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FO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8초

식이 Vitamin E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간 및 폐조직에서의 Microsomal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Vitamin E on the Microsomal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 of Liver and Lung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영란;이순재;임영숙;주길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69-975
    • /
    • 1996
  • 본 연구는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간과 폐조직에서의 MFO계 활성 변화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vitamin E의 영향을 관찰하고자 본 실험을 행하였다. 체중 140g 정도의 Sparague-Dawley종 숫컷을 대조군(40mg vitamin E/kg diet group)과 당뇨유발 실험군으로 나눈 후 실험군은 다시 식이내 vitamin E 공급수준에 따라 DM-0E군(0mg vitamin E/kg diet group), DM-40E군(40mg vitamin E/kg diet group), DM-400E군(400mg vitamin E/kg diet group) 나누어 4주간 사육한 후 대조군을 제외한 실험군을 STZ로 당뇨를 유발시켰다. 당뇨유발 6일 후 쥐를 희생시켜 간조직 및 폐조직 microsome 중의 cytochrome P$_{450}$ 및 cytochrome b$_{5}$함량과 NADPH-cytochrome P$_{450}$ reductase 활성도를 측정하고 아울러 microsome내의 지질과산화물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간조직 중의 cytochrome P$_{450}$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DM-0E군, DM-40E 군 및 DM-400E군이 각각 162%, 150%, 56% 증가하였으며 또 DM-400E군은 DM-0E, DM-40E군에 비해 낮았다. 폐조직 중의 cytochrome P$_{450}$ 함량도 간조직에 비해 함량은 낮았지만 경향은 비슷하였다. 2. 간조직 중의 cytochrome b$_{5}$은 대조군에 비해 DM-0E군, DM-40E군은 각각 70%, 53%씩 증가하였으나 DM-400E군은 대조군 수준이었다. 폐조직 중의 cytochrome b$_{5}$함량도 대조군에 비 해 DM-0E, DM-40E 및 DM-400E군에서 각각 149%, 116%, 50%씩 증가하였다. 3. 간조직에서의 cytochrome P$_{450}$ reduct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DM-0E군은 58%, DM-40E군에서는 47% 증가하였으며 DM-400E는 대조군 수준이었다. 폐조직에서도 간조직에서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4.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물가는 대조군에 비해 DM-0E군, DM-40E군, DM-400E군이 각각 143%, 95%, 31%씩 높았다. 또 DM-400E군은 DM-0E, DM-40E군에 비해 약 50% 정도 낮았다. 폐조직에서도 경향은 비슷했는데 간조직 보다 과산화적 손상이 다소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STZ 유발 당뇨쥐에서는 MFO system의 활성이 증가되고 지질과산화가 촉진되었다. 그러나 식이 중의 vitamin E의 적절한 공급은 MFO system 활성이 저하되고 과산화적 손상이 현저하게 완화됨을 볼 수 있었다.

  • PDF

꽃뱀과 흰쥐의 간 마이크로좀에 존재하는 Cytochrome P45O 의존성 Monooxygenases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Hepatic Microsomal Cytochrome P45O-dependent Monooxygenases from Snake and Rat)

  • Ja Young Moon;Dong Wook Lee;Ki Hyun Park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695-701
    • /
    • 1998
  • 한국산 꽃뱀(Natrix tigrina Lateralis)의 간 마이크로좀에 존재하는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 구성 성분들의 함량과 P45O 의존성 monooxygenase의 활성도를 조사하고 이들을 흰쥐(Sp. D)의 것과 상호 비교하였다. 꽃뱀에서의 P45O, b5 함량 및 NADPH-cytochrome c reductase 활성도는 흰쥐에서 보다 낮았으며, 7-ethoxycoumarin O-deethylase와 benzphetamine N-demethylase 활성도 역시 흰쥐에서 보다 상당히 낮았다. 그러나 aryl hydrocarbon hydroxylase와 testosterone hydroxylase 활성도는 흰쥐와 비교할 때 거의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았다. Testosterone의 수산화 반응에 대한 선택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꽃 뱀은 7$\alpha$ 위치에서, 흰쥐는 6$\beta$ 위치에서 가장 높은 수산화 반응물을 생성했다. 그러나 testosterone의 C2와 C3 위치에서의 수산화 반응에 대한 선택특이성은 꽃뱀과 흰쥐에서 비슷하였다. Radioimmunoassay (RlA)를 실시하여 5종 (CYP2B, CYP1A1, CYP1A2, CYP3A 및 CYP2El)의 P45O 동위효소의 구성비를 비교한 결과, 꽃뱀에서는 CYP1A1/1A2가, 흰쥐에서는 CYP2El이 각각 비교적 많이 존재하였다. 부분정제한 P45O을 SDS-PAGE와 RIA로 분석한 결과, 꽃뱀의 간 마이크로좀에 존재하는 P45O중에는 흰쥐와는 다른 종류의 P45O 동위효소가 존재함을 시사하였다.

