혁;허정석;최준식
    • 폴리머
    • /
    • 제38권1호
    • /
    • pp.43-48
    • /
    • 2014
  • 본 논문은 저분자량의 폴리에틸렌이민을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표면에 연결하여 유전자를 세포 내로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양이온성 고분자 리포좀 유전자 전달체 개발에 대한 결과이다. 폴리디아세틸렌 리포좀 제조 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고분자성 리포좀을 제조한 후, 유전자의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폴리에틸렌이민을 리포좀 표면에 커플링제를 이용하여 공유결합시켜서 PCDA-PEI 리포좀을 합성하였다. 제조한 고분자 리포좀을 이용하여 동물세포 내에서의 유전자 전달 및 발현 효율과 그에 따른 독성을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용한 폴리에틸렌이민은 가지형이고 분자량은 2 kD인 것을 사용하였다. DNA와의 복합체 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기영동 방법과 피코그린 형광 염색 시약을 사용하였으며 효율적으로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달체의 효율과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HEK 293 및 HeLa 세포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PCDA-PEI 리포좀은 세포 내에서 비율이 높아질수록 유전자 전달 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세포에 대한 독성도 상대적으로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PCDA-PEI 리포좀이 효율적인 유전자 혹은 약물 전달체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ε-Caprolactam과 2-Piperidone으로부터 나일론 6,5 공중합체 제조 및 특성평가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ylon 6,5 Copolymers from ε-Caprolactam and 2-Piperidone)

  • 김혜영;고진선;류미희;김대수;송봉근;이승환;박시재;제갈종건
    • 폴리머
    • /
    • 제38권1호
    • /
    • pp.31-3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매스 기반 나일론 6,5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단량체인 ${\varepsilon}$-caprolactam과 2-piperidone을 glucose로부터 발효공정으로 제조된 lysine과 5-aminovaleric acid로부터 각각 제조하였다. 이들을 potassium tertbutoxide를 촉매로 하고 acetyl-2-caprolactam과 이산화탄소를 개시제로 사용하여 $40^{\circ}C$에서 음이온 개환 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나일론 6,5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바이오 나일론 6,5 공중합체의 특성을 여러 가지 기기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때 얻어진 고분자의 점도분자량($M_{\eta}$)은 최대 30000 g/mol 정도였으며, 중합 수율은 50% 이상이었다. 이들은 모두 semi-crystalline 고분자로 밝혀졌다. 열 특성 분석 결과 용융온도는 약 $165^{\circ}C$ 정도로 분해온도 $250^{\circ}C$와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들 고분자들은 우수한 가공성과 응용성을 지닐 것으로 예상된다.

열처리 방법에 따른 가공 인삼 열수추출물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t water extracts of processed ginseng based on different heat treatments)

  • 강윤한;저우뤠이;김효진;김지은;신일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5-163
    • /
    • 2018
  • 본 연구는 고온 고압의 autoclaving 조건에서 2시간 내외로 증삼한 인삼과 그 용출액으로 2단계 열풍건조법으로 제조한 홍삼을 분말로 하여 그 열수추출물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즉 시료로 사용한 홍삼의 제조는 고온 고압으로 증삼한 용출액을 건조시 증삼 표면에 바르고 건조하여 외형이 흑삼 모양으로 변하였다. 홍삼 분말로부터 열수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당, 산성다당체, 조사포닌 등의 함량을 분석하고, 색차계와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미 성분을 측정하였다. Autoclave를 이용한 홍삼 열수추출물(ARG)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9.06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3.38 mg NE/g, 총당 35.22 g/100 g, 산성다당체 10.90 g/100 g, 조사포닌 10.22 g/100 g으로 나타났다. 본 홍삼제조법에 의해 얻어진 홍삼을 이용한 열수추출물은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조사포닌 등의 최종 함량이 다른 홍삼 제조법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고온 고압으로 단시간에 얻은 증삼액인 용출액은 진세노사이드 조성이 다양하였다. Rb1을 포함한 인삼의 주요 진세노사이드 총 함량은 ARG에서 가장 낮은 10.69 mg/g으로 나타났으며 가공 조건이 홍삼 특유의 진세노사이드로의 전환에 영향을 주었다. Autoclave로 얻어진 홍삼 및 용출액은 홍삼성분의 저분자량으로의 변환을 통해 색의 강화 등 향미성분이 개선되어 식품 뿐만 아니라 비식품의 소재 및 제품을 위한 수요가 기대된다.

