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J81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4초

단상 MJ81 전기선로전환기 국산품의 현장설치시험 (The Site Installation Test of Single-Phase MJ81 Switch Point Machine Localization)

  • 백종현;김용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632-363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단상 MJ81 전기선로전환기의 실용화를 위해 요구되는 현장설치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단상 MJ81 전기선로전환기는 경부고속철도 건설시에 프랑스 알스톰 및 코지프로부터 기술이전 받아 국산화한 3상 MJ81 전기선로전환기를 단상 220V를 사용하고 있는 국내 기존선에서도 선로 연변 전원설비의 변경 없이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동부의 성능 개선을 통해 공인인증시험을 통과한 제품이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및 삼성 SDS에서는 기존철도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기존선의 속도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해 단상 MJ81 전기선로전환기를 국산화 하였으나 이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연동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시험 뿐 아니라 실제 선로에서의 현장설치시험을 통해 성능을 입증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험을 진행한 과정과 함께 현장설치시험의 결과 분석을 통해 국산품인 단상 MJ81 전기선로전환기의 실용성을 입증하였으며, 입증된 결과를 바탕으로 2009년 2월 한국철도시설공단의 물량을 수주하여 현재 설치 중이다.

단상 MJ81 전기선로전환기의 국산화 개발 (The Localized Development of Single Phase MJ81 Switch Point Machine)

  • 백종현;김용규;신덕호;이강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1181_118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단상 MJ81 전기선로전환기 국산화를 위한 구동부의 성능 개선 및 이의 시험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및 삼성 SDS에서는 기존철도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기존선의 속도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해 단상 모터 규격 및 신뢰성 등의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국산화 개발의 타당성 검토 및 기능과 성능 규격을 제정하여 이에 따른 시험 절차를 체계화하였다. 또한 이와 병행하여 MJ81형 전기선로전환기에 사용 가능한 단상 220V 모터를 삼성SDS와 공동으로 개발 완료한 후, 종합시험장치에 개발품을 장착하여 총 20만회에 달하는 내구성 시험을 수행하여 성공적으로 성능을 입증하였다.

  • PDF

단상 MJ81 전기선로전환기 국산화를 위한 구동부 성능 개선 (The Driving Part Performance Improvement for Single-Phase MJ8l Switch Point Machine Localization)

  • 백종현;이창구;설남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535-54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단상 MJ81 전기선로전환기 국산화를 위한 구동부의 성능 개선 및 이의 시험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및 삼성 SDS에서는 기존철도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기존선의 속도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해 단상 모터 규격 및 신뢰성 등의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국산화 개발의 타당성 검토 및 기능과 성능 규격을 제정하여 이에 따른 시험 절차를 체계화하였다. 또한 이와 병행하여 MJ8l형 전기선로전환기에 사용 가능한 단상 220V 모터를 삼성SDS와 공동으로 개발 완료한 후, 종합시험장치에 개발품을 장착하여 총 20만회에 달하는 내구성 시험을 수행하여 성공적으로 성능을 입증하였다.

센서를 이용한 MJ81 전기선로전환기 전환력 측정 (Switching power measurement of MJ81 electrical point machine using sensor)

  • 이종현;김용규;박재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1591-1592
    • /
    • 2015
  • 분기기는 선로가 분기되거나 또는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되어 열차의 이동 방향을 안전하게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운영 노선 및 동작 환경에 따라 비정상적인 힘이 분기기에 발생할 경우, 정확한 진단 및 검측을 실시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국내에서 사용중인 MJ81 전기선로전환기의 전환기능과 쇄정기능의 특성 분석을 통해 기존에 사용된 분기기 전환력 측정의 문제점을 제시한 후,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센서 활용 분기기 전환력 측정 방법을 제시한다.

  • PDF

천장 은폐장소 전선관 연소에 따른 화재확산 및 피난 위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Spread and Evacuation Risk of Conduit Combustion in Ceiling Hiding Place)

  • 박광묵;전재감;방선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1호
    • /
    • pp.55-6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천장 은폐장소에 공사 가능한 전기설비 중 배선공사에 사용되는 합성수지관(CD, VE) 및 금속관(ST)을 대상으로 연소실험 및 ISO 5660 실험, ISO 5659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확산 및 피난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ISO 5660 총열방출량 실험결과 CD관 120.5 MJ/㎡, VE관 81.9 MJ/㎡, ST관 4.9 MJ/㎡이 측정되었다. ISO 5659 연기밀도 실험결과 CD관 1320, VE관 731, ST관 102이 측정되었으며, 최대연기밀도가 측정된 시간은 CD관 605 s, VE관 740 s, ST관 1,200 s이다. 화재 확산 및 피난 위험도에서 CD관, VE관, ST관 순으로 나타났다. 화재 확산 위험도 분석 시 총열방출량은 CD관 4,820 MJ/㎡, VE관 4,267 MJ/㎡, ST관 196 MJ/㎡로 산출되었다. 피난 위험도 분석결과 투과율 89% 때의 시간은 CD관 127 s, VE관 35 s, ST관 969 s, 거의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농도를 나타내는 투과율 79% 때의 시간은 CD관 157 s, VE관 50 s로 나타났다. CD관과 VE관은 화재 확산 및 피난 위험도 수치가 높았던 반면 ST관의 경우 화재 확산에 거의 영향이 없었고, 피난 위험도에서도 화재발생 인지 후 피난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옥수수 및 Sorghum에 있어서 탄수화물과 NEL 축적에 관한 연구. III. Weender 성분 및 Net Energy Lactation (Studies on Reserved Carbohydrates and Net Energy Latation ( NEL ) in Corn and Sorghum III. Weender components and net enery lactation)