  • PDF

산화적 활성화 과정을 통한 N-dimethoxyphosphinothioyl carbofuran의 독성발현 (Toxic action of N-dimethylphosphinothioyl carbofuran by oxidative activation process)

  • 양규완;이석종;김성문;한대성;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15
    • /
    • 1998
  • Carbofuran 및 N-dimethoxyphosphinothioyl carbofuran (PSC)의 AChE에 대한 이분자 저해 속도상수(bimolecular inhibition rate constant, $k_{i}$)를 관찰하였다. Carbofuran은 $7.7{\times}10^{5}\;M^{-1}{\cdot}min^{-1}$으로 높은 저해효과를 보이고 있는 반면, PSC는 $1.2{\times}10^{3}\;M^{-1}{\cdot}min^{-1}$으로 carbofuran에 비하여 AChE에 대한 저해력이 600배 정도 낮은 저해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어 독성발현을 위하여 활성화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ChE/mixed function oxidase(mfo) coupling system을 이용한 microsomal oxidative activation 실험에서 PSC의 AChE에 대한 저해력이 control에 비하여 NADPH가 첨가된 oxidase 처리구에서 800배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cytochrome $P_{450}$의 저해제를 첨가한 oxidase+PBO 처리구에서는 control의 저해 경향과 유사하였다. 또한 생쥐 뇌 AChE에 대한 PSC의 $I_{50}$은 28 mg/kg인 반면 PBO를 전처리하였을 경우 $I_{50}$은 57 mg/kg으로 나타나 cytochrome $P_{450}$ 저해제로 인하여 PSC의 저해력이 2배정도 감소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PSC는 독성발현을 위하여 활성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 과정에서 cytochrome $P_{450}$ 이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SC와 MCPBA를 반응시켜 산화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독성대사물을 분석한 결과 반응산물의 약 55%가 carbofuran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PSC의 활성화 과정을 통한 독성발현에 cytochrome $P_{450}$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PSC의 산화적 활성화 과정을 통한 주된 독성대사물이 carbofuran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Phosalone의 활성화과정을 통한 acetylcholinesterase와 butyrylcholinesterase에 대한 활성 저해 (Inhibi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nd Butyrylcholinesterase by Phosalone via Bioactivation)

  • 임금춘;한대성;허장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2호
    • /
    • pp.174-178
    • /
    • 1995
  • 유기인계 살충제인 phosalone의 활성화과정을 통한 독성발현기작에서 cytochrome $P_{450}$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험관 내와 생체 내 system을 이용하였다. Phosalone의 AChE와 BuChE에 대한 이분자 저해 속도상수$(k_i)$는 약 1$10^2\;M^{-1}{\cdot}min^{-1}$으로 측정되어 그 자체로는 저해력이 상당히 낮은 약제임이 관찰되었다. AChE 또는 BuChE/MFO coupling system에서는 $I_{50}$값이 control에서 각각 $3.7{\times}10^{-6}$, $2.5{\times}10^{-7}M$로 관찰되었고, cytochrome $P_{450}$의 조효소인 NADPH를 첨가한 oxidase에서는 $1.2{\times}10^{-8}$$6.0{\times}10^{-9}M$로 나타나 약 $40{\sim}300$배 정도의 활성화 효과가 관찰되었다. Cytochrome $P_{450}$의 특이적 저해제인 PB를 처리하였을때 저해곡선이 control쪽으로 이동하여 phosalone의 활성화과정에 cytochrome $P_{450}$이 관여하고 있슴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생체 내 실험에서 생쥐의 뇌 AChE 활성저해는 phosalone만을 투여한 경우 $I_{50}$이 170 mg/kg, PB를 전처리 하였을 경우에서 42.5 mg/kg으로 나타나 PB 처리에 의하여 오히려 약 4배의 상승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쥐 혈액에서의 AChE와 BuChE활성저해 결과는 PB 전처리가 phosalone의 저해 경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시험관 내 실험에서의 결과와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 PDF