상엽육잠과 인공사료육잠의 소화액단백질의 비교연구 - 소화액 RFP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ies of Digestive Fluid Protein of Silkworm Bombyx mori, Larvae reared on Mulberry Leaves and Artificial Diets)

  • 박희정;문재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23
    • /
    • 1986
  • 인공사료개발연구의 일환으로 상육잠과 인공사료육잠 소화액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상엽육잠과 인공사료육단을 공시하고 비교·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적색형광단백질은 50% 포화 acetone 용액에 침전하였고 n-butanol,용액중에 용해되지 않았으며, methanol 용액에는 용해되었다. 2. 상육잠과 인공사료육잠 소화액 acetone분획 전기영동은 이종도가 큰 단백질 band 부분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으며 상엽구에서만 첫 번째 band에서 적색형광이 관찰되었다. 3. 경과일수에 따른 상육잠소화액 전기영동상은 5령 1-3일에는 변화가 없으나 5령 4, 5일에 이종도가 큰 band에서 변화가 있었다. 4. 등전점전기영동결과 RFP는 PI 8-9의 염기성단백질이었다. 5. 상육잠소화액 acetone 분획의 SDS 전기영동상에 RFP로 추정되는 band가 나타났고 그 분자량은 27,000이었다. 6. 상육잠과 인공사료육잠소화액의 Sephadex G-75 permeation chromatography 결과 상육구 chromatogram에서는 16번부터 28번 사이에 3개의 흡수대가 있었으며 인공사료구 chromatogram에서는 18번부터 31번 사이에 2개의 흡수대가 있었다.

  • PDF

Comparing Bioavailability of Cadmium and Arsenic in Agricultural Soil Under Varied pH Condition

  • Oh, Se Jin;Kim, Sung Chul;Ok, Yong Sik;Oh, Seung Min;Lee, Bup Yeol;Lee, Sang Hwan;Yang, Jae 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7-63
    • /
    • 2015
  • Bioavailability of cadmium (Cd) and arsenic (A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soil pH. For this reason,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bioavailability of Cd and As in agricultural field under varied soil pH and different extractants. Bioavailable fraction of Cd and As in soil was extracted with $CaCl_2$, $NaNO_3$, DTPA, EDTA, and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acids (LMWOAs). Soil samples and cultivated crops were collected at the range of soil pH 4.5-8.5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bioavailable fraction of Cd and As in soil and total concentration of Cd and As in crops. Results showed that concentration of Cd and As in acidic soil was ranged $0.002-0.462mg\;kg^{-1}$ and $0.041-4.903mg\;kg^{-1}$ respectively. In alkaline condition, concentration of Cd and As were ranged $0.006-0.351mg\;kg^{-1}$ and $0.039-2.807mg\;kg^{-1}$ respectively. Comparing bioavailable fraction of Cd and As in acidic and alkaline soil condition, higher concentration was measured in acidic condition. Similarly, higher average concentration of Cd and Asin crops was observed in acidic condition (0.398 and $0.751mg\;kg^{-1}$ respectively) than alkaline condition (0.248 and $0.264mg\;kg^{-1}$). Among different extractants, LMWOAs method showed higher correlation ($r^2=0.545$) for Cd in acidic condition indicating that LMWOAs method could be applied for evaluating bioavailability of Cd in acidic soil. However, no high correlation was observed for As in both acidic and alkaline condition. Overall, bioavailable fraction of Cd and As can be higher in acidic condition of soil than alkaline condition resulting higher uptake of Cd and As from soil to crops. Therefore, efficient best management practice (BMPs) for Cd and As in acidic soil should be conducted for minimizing uptake of Cd and As into crops.

