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E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19초

애니메이션 미장센 분석 (Analyzing the Mise en Scene of Animation)

  • 이태구;이화세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3호
    • /
    • pp.153-162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영화의 미장센 이론을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미장센을 분석하였다. 애니메이션의 미장센은 영화에서와 달리 그 활용범위가 굉장히 넓다. 이는 실사영화와 합성되어 영화의 장르를 발전시킨 계기가 되었으며 디지털기술의 빠른 성장은 영화의 미장센이론을 다시 정의하도록 강요하고 있다. 초창기 사실주의 감독들의 미장센 이론이 애니메이션 기법의 도입으로 더욱더 확장되어 디지털 영화에서의 미장센이론이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 몽타주이론의 편집에 의한 영상 미학이 아닌 한 프레임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모든 요소들을 담고 있는 미장센은 애니메이션만의 차별화 된 미학으로 발전되어야 하며, 국내 애니메이션의 문제점인 연출력 부재의 현 상황을 미장센에 의한 연출력으로 극복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피터 줌터 건축의 미장센적인 공간특성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ise en scéne in Peter Zumthor's Architecture)

  • 박주석;김동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40-5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ise-en-$sc{\acute{e}}ne$ characteristics to direct an emotional atmosphere. It also analyzed whether these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how the work of Peter Zumthor. First, a theoretical consideration base on the distinction between montage and mise-en-$sc{\acute{e}}ne$, the research on space directing techniques in film. In particular, research on the mise-en-$sc{\acute{e}}ne$ around the technique of deep focus, long-take, charade. It also examines the mise-en-$sc{\acute{e}}ne$ tendencies that appear in the painting art, philosophy and psychology to deepen understanding. It should understand the mechanism by going to complete the meaning. Based on this, in terms of mise-en-$sc{\acute{e}}ne$ to analyze the space directing of Peter Zumthor. And the features of mise-en-$sc{\acute{e}}ne$ has its significance in having a look at whether there is any correlation in the 'Atmospheres' directing of Zumthor. As a result, the mise-en-$sc{\acute{e}}ne$ is active, multi-layered, ambiguous, uncertain, becoming and enables an open interpretation in terms of audience.

현대실내건축의 미장센적 특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ngularity of Mise en $sc{\acute{e}}ne$ in the Contemporary Interior Architecture)

  • 안은희;이정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51-60
    • /
    • 2008
  • This thesis sets out to study the immanent mechanism of architectural space which had been classified as external space in general. The mise en $sc{\acute{e}}ne$ could consider one among various immanent tools to deal with the singularity of interior architecture. An imaginary interrelationship between cinema and architecture offers a possibility which a mise en $sc{\acute{e}}ne$ could be used with a space making equipment. The mise en $sc{\acute{e}}ne$ is a conscious equipment to lead a meta-function of simple visual-perception. The mise en $sc{\acute{e}}ne$-space has been supposed to visual-perception cases and conscious cases in interior architecture.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analysis, it becomes clear that the mise en $sc{\acute{e}}ne$-space is a kind of something signifer to expose designers's an abyss of conscious and unconscious. In my opinion, this is the very way that the contemporary interior architecture is exposed to its singularity by a mechanism of mise en $sc{\acute{e}}ne$-space. In conclusion, the psychoanalysis-frame of mise en $sc{\acute{e}}ne$-space has brought out any possibility of an interpretation about architectural immanent themes like a subject, meaning creation, and construction logic, and it has also been useful to reveal the architectural singularity.

애니메이션, 실사영화, 디지털영화의 프레임과 미장센 특성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Frame And Mise-en-Scene in Animation, Live-Action Movies & Digital Cinema)

  • 금보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1호
    • /
    • pp.41-53
    • /
    • 2007
  • 최근의 영화는 기존의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라는 범주로 나눌 수 없을 만큼 그 경계가 모호하다. 디지털영화의 등장이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의 경계를 허물고 있는 것이다. 이 논문은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 디지털영화의 프레임과 이를 근간으로 한 미장센의 특성을 다루고 있다.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는 각각 회화적, 사진적 프레임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합성이미지를 근간으로 하는 디지털영화는 두 양식의 프레임 특성을 모두 갖게 된다. 이는 결국 영화작가의 표현스타일인 미장센의 차이로 나타난다.

