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MP-8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39초

Toll-like receptor 9-매개에 의한 matrix metalloproteinase-9 발현에서 NF${\kappa}B$의 역할 (ROLE OF NF${\kappa}B$ IN TOLL-LIKE RECEPTOR 9-MEDIATED MATRIX METALLOPROTEINASE-9 EXPRESSION)

  • 이상훈;진병로;백석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6호
    • /
    • pp.636-642
    • /
    • 2007
  • Background: CpG DNA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mune cell funct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temporal control of toll-like receptor (TLR)9 by CpG DNA can regulate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9(MMP-9). Methods and materials: Macrophages were cultured in the presence of 10% FBS. For the various MMP genes analysis, RT-PCR and real-time PCR were performed. In addition, zymography assay performed for the MMP activity. The phosphorylation assay did for the ERK1/2 and NF${\kappa}B$ activation, and luciferase promoter assay was for the NF${\kappa}B$ activity. Results: CpG DNA induced the mRNA expression of MMP-2, MMP-9, and MMP-13, but not of MMP-7, MMP-8, and MMP-12, in a time-dependent manner. Especially, the mRNA expression of MMP-9 was strongly induced by CpG DNA using real-time RT-PCR. The TLR9 inhibitor, chloroquine, suppressed CpG DNA-induced MMP-9 expression and its activity. Moreover, CpG DNA induced the phosphorylation of ERK and the inhibition of ERK by U0126 suppressed CpG DNA-induced MMP-9 expression and its activity. CpG DNA stimulated $I{\kappa}B-{\alpha}$ degradation and luciferase activity. In addition, pretreatment of SN-50, the inhibitor of NF${\kappa}B$, strongly blocked the CpG DNA-induced MMP-9 expression and activity. Conclusion: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CpG DNA may play important roles in the activation of macrophages by regulating the production of MMP-9 via the sequential TLR9-ERK-NF${\kappa}B$ signaling pathway.

새로운 주름개선 소재: 3,9-diferuloyl-6-oxopterocarpen (Tensolin-F$^\circledR$)의 개발과 화장품 응용 (3,9-Diferuloyl-6-oxopterocarpen (Tensolin-F$^\circledR$): a Novel Anti-wrinkle Agent for Cosmeceuticals)

  • 이범천;이정재;박성민;김철배;심관섭;김진화;이근수;이천일;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13
    • /
    • 2004
  • 3,9-Dihydro-6-oxopterocarpen과 ferulic acid의 에스테르 반응을 통해 페룰산 유도체인 3,9-diferuloyl-6-oxopterocarpen (Tensolin-$F_{(R)}$ )를 합성하여 이를 함유한 주름개선 화장품을 개발하였다. Tensolin-$F_{(R)}$ 는 농도 의존적으로 DPPH와 superoxide radical에 대한 소거효과를 나타냈으며, 각각 0.8 mM에서 78%, 0.053 mM에서 92.9%로 DPPH와 superoxide radical을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MMP-1 효소 활성 저해 효과도 0.16 mM에서 74%를 저해하였다. HDF에서 UVA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MMP-1의 발현 저해 효과는 Tensolin-$F_{(R)}$ 0.8 uM에서 85.5%로 단백질 수준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Tensolin-$F_{(R)}$ 를 함유한 제품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 평가 결과, Tensolin-$F_{(R)}$ 를 함유한 화장품을 약 8주 간 도포한 경우 유의한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Tensolin-$F_{(R)}$ 는 항산화 효과와 MMP-1활성 저해 효과 및 UVA에 의한 MMP-1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새로운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삼출성 흉수에서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1과 금속단백분해효소의 조직억제제-1 (Matrix Metalloproteinase-1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levels in Exudative Pleural Effusions)

