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MO Antennas

검색결과 382건 처리시간 0.031초

채널사운딩을 통한 다중안테나의 성능평가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MIMO Antennas through Channel Sounding)

  • 강영윤;조준호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12-13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MIMO antennas through channel sounding. From measurement data, the complex channel gain, delay, angle of arrival, and angle of departure of each multipath are estimated. Using these estimates, the MIMO channel impulse response adopting various types of antennas are constructed by replacing the array response vectors, considering antenna patterns and correlation among antenna elements. Comparisons are made in terms of the metrics computed from the impulse responses.

  • PDF

주파수 선택적 Rayleigh 페이딩 채널에서의 MIMO 검출 성능 연구 (Performance Analysis of MIMO Detection in Frequency Selective Rayleigh Fading Channels)

  • 안진영;김상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974-97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선택적 Rayleigh 페이딩 채널에서 MIMO 검출 기법의 성능이 이론적으로 분석된다. 제시되는 MIMO 검출 구조는 시공간 결합기와 ZF 검출기로 구성되며 이 구조는 $N_T$ 송신안테나, $N_R$ 수신안테나, 그리고 L 다중경로 성분을 활용하는 시스템으로 $LN_R-N_T+1$의 다양성을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주파수 선택적 Rayleigh 페이딩 채널에서의 BER 공식이 제공되고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 분석한다.

다수 쌍의 L-Slot을 이용하여 무선 휴대 단말기용 MIMO 안테나 시스템의 격리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A Method to Improve Isolation of MIMO Antenna System for Wireless Portable Devices Using Multiple Pairs of L-Slots)

  • 이현석;윤상원;박현창;박형무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820-82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2.3{\sim}2.4$ GHz 대역 무선 휴대 단말기용 내장형 MIMO 안테나 시스템의 격리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MIMO 안테나 시스템은 2개의 안테나 사이의 그라운드 기판에 다수 개의 L-slot으로 구성된 multi-slots를 위치시키며, multi-slots가 대역 차단 필터처럼 작용하여 안테나 간의 상호 결합을 억제시켜 격리도를 향상시킨다. 6쌍의 L-slots를 채택한 MIMO 안테나 시스템은 -26.4 dB의 반사 손실과 -37.5 dB의 격리도를 나타내었다.

주파수 분할 방식의 거대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빔형성 기반의 채널상태정보 기준신호 전송기술 (Beamforming Based CSI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for FDD Massive MIMO Systems)

  • 홍준기;조한신;문철;육종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5호
    • /
    • pp.520-530
    • /
    • 2016
  • 기존 MIMO 시스템 대비 수십 또는 수백 배 많은 송신 안테나들이 설치되어 있는 주파수 분할(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방식의 거대 다중 안테나(massive multiple-input mulitple-output, Massive MIMO)에선 송신 안테나 별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전송을 위해 기존 MIMO 시스템 대비 너무 많은 하향 및 상향링크 자원 요소가 필요하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선 주파수 분할 방식의 거대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많은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더라도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를 재사용함으로써 송신 안테나 수에 비례하지 않는 제한된 양의 하향링크 자원만을 사용하여 CSI-RS를 효과적으로 전송하는 기술 및 자원격자 구조를 제안하였다.

IEEE 802.16m MIMO 모드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IEEE 802.16m MIMO Modes)

  • 김누리별;김재권;방영조;박윤옥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5C호
    • /
    • pp.326-33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6m 표현 반영된 다중안테나 기술의 성능을 모의실험을 통해 평가한다. 기지국은 4개 또는 8개의 안테나를 가지고 있으며 단말기는 2, 4, 8개의 안테나가 장착된 경우를 고려한다. 총 단말의 수는 4이며, 표준에 반영된 MIMO 모드 중 0번, 1 번, 4번 모드의 성능을 평가한다. 각 모드에 대해서 다양한 스트림 수의 적용이 가능하나, 본 논문에서 채택한 스트링 수 및 이에 따른 파일럿 패턴은 하드웨어 구현을 위한 파라메터와 동일하다. 본 논문의 mimo 모드 성능들은 하드웨어 구현 후 성공적인 동작을 검증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A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Method for Massive MIMO-OFDM

  • Kudo, Riichi;Armour, Simon M.D.;McGeehan, Joe P.;Mizoguchi, Masato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5권4호
    • /
    • pp.352-361
    • /
    • 2013
  • Combining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IMO-OFDM) with a massiv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massive MIMO-OFDM) is an attractive way of increasing the spectrum efficiency or reducing the transmission energy per bit. The effectiveness of Massive MIMO-OFDM is strongly affected by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estimation method used. The overheads of training frame transmission and CSI feedback decrease multiple access channel (MAC) efficiency and increase the CSI estimation cost at a user station (STA). This paper proposes a CSI estimation scheme that reduces the training frame length by using a novel pilot design and a novel unitary matrix feedback method. The proposed pilot design and unitary matrix feedback enable the access point (AP) to estimate the CSI of the signal space of all transmit antennas using a small number of training frames. Simulations in an IEEE 802.11n channel verify the attractive transmission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s.

