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NU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7초

N-Methyl-N-Nitrosourea 유도 자매염색분체교환생성과 DNA메칠화에 대한 Galangin의 억제효과 (Inhibition of N-methyl-N-nitrosourea Induced Sister Chromatid Exchange and DNA Methylation by Galangin)

  • 손수정;김정한;김영진;허인회;허문영
    • 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4-101
    • /
    • 1995
  • In order to evaluate the suppressive effects of galangin on the DNA damage induced by N-methyl-N-nitrosourea(MNU), in vitro sister chromatid exchange(SCE) test using Chinese Hamster ovary(CHO) cells was performed. Also the determinations of [$^{3}$H] MNU-induced total DNA binding and methylated DNA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mechanism of action by galangin. MNU-induced SC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simultaneous and pretreatment of galangin when S-9 mix was added only. In post-treatment, however, the MNU-induced SCEs were not decreased when S-9 mix was added or not. [$^{3}$H] MNU-induced total DNA binding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treatment of galangin in calf thymus DNA and CHO cells. HPLC analysis of DNA hydrolysates shows that galangin caused a dose-dependant decrease in calf thymus DNA, but not significant decrease in CHO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hibition of galangin on the MNU-induced SCEs is due to the decrease of DNA binding and methylation with MNU. Therefore, galangin may be useful as a chemopreventive agent of alkylating agents.

  • PDF

인삼 지용성성분인 유전독성억제효과와 작용기전 (Antigenotoxicity of Ginseng Petroleum Ether Extract and its Action Mechanism)

  • 허문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43-251
    • /
    • 1998
  • 백삼(Pampx ginseng C.A. Meyer, 4년근)을 가루로 한 다음 petroleum ether로 24시간 추출 후 감압 농축시켜 인삼 석유에텔추출물(GPE)로 하였다. 이때 GPE의 수율은 평균 2.24%였다. 또한 GPE를 petroleum ether 소량에 녹이고 petroleum ether:ether 용매계열로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partition을 실시하여 P1, P2, P3 , P4, P5의 5개의 분획을 얻었다. 본 실험에서는 소핵생성 물질인 N-methyl-N-nitrosourea(MNU) 및 benzo(a) pyrene[B(a)P]를 이용하여 소핵생성억제실험을 하였따. 상기의 5가지 분획 중에서 MNU에 대해서는 GPE, P1, P2에서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B(a)P에 대해서는 GPE, P1, P2, P3 , P4, P5 모두에게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여러 가지 활성을 보인 분획 중에서 여러 가지 양성대조물질들에 대해서 가장 두드러져 보이는 것은 P2였다. P2는 MNU, B(a)P 모두에 대해서 GPE와 유사한 억제경향을 보이면서 억제활성은 크게 나타난T다. EK라서 P2가 GPE가 보이는 소핵생성억제효과에 깊은 관련이 있는 물질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유전독성억제효과의 작용기전을 알기 위하여 B(a)P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GPE와 P2는 S-9 mix에 의해 유도된 B(a)P 대사를 억제시켰으며, DNA-B(a)P binding도 감소시켰다. 한편, MNU에 의한 DNA binding 과 O6-methyl guanine 및 7-methyl guanine 생성에 있어서도 억제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GPE와 P2는 B(a)P와 같은 2차 발암 물질과 MNU와 같은 알킬화제에 의한 유전독성을 활성대사억제 및 methylation 억제 , DNA binding 억제 등의 기전으로 감소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소핵생성억제 효과에서 가장 활성이 좋았던 P2를 NMR과 GC/MS결과, aliphatic ketone류의 혼합물로서 주성분은 분질량 330과 386의 두 개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혼합물이었으며 향후 계속적으로 분리 동정이 필요한 물질이다.

  • PDF

Galangin의 유전독성 억제효과와 작용기전 (Antigenotoxicity of Galangin and its Action Mechanism)

  • 허문영;류재천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7-82
    • /
    • 1998
  • In order to compare the suppressive effect of galangin on the genotoxicity by N-methyl-N-nitrosourea (MNU) or benzo[a]pyrene B(a)P, in vivo micronycleus test using mouse peripheral blood and in vitro sister chromatid exchange(SCE) test using mouse spleen lymphocytes were performed. MNU or B(a)P-induced micronucleated reticulocytes in vivo was decreased by the simultaneous treatment of galangin. MNU or B(a)P-induced SCEs in vitro was also decreased by the simultaneous treatment of galangin. On the other hand, the determinations of [$^3$H]MNU-induced total DNA binding and methylated DNA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mechanism of action. [$^3$H]MNU-induced total DNA binding was inhibited by the treatment of galangin in calf thymus DNA. HPLC analysis of DNA hydrolysates showed that galangin caused a decrease of 7-methyl guanine and $O^{6}$-methyl guanine in calf thymus DNA. To elucidate the action mechanism of galangin against B(a)P, alteration of B(a)P metabolism was studied. Galangin inhibited B(a)P metabolism in the presence of S-9 mix and decreased B(a)P-DNA binding in calf thymus DNA with S-9 mix.