  • 조재화;남정현;이금호;윤병갑;류정선;곽승민;이홍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5호
    • /
    • pp.517-521
    • /
    • 2005
  • 배 경 : 흉수에서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MMP)와 금속단백분해효소 조직억제제(TIMP)는 감염과 면역질환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자들은 삼출성 흉수에서 MMP-1과 TIMP-1의 발현에 대한 측정을 하였다. 방 법 : 결핵성 흉막염 33예, 악성흉수 17예, 심부전 또는 간경화 흉수환자 5예의 흉막천자액에서 세포분석, 생화학적 분석을 하였고, 효소면역측정방법으로 MMP-1과 TIMP-1(Biotrack$^{TM}$, Amersharm Pharmacia Biotech, Freiburg, FRG)를 측정하였다. 결 과 : 흉수 MMP-1은 결핵성 흉수(n=33, $12.1{\pm}8.8ng/mL$)가 악성 흉수(n=17, $4.8{\pm}4.0ng/mL$)나 누출액(n=5, $2.6{\pm}1.5ng/mL$)보다 높았다(p=0.002). 흉수 TIMP-1은 결핵성 흉수(n=23, $110.9{\pm}38.2{\mu}g/mL$)가 누출성 흉수(n=5, $53.7{\pm}21.8{\mu}g/mL$)보다 높았고(p=0.004), 악성 흉수(n=17, $90.2{\pm}39.8{\mu}g/mL$)도 누출성 흉수보다 높았으나(p=0.039), 결핵성 흉수와 악성 흉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32). 결 론 : 흉수 MMP-1, TIMP-1는 결핵성 흉막염에서 심부전이나 간경화 흉수보다 높았다.

생쥐 난자와 배아 및 난소와 수란관의 Membrane-Type Matrix Metalloproteinase 1 및 2의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Membrane-Type Matrix Metalloproteinase 1 and 2 in Mouse Oocytes, Embryos, Ovary and Oviduct)

  • 김지영;이희진;김소라;김해권;강성구;이승재;조동제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45-52
    • /
    • 2000
  • Membrane-type matrix metalloproteinase(MT-MMP)는 세포막에 부착된 채로 작용하는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로서 최근들어 정상 및 암세포 등 각종 조직세포의 재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T-PCR 방법을 사용하여 생쥐 난자와 초기배아에서의 MT1-MMP와 MT2-MMP 유전자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생후 3주 및 8주된 생쥐의 난소로부터 얻은 미성숙난자와 체외 및 체내에서 성숙시킨 난자에서의 MTl-MMP와 MT2-MMP mRMA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미성숙난자와 체외 및 체내에서 성숙시킨 난자 모두에서 MT1-MMP 및 MT2-MMP의 mRNA가 발현되었으나 미성숙난자에서는 매우 약하게 발현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2세포기 배아, 4세포기 배아, 상실배, 포배 및 탈각한 포배를 대상으로 MT2-MMP mRNA의 발현양상을 조사한 결과 2세포기에서는 발현이 일어나지 않았고 4세포기에 이르러서야 뚜렷한 발현이 관찰되었다. 상실배와 포배에서는 현저히 강한 발현이 관찰되었다. 생쥐의 난소조직에서도 MT1-과 MT2-MMP모두 발현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각각은 배란을 전후로 한 시기에 상관없이 항상 같은 정도의 mRNA발현을 나타내었다. 생쥐의 수란관조직도 난소조직과 유사하게 배란시기에 상관없이 같은 수준의 MT1-과 MT2-MMP mRNA 발현양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생쥐 배아에서 발현되는 MT2-MMP는 초기배아의 분화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난소와 수란관의 조직재구성과 관련한 MT1-과 MT2-MMP의 역할은 앞으로 더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Downregul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hyperplastic dental follicles results in abnormal tooth eruption