다중 사용자 거대 다중 안테나 네트워크에서 안테나 선택 기법의 에너지 효율 분석 (Energy Efficiency Analysis of Antenna Selection Scheme in a Multi-User Massive MIMO Network)

  • 정무웅;반태원;정방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7-60
    • /
    • 2015
  • 최근,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로 다중 사용자 거대 다중 안테나 네트워크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다중 사용자 거대 다중 안테나 네트워크는 기지국에 거대한 수의 안테나를 탑재하여 여러 사용자들에게 고속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용량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거대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에서의 계산 복잡도와 비용을 낮추기 위하여 전송 안테나 선택 기법이 활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사용자 거대 다중안테나 네트워크에서 안테나 선택 기법의 에너지 효율성을 분석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안테나 선택 개수를 분석한다.

  • PDF

Miniaturized Radio Frequency Choke Using Modified Stubs for High Isolation in MIMO Systems

  • Lim, Seonho;Choi, Woo Cheol;Yoon, Young Joong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15권4호
    • /
    • pp.219-223
    • /
    • 2015
  • In this paper, a miniaturized radio frequency choke (RFC) using modified stubs is proposed to improve isolation characteristics in a 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 antenna system. The proposed RFC, based on the LC resonance, is designed to suppress the leakage current that leads to the degradation of antenna diversity performances in the MIMO antenna configuration. The proposed RFC is composed of two open stubs that are implemented on the top of the ground plane and miniaturized by adding a slit structure on the ground plane. The MIMO antennas are also designed to verify isolation performance in the LTE 2300 band (2,300-2,400 MHz). The MIMO antennas perform well with low reflection coefficient characteristics and high isolation characteristics in the whole LTE 2300 band. To evaluate the isolation in the MIMO system, the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 (ECC) is calculated, and the value is less than 0.08. The achieved ECC is regarded as a reasonable result for improving isolation performance in the frequency range of 2,300-2,400 MHz; also, radiation patterns of antenna elements are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RFC.

다차원 공간다중화 MIMO 시스템의 복조 기법 (Detection Techniques for High Dimensional Spatial Multiplexing MIMO System)

  • 임성호;김경수;최지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A권7호
    • /
    • pp.413-423
    • /
    • 2014
  • 전송 데이터 용량의 요구치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공간 스트림마다 독립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spatial multiplexing (SM) 기반 multi-input multi-output (MIMO)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3GPP LTE-advanced, IEEE 802.11ac 등의 최근 표준들에서는 최대 8개까지의 공간 스트림을 지원하고 있으며, beyond 4G 시스템의 핵심 기술로 고려되고 있는 massive MIMO나 mm-wave 시스템에서는 수십~수백개 이상의 안테나 까지도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 SM MIMO 시스템의 최적 복조 기법인 maximum likelihood (ML) 방식의 연산복잡도는 안테나수에 지수적으로 증가하므로, 안테나 수의 급속한 증가는 연산량의 급격한 증가를 유발하게 되어 낮은 복잡도로 구현 가능한 수신 기법들에 대한 필요성을 증대시키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SM MIMO 복조 기법들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설명한다. 또한, 기존의 복조 기법들과 달리, 지수적으로 복잡도의 증가가 필요하지 않는 간단한 선형 기법에 기반한 massive MIMO 시스템용 수신 기법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향후의 시스템 디자인 시 고려할 사항들에 대해 간략히 정리한다.

W대역 자율주행 레이다용 MIMO 안테나 설계 및 빔 패턴 검증 방법 (MIMO Antenna Design and Beam Pattern Verification for W-band Autonomous Driving Radar)

  • 이창현;최준혁;이미림;박신명;백승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23-129
    • /
    • 2023
  • MIMO 안테나는 오래 전부터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어온 분야로 그 설계 개념이 보편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주목받고 있는 자율주행 레이더용 MIMO 안테나는 기존의 일반적인 MIMO 안테나들과 다르게 밀리미터파 대역인 W대역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레이다의 성능을 만족하기 위한 새로운 설계 조건들을 충족시켜야 한다. 따라서 자율주행 레이다용 MIMO 안테나의 설계와 빔 패턴 검증은 기존과 다른 새로운 접근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W대역 자율주행 레이다의 설계 조건들을 만족하는 MIMO 안테나를 설계하며, 그 설계 과정을 소개하고, 자율주행 레이다에 결합된 W대역 MIMO 안테나의 빔 패턴 검증 방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