오디에서 C3G(cyanidin-3-glucoside)의 분리, 동정 및 계통별 함량분석 (Identification of C3G(cyanidin-3-glucoside) from Mulberry Fruits and Quantification with Different Varieties)

  • 김현복;김선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90-95
    • /
    • 2003
  • 최근 천연색소의 다양한 생리 활성이 보고됨에 따라 오디에 함유된 C3G 색소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오디로부터 C3G를 분리$.$정제하고 정제된 C3G와 표준물질의 분자량을 비교ㆍ동정하였다. 또한 유전자원으로 보존되고 있는 뽕 품종 및 계통에 대한 C3G 함량을 분석하여 고함유 계통을 선발하였다. 1. Amberlite IRC-50 ion exchange resin이 충진된 유리 column을 산성화시킨 후 이온교환수로 비흡착색소, 수용성 당류,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을 제거하였으며, column에 흡착된 색소를 용출 및 감압농축하여 분말상태로 정 제된 색소물질 C3G(cyanidin-3-glucoside)를 얻었다. 2. Waters 996 Photodiods Array Detector를 이용하여 정제된 C3G(cyanidin-3-glucoside)의 흡수 spectrum을 조사한 결과, 각각 516nm과 280nm에서 최대흡수 spectrum을 보임으로써 anthocyanin계 색소의 특이적 흡수 파장 영역인 500-550nm(Band I)과 280nm전후(Band II)와 일치하여 open column에 의해 분리된 색소가 anthocyanin 계열의 색소임을 확인하였다. 3. LC-Mass(Waters 2690 alliance Separation Module)를 사용하여 분자량을 확인한 결과, 449로서 C3G 표준물질의 분자량과 일치하였다. 4. 유전자원으로 보존되고 있는 뽕 품종 및 계통에 대한 C3G 함량을 분석한 결과, 공시한 35계통의 C3G 평균 함량은 0.9%였으며 계통간 함량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수성뽕'. '강선' 및 '절곡조생(충북)'은 C3G함량은 물론 수량, 과중 및 당도에 대한 과실적 특성조사에서 양호한 성적을 나타내어 오디생산용 유망 계통으로 선발하였다.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발된 흰쥐의 간독성에 미치는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간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of Protaetia brevitarsis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the Mice)

  • 전정우;권해용;조유영;여주홍;이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93-100
    • /
    • 2012
  • 본 연구는 사염화탄소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질과산화에 의한 간독성에 대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일차배양한 간세포와 간독성 흰쥐에서 GPT, bile acid, bilirubin 등의 활성 지표를 통해 간독성 회복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염화탄소로 유발시킨 일차배양 간세포에 대한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하늘소 추출물의 간독성 회복효과는 각각 41.2%와 8.4%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이 간독성 회복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용매 추출별로는 흰점박이꽃무지 메탄올 추출물보다는 물 추출물이 농도의존적으로 간독성 회복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염화탄소에 의해 간독성이 유도된 흰쥐에 흰점박이꽃무지 물추출물 분획별로 처리하였을 때, 분자량 낮을수록 효과적이었으며, 분자량이 1,000이하의 분획물에서 32.1%로 간독성 회복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흰쥐에 사염화탄소를 복강투여로 간독성을 유발한 후 흰점박이꽃무지 물분획물을 경구투여할 경우에 혈청 GPT, bile acid와 bilirubin의 활성이 정상군보다는 높았지만 사염화탄소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간섬유화와 관련된 hydroxyproline의 생성 억제에서는 분자량이 1000이하의 분획물에서 사염화탄소군보다 유의성 있게 생성을 억제하여 간섬유화를 예방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중심정맥 쪽에 아주 경미한 허혈성 변성 이외에는 다른 병변을 찾을 수 없었고 세포내에 organelle이 유지된 편이고 콜라겐 형성이 매우 많이 줄어들어 병리조직학적으로도 간보호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간독성 지표 활성을 긍정적으로 결과를 확인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간질환 치료보조제나 건강기능성식품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누에 실샘 가수분해물의 제조 및 특성 규명 (Manufacture and Characterization of Silkworm Gland Hydrolysate)