  • Kim, Seong-Gon;Kim, Myung-Hee;Chae, Chang-Hoon;Jung, Youn-Kwan;Choi, Je-Yong
    • BMB Reports
    • /
    • 제41권4호
    • /
    • pp.322-327
    • /
    • 2008
  •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gene expression profiles of non-syndromic hyperplastic dental follicle (HDF) fibroblasts and normal dental follicle (NDF) fibroblasts using cDNA micro-arrays, quantitative PCR,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icroarray analysis showed that several collagens genes were upregulated in the HDF's, including collagen types I, IV, VIII, and XI and TIMP-1, -3, and -4 (fold ratio > 2.0). In contrast, the expression of MMP-1, -3, -10, and -16 together with IL-8 was more than two fold downregulated.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the genes encoding alkaline phosphatase, MMP-1, -3, -8, and IL-8 was confirmed by quantitative RT-PCR, while that of 24 HDFs and 18 NDFs was confirmed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However, HDFs showed stronger expression of MMP-3 than NDFs (P < 0.001). Coll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fective regulation of MMPs mediating connective tissue remodeling may be responsible for abnormal tooth eruption.

Matrix Metalloproteinase-9 -1562T Allele and its Combination with MMP-2 -735 C Allele are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 Rahimi, Zohreh;Yari, Kheirolah;Rahimi, Zib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1175-1179
    • /
    • 2015
  • Background: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is up-regulated in human cancers.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MMP-9 C-1562T polymorphism and its interaction with MMP-2 C-735T polymorphism in susceptibility to breast cancer in a population from Western Iran with Kurdish ethnic background.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sample of 205 individuals consisted of 101 breast cancer patients and 104 healthy subjects. MMP-9 C-1562T and MMP-2 C-735T variants were identified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method. Results: Among 67.4% of studied patients the breast cancer developed in the third and forth decades of the life. The frequency of MMP-9 T allele was 17.3% in patients and 10.1% in controls. The presence of T allel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breast cancer by 1.87-fold [OR=1.87 (95% CI 1.05-3.33, p=0.035)]. The frequency of MMP-9 CT+TT genotype tended to be higher in those patients with a family history of cancer in first degree-relatives (36.8%) than those without a family history (28.3%, p=0.37). We observed an interaction between the MMP-9 -1562 T allele with MMP-2 -735 C allele tha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breast cancer [OR=1.42 (95% CI 1.02-1.98, p=0.036)].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MMP-9 C-1562T polymorphism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MMP-2 C-735T polymorphism increased the risk of breast cancer that might be a useful biomarker in identifying women at risk of developing breast cancer. Also, this study revealed that in most women from Western Iran breast cancer presents in third and fourth decades of life.

인도메타신의 투여가 치아 맹출 시 기질금속단백분해 효소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domethacin on the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canine permanent tooth eruption)

  • 강윤구;남종현;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1-102
    • /
    • 2006
  • 이 연구는 치낭과 그 주위 조직 세포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3과 -9의 발현에 대한 인도메타신의 영향을 관찰하여 인도메타신이 치아의 맹출에 미치는 영향의 일단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생후 10-12주된 10마리의 개를 실험군 8마리와 대조군 2마리로 나누고 실험군은 인도메타신을 체중에 대하여 통상적 복용량인 인도메타신 2 mg/Kg/day을 7일간 및 14일간 투여한 군과 과량의 8 mg/Kg/day을 7일간 및 14일간 투여한 군으로 나누고 대조군은 빈 캅셀을 placebo로 투여한 후 희생하고 맹출 중인 영구치 치배를 적출하여 조직 처리하고 H-E 염색 및 MMP-3과 -9에 대한 면븐염색 시행 후 광학현미경으로 검경하였다. 관찰결과 대조군에서는 파골세포, 조골세포, 치주인대 세포, 법랑모세포 및 상아모세포에서 모두 MMP-3과 -9의 발현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대조군에 비해 인도메타신 투여군에서 파골세포, 조골세포, 치주인대 세포는 MMP-3과 -9의 발현이 억제된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인도메타신의 투여기간이 길수록 투여량이 많을수록 더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법랑모세포와 상아모세포는 대조군과 실험군의 MMP-3과 -9의 발현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prostaglandin (PG) 생합성 억제제인 인도메타신은 치낭의 파골세포, 조골세포 및 치주인대 세포에서 MhfP-3과 -9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인도메타신 투여로 치아 맹출이 억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nalysis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of MMP3 Gene in Korean Genome