  • PDF

미장아빔으로 배치된 영화 속 의상코드 분석 -Lucien Dällenbach의 이론과 영화 를 중심으로- (Costume Code Analysis Placed Mise-en-abyme in the Movie - Focused on the Lucien Dällenbach's theory and the film -)

  • 김향자
    • 복식
    • /
    • 제67권1호
    • /
    • pp.130-146
    • /
    • 2017
  • This study focuses on the Mise-en-abyme theories of Lucien $D{\ddot{a}}llenbach$, and presents research methodology to analyze the modern cinema costume in a new view. Inherent aesthetic values of the costume code shown in the film are as follows. First, esthetics value shown is the analogic code through the maximization of factual realism by directing target. Mise-en-abyme placed in this film plays the role of costume codes, and highlights the subject by presenting specifically targeted realistic icons to maximize the realism of the movie. Second, Mise-en-abyme is deployed to the explicit text through costumes code is placed as Displaced code arrangements. In other words, each of the characters is a signifier. Symbolizing a historical era is the device that represents a self-reflective signifier. Third, paradoxically reflected by the overlapped expansion of virtual reality and the self-referential characteristics and are subject to reflect the thinking of the author. Costumes code placed in Mise-en-abyme is expressed in costumes positioned to maximize the realism in the film as described above, and implies narratives and self-reflective mediating tools that symbolism can be seen that the paradoxical metaphor for the reality and the future. In addition, through the metaphor of visual narrative is allegorical representation Mise-en-abyme with ambiguity, and it is a concrete text that can be realized in a variety of creative storytelling methods and image delivery methods of modern fash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is costumes to take the point of view of emotional $Mise-en-sc{\grave{e}}ne$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film's themes and cinematic devices by identifying the roles and aesthetic value of code costumes as the core subjects that make up the narrative of the film.

애니메이션 미장센 특성 연구 - 러시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A Peculiarity of Mise-en-scene Found in Animation :Focused on Russian Animation)

  • 김미르나래;민준일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4호
    • /
    • pp.1-31
    • /
    • 2016
  • 애니메이션이 비교적 긴 시간 동안 하나의 예술 장르로서 학문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음에도, 예술 장르로서의 애니메이션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은 같은 뿌리를 둔 또 하나의 영상 예술인 영화에 비하면 아직까지도 개선을 요구하는 부분이 많다. 영화 이론이 대중에게 영화를 예술의 한 장르로서 각인하는데 밑거름이 된 것을 생각하면, 애니메이션 이론도 폭넓게 연구되어야 하며 애니메이션 미학에서 스크린의 비중이 높은 만큼 시각적 특징에 집중한 애니메이션 미장센에 관한 관심은 당연하다. 미장센은 시각적 요소들이 작품의 주제를 내보이는데 의의를 두며 용어가 쓰이는 예술 분야마다 약간의 의미 차이를 갖는다. 영화 비평에서 시작된 미장센은 미학 표현 개념으로 자리 잡았으나, 영화, 연극, 뮤지컬, 애니메이션 등 영상 및 무대 예술을 넘어 회화나 게임, 패션 등의 예술과 문화 분야에서도 거론되면서 분야별 미장센의 의미에 관한 의견이 분분하며 그 개념이 달리 쓰이거나 확장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중예술로서 애니메이션이 자리 잡기 위한 방안으로 미학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애니메이션의 시각적 특징이 두드러지는 '미장센'에 중점을 두어 애니메이션의 표면적 예술성에 대해 연구한다. 연구 방법으로 미장센을 하나의 미학 이론으로 확립한 영화와 용어가 처음 쓰인 연극의 매체 특성을 비교해 두 매체의 미장센 특징을 찾고, 이를 애니메이션에 대입하여 애니메이션 미장센의 특징을 알아본다. 또한, 애니메이션 미장센에서 프레임의 시각적 요소가 작가의 의견을 직접적으로 표출한다는 것을 밝히기 위해 제한된 환경에서 만들어진 작가주의 애니메이션의 미장센을 살핀다. 위와 함께, 상업 애니메이션이 특정 집단의 기호에 맞춰 제작된 것을 감안하여 소비에트의 지원 아래 제작된 러시아 애니메이션의 실험적인 제작 방식과 그에 따른 독창적인 미장센을 분석한다. 작품의 소재를 자국의 민담에서 찾은 러시아 애니메이션이 이를 오페라와 발레의 공연 양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공간 표현, 무거운 동화(Inbetweens), 라이브 액션 활용 등의 미장센으로 은유적으로 표현하며 독특한 미학적 세계를 구축한 점을 염두에 두고, 작품의 주제나 작가 의견이 어떠한 외적 장치를 통해 미장센으로 드러나는지 확인한다.