  • 황정욱;이희삼;김호진;김규오;최용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76-8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누에 실샘으로부터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새로운 공정을 개발하였다. 제조된 누에 실샘 가수분해물의 특성 분석을 통해 누에고치 유래 세리신 가수분해물(CSH)과 구성 성분 및 물성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1 mg/ml 수용성 누에 실샘 가수분해물(SSGH)을 첨가한 경우 10% FBS를 첨가한 대조군과 동등한 세포 증식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결론적으로 누에 실샘 가수분해물은 혈청을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소재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제조방법을 통해 생산된 누에 실샘 가수분해물은 향후 화장품 및 의료용 소재로 그 응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렁이 꼬리 재생시 발현되는 피브리노겐 분해효소의 활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brinolytic Enzyme Activity During Earthworm Tail Regeneration)

  • 탁은식;조성진;김재영;이규석;박순철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1-106
    • /
    • 1999
  • 지렁이 꼬리재생 초기에 발현되는 피브리노겐 분해효소의 활성은 세포외기질의 재구성에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렁이의 꼬리 재생 중에 발현된 피브리노겐 분해효소의 활성과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지렁이의 꼬리 재생 중에 발현되는 피브리노겐 분해효소는 최소 7개이며 그 분자량은 각각 58, 45, 32, 27, 23, 19 그리고 12kDa로 측정되었다. 피브리노겐 분해효소의 활성은 절단 후 1일부터 효소의 활성이 나타나서 7일까지 거의 유사한 정도의 활성이 유지되었으며, 7일 이후부터는 이 효소들의 활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14일에는 그 활성이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지렁이 꼬리 재생 중 발현된 모든 피브리노겐 분해효소는 PMSF와 aprotinin를 처리하였을 때 효소들의 활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Ca$^{2+}$의 제거는 이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지렁이 꼬리재생시 발현되는 피브리노겐 분해효소는 serine계 단백질 분해효소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서해상 PM2.5 내 탄소성분 및 유기성분의 화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Carbonaceous and Organic Components in PM2.5 over the Yellow Sea)

  • 유하영;김기애;안현진;이연정;;유희정;김정은;고희정;성민영;최진수;박진수;이지이
    • 대기
    • /
    • 제31권3호
    • /
    • pp.267-282
    • /
    • 2021
  • Characteristics of carbonaceous components and organic compounds in PM2.5 over the atmosphere of the Yellow Sea were investigated. PM2.5 samples were collected onboard the meteorological research vessel, GISANG 1, over the Yellow Sea during the YES-AQ campaign in 2018 and 2019, respectively.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carbonaceous components in this region were 2.59 ± 1.59 ㎍ m-3 for the OC, 0.24 ± 0.10 ㎍ m-3 for the EC, 2.14 ± 1.30 ㎍ m-3 for the WSOC and 1.17 ± 0.94 ㎍ m-3 for the HULIS-C, respectively. The total concentration of 56 organic compounds (ΣOCs) accounts for 10% of OC. The main group among organic compounds were dicarboxylic acids which account for 57% of ΣOCs, followed by n-alkanoic acids accounting for 34% of ΣOCs. In n-alkanoic acid distribution, hexanoic (C6:0) and octanoic (C8:0) acids which are low molecular weight n-alkanoic acids and known as emitted from marine biogenic activities were dominant in this region. Furthermore, non-HULIS-C fraction increased when the air mass originated from the marine region rather than the continental region. When the Asian dust episode was observed, the WISOC concentrations along with the levoglucosan were increased, while the haze episodes caused the increase of WSOC, HULIC-S and DCA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components of carbonaceous and organic aerosols in PM2.5 over the Yellow Sea were changed with the specific air pollution episodes. It indicates tha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M2.5 can be changed by the air pollution episodes in this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