  • Kim, Su-Mi;Kim, Su-Won;Yoo, Mi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6-78
    • /
    • 2012
  • MMP3 (Matrix metalloproteinase-3) is an important gene in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It is also reported that the genotype of MMP3 could be a factor for disease conditions. So, SNP analysis is a prerequisite to study MMP3 related diseases. However, statistical data or analytical reports of this gene in the Korean population is not available. We have employed PCR and ARMS technique to amplify the position of Lys45Glu which is located within chromosome 11q22.3 and exon 2. Genomic DNA were extracted from 201 people. We found that, 17 individuals had the wild homozygote type (W/W, 8%), 98 individuals had the SNP homozygote type (S/S, 49%), 86 had the heterozygote type (W/S, 43%). This study should facilitate research on the cause of cardiovascular diseases due to polymorphisms in the MMP3 gene and to develop further therapy at the genetic level.

U-373-MG 세포에서 MMPs 및 플라스민의 분비에 미치는 오디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Mulberry Extracts on Secretion of MMPs and Plasmin in U-373-MG Cells)

  • 이숙희;김환규
    • KSBB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142-14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U-373-MG 세포를 이용하여 오디 추출물과 VEGF에 의한 MMPs 및 플라스민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U-373-MG 세포에 오디 추출물을 $100{\sim}600\;{\mu}g/mL$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MMP-2의 분비는 거의 완벽하게 억제되었고 MMP-9의 분비는 약 $1.6{\sim}5.9$배 증가하였다. 이에 비해 플라스민의 분비는 오디 추출물 농도 $500{\sim}600\;{\mu}g/mL$에서 $36%{\sim}58%$ 감소하였다. 오디 추출물과 VEGF를 병용처리한 경우, MMP-2의 분비는 VEGF만을 처리한 것과 비교하여 약 85.5% 감소하였고, MMP-9의 분비는 약 89.8% 감소하였다. 또한, U-373-MG 세포에서 오디 추출물($100\;{\mu}g/mL$)에 의한 MMP-2와 MMP-9의 분비 증가와 플라스민 분비증가는 PI 3'-kinase 경로에 의존적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오디 추출물이 VEGF의 과발현에 따른 암의 성장을 억제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Effects of PTTG Down-regulation on Proliferation and Metastasis of the SCL-1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

  • Xia, Yong-Hua;Li, Min;Fu, Dan-Dan;Xu, Su-Ling;Li, Zhan-Guo;Liu, Dong;Tian, Zhong-We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245-6248
    • /
    • 2013
  • Aims: To study effects of down-regulation of pituitary tumor-transforming gene (PTTG) on proliferation and metastasis ability of the SCL-1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CSCC) cell line and explore related mechanisms. Methods: SCL-1 cells were divided into 3 groups (untreated, siRNA control and PTTG siRNA). Cell proliferation assays were performed using a CCK-8 kit and proliferation and metastasis ability were analyzed using Boyden chambers. In addition, expression of MMP-2 and MMP-9 was detected by r-time qPCR and Western blotting. Results: Down-regulation of PTTG could markedly inhibit cell proliferation in SCL-1 cells, compared to untreated and control siRNA groups (P < 0.05). Real-time qPCR demonstrated that expression levels of PTTG, MMP-2 and MMP-9 in the PTTG siRNA group were 0.8%, 23.2% and 21.3% of untreated levels. Western blotting revealed that expression of PTTG, MMP-2 and MMP-9 proteins in the PTTG siRNA group was obviously down-regulated. The numbers of migrating cells ($51.38{\pm}4.71$) in the PTTG siRNA group was obviously lower than that in untreated group ($131.33{\pm}6.12$) and the control siRNA group ($127.72{\pm}5.20$) (P < 0.05), suggesting that decrease of proliferation and metastasis ability mediated by PTTG knock-down may be closely correlated with down-regulation of MMP-2 and MMP-9 expression. Conclusion: Inhibition of PTTG expression may be a new target for therapy of CS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