현대 건축 공간에서 나타난 미장아빔적 표현 특성 - 장누벨의 건축 작품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Mise en abyme expression in Modern architectural space -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work of Jean Nouvel -)

  • 윤득근;김개천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0권
    • /
    • pp.315-326
    • /
    • 2015
  • 본 연구는 현대 철학과 예술, 문화 전반에 영향을 준현대 미학의 메타 담론중 하나인 미장아빔 기법의 개념과 특성이 현대건축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되어지는지에 대한 의구심으로부터 시작하였다. 미장아빔은 소설가 앙드레 지드의 소설에서 처음 도입된 이 후 누보로망 작가들에 의해 주로 사용되진 기법이다. 이는 동 시대 예술 전반에 확대 적용된 예술표현 기법이자 포스트모더니즘 이 후의 예술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등장하는 메타 담론이다. 두 개의 거울 사이에 상이 끝없이 맺히는 것을 의미하는 미장아빔은 그 당시 활동하던 들뢰즈, 데리다와 같은 다양한 철학가들의 담론과 연관을 맺었다. 또한 그들의 철학에 영향을 받은 현대 건축가들에 의해서 건축이라는 언어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술에서 주로 사용되는 미장아빔 기법과 건축가의 공간표현 방식간의 연계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미장아빔 기법과 현대 건축표현 방식 간의 연계성을 기반으로 현대건축 표현 방식에서 나타나는 미장아빔적 특성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비 물질화와 특이성을 건축적 언어로 사용하는 장누벨의 건축 작품을 분석하였다. 건축에서 미장아빔기법의 표현 특성은 건축물의 외관을 구성하는 표피의 소재에 의해 구현되거나 반영과 그래픽적 요소를 활용에서 표현됨을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비록 미장아빔을 표현하는 수단이 다르고 분야가 다르지만 근본이 되는 개념이 가지는 특성을 서로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특정한 주류가 없는 현대에 현대건축을 이해하는 하나의 척도로써 미장아빔 기법이 가지는 의의를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졌다.

미장센으로서의 영화 <대니쉬 걸> 의상 디자인과 미적 특성 연구 (A Study on Costume Design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Movie as Mise-en-scène)

  • 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3호
    • /
    • pp.1-1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ostume design as mise-en-scène in movie 'The Danish Girl'. the methods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prior research, literature studies and qualitative research of visual content analysis by DVD. The spatial and temporal scope of the study is Copenhagen, Denmark from 1926 to 1931, and Paris, France. The styles of the times(1925 ~ 1931) and the spatial sensibilities of women's costumes in terms of form and color were examined thorough out the story. As the results, the costume are based on the 1920's Art Deco style like straight silhouette and some of them are oval soft silhouette. The colors are harmonized or in conflict based on Nordic colors such as blue-green, gray and yellow. Rather than expressing the internal conflict between the two main characters, the costume was focused on the role and character. And also exotic tastes like Japanese and Egyptian textiles patterns and decoration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movie costume played a role as one of the very important mise-en-scène.

에코의 삼중 분절 개념으로 본 디지털 3D 단편 애니메이션의 미장센 - <버스데이 보이Birthday Boy>를 중심으로 - (mise-en-scen of Digital 3D Short Animation in a Viewpoint of 'Triple Articulation' by U. Eco Focuseed on 3D Digital Animation 'Birthday Boy')

  • 안세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278-286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몇 년 사이에 꾸준한 발전을 이루고 있는 국내 디지털 3D 단편 애니메이션에 주목하여 사례 작품을 통한 미장센을 분석해봄으로써 작품창작력의 핵심이 되는 영상미학적 요소와 작품의 성공 모델을 수립하기 위한 참고 지표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미장센 분석틀로는 에코U. Eco의 영상기호학에서 논의되는 삼중 분절 개념을 적용하였는데, 그 각 요소는 의미체semes, 형상figures, 운동형태들cinemorphes 이다. 사례 작품은 2005년 미국 아카데미상 후보에 올라 그 객관성을 확보한 박세종 감독의 <버스데이 보이Birthday Boy>를 중심으로 하였다.

  • PDF

운송시간 제어계에 있어서 보조분모분수식과 MISE를 이용한 새로운모델 간략법 (A New Model Approximation Using the ADP and MISE of Continuous-Time Systems)

  • 권오신;황형수;김성중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36권9호
    • /
    • pp.660-669
    • /
    • 1987
  • Routh approximation method is the most computationally attractive. But this method may cause time-response error because this method does not match the time-response directly. In this paper a new mixed method for obtaining stable reduced-order models for high-order continuous-time systems is proposed. It makes use of the advantages of the Routh approximation method and the Minimization of Integral Squared Error(MISE) criterion approach. In this mixed method the characteristic polynomial of the reduced-order model is first obtained from that of original system by using the Auxiliary Denominator Polynomial(ADP). The numerator polynomial is then determined so as to minimize the intergral squared-error of unit step responses. The advantages of the propsed method are that the reduced models are always stable if the original system are stable and the frequency domain and time domain characteristic of the original system will be preserved in the reduced mode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