Cytochrome P450 유도제에 노출시킨 명주조개 (Coelomactra antiquata) 약물대사효소계의 in vitro 반응 (In vitro Response of the MPO System of the Clam, Coelomactra antiquata with Exposure to Cytochrome P450 Inducers)

  • 전중균;이미희;심원준;이수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9-184
    • /
    • 2002
  • 강원 북부 연안에 많은 명주조개 (Coelomactra antiquata)의 중장선으로 미크로좀을 만들고, cytochrome P45O (CYP)의 유도제로 알려진 phenobarbital (PB), 3-methylcholanthrene (MC) 및 $\beta$-naphthoflavone (BNF)을 DMSO에 녹여 함께 30$^{\circ}C$의 수조 상에서 in vitro로 배양하면서 약물대사효소계의 CYP 함량과 7-othoxyresorufin-O-deethylase (EROD) 활성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비교를 위한 sham구는 미크로좀에 DMSO만을 첨가하여 같은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그 결과, sham구의 CYP 함량은 배양 6시간이 지나서는 처음 수준의 $91\%$로 줄었으며, 0.1 mM과 0.2mM, 0.4mM 및 1.0 mM BNF 배양구는 배양 4$\~$6시간 후에 최대값이 되었는데 각각 처음 보다 $116\%$, $114\%$, $126\%$$132\%$로 되었다. PB와의 배양에서는 0.1 mM과 0.4 mM 및 1.0 mM 배양구는 배양 4$\~$6시간 후에 최대 값이 되었고 각각 처음의 $112\%$, $114\%$$114\%$로 되었으며, MC와의 배양에서도 0.1 mM과 0.4 mM 및 1.0 mM 배양구는 배양 4시간 후에 최대값이 되어 각각 $116\%$, $130\%$$132\%$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EROD 활성의 변화도 sham구는 배양 7시간 후에도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BNF의 0.1 mM과 0.4 mM 및 0.8 mM 배양구는 배양 7시간 후에 각각 처음의 $120\%$, $123\%$$115\%$로 되었고, PB의 0.1 mM과 1.0 mM 배양구는 배양 3시간 후에 최대로 되어 각각 $121\%$$136\%$로 증가하였으며, MC와의 배양에서는 0.1 mM과 0.4 mM 및 0.8 mM 배양구는 배양 5시간 후에 최대값이 되어 각각 $204\%$, $198\%$$191\%$로 증가하였다. 이처럼 BNF나 PB, MC는 명주조개에서도 미크로좀의 CYP 함량과 EROD 활성을 증가시키는 유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MC에 의한 유도효과가 가장 강했고 BNF, PB의 순이었고, 대체로 약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유도 효과도 큰 경향을 보였다.

만성 알코올 섭취시 2-Acetylaminofluorene 투여가 흰쥐간 Cytochrome P-450 및 Glutathione 이용 효소계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ronic Alcohol Feeding and 2-Acetylaminofluorene Treatment on Microsomal Cytochrome P-450 and Glutathione Dependent Enzymes Activities in Rat Liver)