  • 김정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80-186
    • /
    • 1985
  • 본(本) 시험(試驗)은 옥수수와 sorghum식물(植物)에서 생육시기(生育時期) 및 환경온도(環境溫度)가 Weender성분(成分) 및 Net Energy Lactation 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옥수수의 Biizzard와 sorghum hybrids와 Pioneer931 및 Sioux를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뮌헨대학교초지연구소(大學校草地硏究所)에서 포장(圃場) 및 phytotron시험(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다. Phytotron의 주(晝)/야간(夜間) 실내온도(室內溫度)는 30/25, 25/20, 28/18 및 $18/8^{\circ}C$로 하였으며 일조(日照)는 35,000Lux로 13시간(時間) 조사(照謝)하였다. 1978-'81년간(年間)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옥수수 및 sorghum의 crude protein은 3 엽기유식물(葉期幼植物)의 경우 각각(各各) 31.4% 및 33.9%에 이르나 생육(生育)이 진전(進展)됨에 따라 급속도(急速度)로 하락(下落)되어 출수기(出穗期)에는 9.0%(옥수수) 및 10.4% (sorghum)로 감소(減少)된다. 식물체내의 protein축적(蓄積)과 LWR 및 LAR간(間)에는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다.($P{\leq}0.1%$). 2. 조섬유(粗纖維)의 합성(合成) 및 축적(蓄積)은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서 지엽출현기(止葉出現期)에 본격적(本格的)으로 이루어지며 그 함량(含量)은 출수기(出穗期)에 각각(各各) 옥수수 28.4% 및 Sorghum 31.5%로 최고농도수집(最高濃度水準)에 달한다. 그러나 옥수수의 경우 조섬유(粗纖維) 함량(含量)은 종자(種子)가 성숙(成熟)됨에 따라 다시 감소(減少)되어 황숙기(黃熟期)에는 19.5%까지 감소(減少)되는데 반(反)해 sorghum 식물(植物)에서는 계속적(繼續的)으로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 있다. 3. NEL 함량(含量)은 3 엽기(葉期)의 유식물(幼植物)에서 옥수수 5.98MJ 및 sorghum 5.64MJ/kg으로 높은 편이나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되는 동안 감소(減少)되어 유수(幼穗)가 형성(形成)되는 6-8 엽기(葉期)에 각각(各各) 5.82MJ(옥수수) 및 5.46MJ/kg(sorghum)으로 최저수준(最低水準)을 나타낸다. 옥수수의 NEL 함량(含量)은 그후 종자(種子)가 성숙(成熟)됨에 따라 6.70MJ(乳熟期) 및 6.94MJ/kg(完熟期)까지 증가(增加)되는데 비해 sorghum에서는 증가폭(增加幅)이 완만하여 계속(繼續) 낮은 수준(水準)을 유지(維持)한다. 4. 옥수수 및 sorghum식물(植物)의 NEL가치(價値)는 fruetosan, mono- 및 disaccharose등 non-structural carbo-hydrate의 합성(合成) 및 축적형태(蓄積形態)에 의(依)해 큰 영향(影響)을 받으면 NEL함량(含量)과 cell-wall constituents간(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다.($P{\leq}0.01%$). 5. NEL 및 starch value 환경온도(環境溫度)가 상승(上昇)됨에 따라 감소(減少)된다. 4 엽기(葉期) sorghum식물(植物)의 환경온도(環境溫度)를 달리 하였을 때 NEL가치(價値)는 각각(各各) 4.87MJ($30/25^{\circ}C$), 5.46MJ($25/20^{\circ}C$) 및 5.81MJ/kg($18/8^{\circ}C$)로 변(變)하여 고온(高溫)에서 net energy lactation 축적(蓄積)이 크게 감소(減少)되었다.