  • PDF

N-ethyl-N-nitrsourea와 N-methyl-N-nitrosourea에 의한 CHO 세포의 염색체 이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hromosome Aberrations Induced N-ethyl-N-nitrosourea and N-methyl-N-nitrosourea in CHO cells)

  • Kim, Choon-Kwa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63-171
    • /
    • 1981
  • CHO 세포를 재료로 ENU와 MNU를 여러농도로 처리한후 시간 경과에 따른 염색체 이상율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ENU와 MNU에 의한 염색체 이상 빈도는 처리 후 시간의 경과와 농도에 따라 상이한 현상을 나타냈다. (2) ENU 처리군에서는 염색체 이상형은 염색분체 절단이 대부분이었으나 고농도군 ($10^-3 M$)에서는 처리 후 24시간에 염색분체 교환이 염색분체 절단을 능가하였다. (3) MNU 처리군에서는 염색체 이상형은 염색분체 절단이 대부분이었으나 $10^-4$ M 이상에서는 처리후 12시간부터 염색분체 교환이 염색분체 절단을 능가하였다.

  • PDF

Quercetin 및 Quercetin 배당체들의 유전독성억제효과 (Antigenotoxicity of Quercetin and its Glycosides)

  • 허문영;김정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5-121
    • /
    • 1996
  • In order to compare the suppressive effect of quercetin and several its glycosides, such as quercitrin (quercetin-3-rhamnoside), isoquercitrin (quercetin-3-glucoside), hyperin (quercetin-3-galactoside) and tutin (quercetin-3-rhamnosyl glucoside), on the genotoxicity by N-methyl-N-nitrosourea(MNU), in vitro sister chromatid exchange(SCE) test using mouse spleen lymphocytes and in vivo micronucleus test using mouse peripheral blood were performed. MNU-induced SCEs in vitro were not decreased by the simultaneous treatment of test compounds. Among them, quercetin and hyperin showed significant suppressive effects at high dose(10-5M). On the other hand, MNU-induced micronucleated reticulocytes(MNRETS) in vivo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good dose-dependent manner in all compound tested. However,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quercetin aglycone and its glycosides in the suppressive aglycone and its glycosides may act as an antigenotoxic agent in vivo and may be useful as a chemopreventive agent of alkylating agent.

  • PDF

큰용담 (Gentiana axillarifloa L,) 기내배양에서 화학돌연변이원 처리에 의한 돌연변이주 유기 및 RAPD 분석 (Induction and RAPD Analysis of Mutant Plants by Chemical Mutagens in Gentiana axillariflora Leveille)

  • 임정대;김명조;유창연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9-94
    • /
    • 2000
  • 큰용담의 기내배양에서 EMS를 처리한 경우 돌연변이체를 선발하기에 최적의 농도는 200 uM이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존률이 저하되었으며 줄기는 가늘고 나선형으로 꼬이고 백화현상이 가장 심하였다. Colchicine의 경우 30일 까지는 전 농도에서 84~97%의 높은 생존률을 보였으나 60일 이후에는 농도에 따라 생존률의 차이가 보였다 변이체가 단간이며 왜소하였다. MNU의 경우 10 $\mu$M에서 200$\mu$M까지는 89~97%의 높은 생존률을 보이다가 500$\mu$M이상에서는 18.2%로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변이체의 잎의 형태가 도피침형에서 주걱형과 도란형으로 변형된 것과 잎의 청색에서 진보라색으로 변형된 2가지 type의 변이체가 형성되었다. Sodium azide를 처리한 경우 적정농도는 80$\mu$M였고 60일 배양 시 전반적으로 30~50%의 균일한 생존률을 보였고 초장이 아주 작고 다분얼성 변이체를 형성하였다. 형성된 shoot의 길이를 비교하여 보면 sodium azide, MNU의 경우에서는 약 1.0cm내외인 반면 colchicine의 경우 0.5 cm내외로 저조한 길이 생장을 보였다. RAPD에 의한 돌연변이체의 확인에서 농도가 가장 높은 500$\mu$M에서 변이 band가 관찰되었으며 돌연변이 계통에서 새로 형성된 band의 수는 MNU에서 2개 NaN3에서 1개로 전부 3개 (8.1%)의 변이 band가 나타났다.

  • PDF

용담(龍膽)의 기내변이주(器內變異株) 유도(誘導)와 변이주(變異株)의 Gentiopicroside 함량(含量) (In vitro Variant Induction and Its Content of Gentiopicroside of Gentiana scabra BUNGE)

  • 성낙술;박충헌;김관수;이승택;장영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0-44
    • /
    • 1995
  • 용담의 조직배양기술과 병행하여 기내변이주 유도와 배양체의 Gentiopicroside 함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1. 정아는 $NaN_3$ $0.001M{\sim}0.003M$에서 $48{\sim}74%$의 생존율을 보였고, EMS 0.05M에서 36% 생존하였으나 생육치 못하고 고사하였으며 MNH 처리유래 식물체의 기내 생육은 양호하였다. 2. 측아는 $NaN_3$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존율이 감소되었고 EMS는 전부 고사하였으며 MNU에서는 $4{\sim}32%$생존하였다. 배양 60일경의 기내 생육은$NaN_3$와 MNU 모두 정아처리에 비하여 저조한 경향이었다. 3. 종자 처리후 발아율은 $NaN_3$는 0.001M에서 41.4%인 반면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EMS는 저농도인 0.05에서만, 4.8% NMU도 1mM에만 2.8%를 보였다. 기내생육은 $NaN_3$는 무처리구와 비슷한 생육을 보였고 EMS와 MNU 처리구는 생육이 불균일한 변이 발생을 보였다. 4. 용담 조직배양체의 gentiopicroside 함량비교에서 Callus는 40일 배양한 것이 0.038%, 80일 배양한 것이 0.051% 함유하였고 shoot는 신장형이 0.426%, 위축형이 2.710%였다. 특히 뿌리에서는 신장형이 0.883%, 위축형은 1.383%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