  • 김정희;최옥희;윤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59-866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액체식이로 알코올을 열량의 35%로 6주간 섭취시킨 흰주의 간조직내 지질과산화물과 glutathione 이용효소계의 활성도 및 cytochrome P-450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아울러 간암의 발암원으로 알려진 2-AAF를 투여하여 이들의 상호효과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체중, 간무게, 그리고 체중에 대한 간무게의 알코올에 대한 효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체중은 알코올에 대한 효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체중은 알코올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간무게 및 체중에 대한 간무게는 알코올군의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2. Microsome의 지질과산화물 함량 및 cytosol의 glutathione peroxidase, glutathione reductase 활성도는 알코올과 2-AAF 투여시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ytosol의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도는 알코올과 2-AAF에 의해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알코올 섭추와 함께 투여시 GST 활성도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3. Microsome의 cytochrome P-450 및 cytochrome b5 함량에 대한 알코올 효과는 cytochrome P-450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고 cytochrome b5는 유의적인 증가를 보여 주었으며 2-AAF 투여 역시 cytochrome P-450의 유의적인 증가를 유도하였다. 따라서 알코올 섭취와 2-AAF 함께 투여 시 cytochrome P-450의 함량이 대조군의 약 2.2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cytochrome b5 함량이 1.7배로 높이 증가하였다. 이는 2-AAF가 cytochrome P-450을 유도하여 자신의 대사를 촉진시키며 알코올의 섭취 또한 2-AAF의 hydroxylation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과량의 알코올을 만성적으로 섭취시 간조직내의 microsome의 MFO system에 영향을 미쳐서 발암물질의 생체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고 또한 GST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므로 어느 정도 발암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nterleukin-1으로 유도된 흰쥐 급성폐손상에서 neutrophil elastase 억제제인 ICI 200,355의 효과 (Effect of Neutrophil Elastase Inhibitor, lei 200,355, on Interleukin-1 Induced Acute Lung Injury in Rats)

  • 정진홍;문영철;박혜정;신경철;이관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55-62
    • /
    • 2002
  • Proinflammatory cytokine인 IL-1과 호중구는 급성폐손상의 발병기전엔 관여한다고 알려져있다. IL-1을 기도내로 주입시 호중구의 폐침윤이 일어나며, 활성화된 호중구에서 분비된 단백분해효소인 elastase는 급성폐손상을 일으킨다. 최근 elastase에 대한 억제제들이 몇 종류 개발되었는 데, 이들 합성 elastase 억제제들은 동물실험에서 폐의 염증성 손상을 감소시켰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 중 ICI 200,355는 human leukocyte elastase의 선택적이고 강력한 억제제로 보고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IL-1을 기도내로 주입하여 유발된 급성폐손상 흰쥐의 모텔에서 ICI 200,355를 투여했을 때 폐의 염증과 단백유출을 감소시켜 급성폐손상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흰쥐로 하였고, 이들을 무작위로 세 군으로 나누었다. 1군은 생리식염수를 기도내로 주입하고 생리식염수를 복강내로 투여하였고, 2 군은 IL-1을 기도내로 주입하고 생리식염수로 복강내로 투여하였으며, 3 군은 IL-1을 기도내로 주입하고 ICI 200,355를 복강내로 투여하였다. 5시간이 경과한 후 흰쥐에서 폐세척을 시행하여 회수된 세척액에서 호중구수, cytokine-induced neutrophil chemoattractant(CINC) 농도 그리고 단백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개흉술로 얻은 폐조직에서 호중구의 침윤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폐조직내 myeloperoxidase(MPO)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폐모세혈관의 단백유출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lung leak index를 구하였다. 그 결과로 IL-1을 기도내로 주입한 군은 폐세척액의 호중구수, CINC 농도 및 단백량치, 폐조직내 MPO 활성도 그리고 lung leak index 등 모든 측도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급성 폐손상모텔에 ICI 200,355를 복강내로 투여한 군에서 폐세척액의 호중구수 및 단백량치, 폐 조직내 MPO 활성도, lung leak index가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폐세척액의 CINC 농도는 감소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IL-1의 기도내 주입으로 유발된 급성폐손상 모텔에서 neutrophil elastase 억제제인 ICI 200,355의 투여로 이미 증가된 CINC 농도에는 변화없이 폐의 염증과 단백유출을 감소시켜 급성폐손상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