  • PDF

실온에서 건조된 리기다 소나무와 밤나무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racteristics of the Pinus rigida and Castanea savita Dried at Room Temperature)

  • 정영진;진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86-92
    • /
    • 2010
  • 건자재로서 나무 결함중의 하나는 화재에 대한 취약성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자란 리기다 소나무와 밤나무의 연소성질을 시험하는 것과 건자재로서의 사용에 대한 바람직한 특성을 알아내는 것이다. 콘칼로리미터(ISO 5660-1)는 열방출율과 CO, $CO_2$ 발생과 연기차폐와 같은 연기지수를 측정하는 데 이용되었다. $50kW/m^2$의 외부 열유속하에서 밤나무의 평균열방출율($HRR_{mean}$)은 소나무의 평균열방출율 $68.5kW/m^2$과 비교하여 $70.4kW/m^2$을 나타내었다. 게다가 총열방출율(THR)은 밤나무($120.8MJ/m^2$)가 소나무($81.9MJ/m^2$)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시험된 나무종의 체적밀도에 의존된다. 밤나무는 소나무에 비하여 높은 $CO_{mean}$ 수율과 높은 CO/$CO_2$ 수율을 나타내었다.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energy content of yellow dent corn from different climatic origins in growing pigs

  • Dong, Wenxuan;Li, Juntao;Li, Zhongchao;Zhang, Shuo;Li, Xiaozhen;Yang, Chundi;Liu, Ling;Zhang, Shu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1호
    • /
    • pp.1787-1796
    • /
    • 2020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gestible energy (DE) and metabolizable energy (ME) of yellow dent corn sourced from different meteorological origins fed to growing pigs and develop equations to predict the DE and ME of yellow dent corn from southwestern China. Methods: Sixty crossbred barrows were allotted to 20 treatments in a triplicate 20×2 incomplete Latin square design with 3 replicated pigs per dietary treatment during 2 consecutive periods. Each period lasted for 12 days, and total feces and urine during the last 5 days of each period were collected to calculate the energy contents. Results: On dry matter (DM) basis, the DE and ME in 20 corn grain samples ranged from 15.38 to 16.78 MJ/kg and from 14.93 to 16.16 MJ/kg, respectively. Selected best-fit prediction equations for DE and ME (MJ/kg DM basis) for yellow dent corn (n = 16) sourced from southwestern China were as follows: DE = 28.58-(0.12×% hemicellulose)+(0.35×% ether extract)-(0.83×MJ/kg gross energy)+(0.20×% crude protein)+(0.49×% ash); ME = 30.42-(0.11×% hemicellulose)+(0.31×% ether extract)-(0.81×MJ/kg gross energy).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emical compositions, but not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or physical characteristics could explain the variation of energy contents in yellow dent corn sourced from southwestern China fed to growing pigs.

Torrefaction and Hydrothermal Carbonization (HTC) of Dead Leaves

  • Saqib, Najam Ul;Park, Seong-Kyu;Lee, Jai-Young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9권5호
    • /
    • pp.45-52
    • /
    • 2014
  • Torrefaction and hydrothermal carbonization (HTC) are productive methods to reclaim energy from lignocellulosic biomass. The hydrophobic, homogenized, energy dense and carbon rich solid fuel can be obtain from torrefaction and hydrothermal carbonization. Dead leaves were carbonized in a stainless steel reactor of volume 200 ml with torrefaction ($250-270^{\circ}C$) for 120 minutes and hydrothermal carbonization ($200-250^{\circ}C$) for 30 minutes, with mass yield solid fuel ranging from 57-70% and energy content from 16.81MJ/kg to 22.01 MJ/kg compare to the biomass. The char produced from torrefaction process possess high energy content than hydrothermal carbonization. The highest energy yield of 89.96% was obtained by torrefaction at $250^{\circ}C$. The energy densification ratio fluctuated in between 1.15 to 1.30. On the basis of pore size distribution of the chars, the definition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IUPAC) was used as a classification standard. The pore diameter was ranging within 11.09-19 nm which play important role in water holding capacity in soil. Larger pores can hold water and provide passage for small pore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high pore size char can be obtained my HTC process and high energy content char of 22.01 MJ/Kg with 34.04% increase in energy can be obtain by torrefaction process.

부산광역시 공동주택의 외피구조에 따른 에너지 소비특성 분석 (A Study on the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 by Building Envelope of Apartment Hous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이정재;김환용;김승희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75-81
    • /
    • 2014
  • In this paper we made energy consumption units of glass curtain wall type apartment and general apart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compared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by building envelope. The monthly electricity consumption units of general apartment were shown in the range of $1.16{\sim}1.51kWh/m^2{\cdot}mon$ which were indicated higher value in January, February, August and September with little variation.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glass curtain wall type apartment, monthly electricity consumption units were represented in the range of $1.91{\sim}7.07kWh/m^2{\cdot}mon$ with significant fluctuations monthly, which were outstandingly high in July, August and September. The monthly city gas consumption units of general apartment were found to be in the range of $1.79{\sim}18.07MJ/m^2{\cdot}mon$, while glass curtain wall type apartment were within $0.94{\sim}19.91MJ/m^2{\cdot}mon$. City gas consumption units from December to March were shown highly in both type apartments. The monthly energy consumption units of general apartment were found to be within $14.23{\sim}30.69MJ/m^2{\cdot}mon$, while glass curtain wall type apartment were within $24.49{\sim}68.9MJ/m^2{\cdot}mon$. Energy consumption units of glass curtain wall type apartment were suggested 4.84 times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apar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