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Maritime Education & Training)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초

선박조종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해사교육 및 훈련 (Maritime Education and Training(MET) by Ship Handling Simulator)

  • Chang-Je Kim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81-89
    • /
    • 2002
  • Several full mission simulators have been installed since about 10 years ago in Korea. The newly established Marine Simulation Training and Research Center at Korea Maritime University has played a key role for education and training of both cadets and in-service officers trainees, and for research on Korea ports such as Jeju international cruise port, Ulsan SBM and Kwangyang container port and many others. This study mainly focuses maritime education and training on the ship handling simulation and the bridge resource management conducted by Korea Maritime University.

  • PDF

On the Requirements of Maritime Education and Training (MET)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STCW78-95 Convention

  • Xiao, Genlian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0년도 Proceeding of CIN-KIN Joint Symposium 2000 on M.E.T. Under STCW 78/95 and SINO-KOREA MARITIME CONTACT IN MID-CENTURIES
    • /
    • pp.13-21
    • /
    • 2000
  • With the full implementation of STCW78/95 convention, how does China's MET suit the requirements of the Convention\ulcorner This paper gives a detailed description of he problem and offers proposal for emphasis on simulator training and English teaching.

  • PDF

The STCW Manila Amendments and its Challenges to the Far East

  • Chae, Chong-Ju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93-202
    • /
    • 2014
  • The comprehensive review of the STCW 1978, as amended in 1995 and associated Code was carried out from 2006 to 2010. These amendments will have a certain degree of impact on Maritime Education and Training(MET) institutes in terms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seafarer worldwide. Particularly, the Far East region countries are effected more than other regions since they covered about 30% of officers and 37% ratings in the world. In view of these facts this dissertation conceived to analyze the problems in the Far East main seafarer supply countries faced the implementation of "STCW Manila Amendments" To analyze these problems, this dissertation carried out questionnaire research to 7 targeted main MET of major Far East seafarer supply countries. After research this dissertation suggests the possible solutions such as, Joint On-Board Training Center; Joint Asia Maritime E-learning Systems; methods to reducing work-load, ship inspection burden and determine mandatory minimum safety manning standards in a safe way; technical cooperation fund to installation of training equipment; and clarify vague terminology of STCW Manila Amendments, to solve problems identifi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Necessity of Intercultural Training Program in MET

  • 최진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4-226
    • /
    • 2015
  • Outwardly, the people in the shipping industry are aware that multicultural working environments and conditions could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operation of ships. With a lack of cultural awareness and foreign language skill of crew members on ships, there are lots of misunderstandings and miscommunications among (cross-cultural) crews. More and more maritime accidents are caused by human error in the world's oceans. Nevertheless the research on cultural diversity and human interaction on ships is still in its infancy. Due to the rapid change of the demographic make-up of crews, not only teaching and training technical skills for the crews, but also education in nontechnical skills such as cultural awareness, cultural sensitivity, intercultural competence is urgently needed. This study will deal with intercultural issues on ships. It aim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intercultural training in MET.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of Simulation Training for Apprentice Officers

  • Lee, Myoung-ki;Park, Young-Soo;Ha, Weon-Jae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11-318
    • /
    • 2018
  • In accordance with the stipulations of the STCW Convention, simulation training has been enforced in order to develop practical skills so as to prevent accidents by predetermining the risks in special marine environments. Simulation training is a useful way to acquire navigation abilities, and can continuously measure the ability of a trainee by applying an appropriate evaluation. However, the result of training is evaluated by the instructor's subjective judgment without quantitative criteri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 training. For this purpose, evaluation items were derived by analyzing legal standards, earlier studies, and the current status of MET institutions. The simulations were then performed three times in the same scenarios and analyzed the results. As a result, it has been shown that the objectively analyzed ability to keep the route and to make safe passage with other vessel, as well as subjectively evaluated ability by the apprentice officer has been improved as training progressed. Through the evaluation of simulation training results, it can be derived that simulation education needs supplementation, and can be provided as a basic form of data to quantify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simulation training in the future.

STCW 2010 마닐라 개정에 따른 필리핀 해운의 적용 (The Philippine Merchant Marine in Consonance with STCW 2010 Manila Amendments)

  • 올랜도 디마이리그;정재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3-252
    • /
    • 2012
  • 이 연구는 2010 마닐라 개정을 적용한 필리핀 해기 교육 및 훈련의 STCW 78/95의 이행여부를 검토한다. 또한 각국의 해사환경, 해기교육의 구조와 질, 해기인적 자원의 효과에 대해 논한다. 2010 마닐라 회의에서 채택한 다양한 결의안 중에서, 이 논문에서는 훈련과 증명의 기준 및 기술과 역량 증진에 대해 강조한다. 이는 필리핀고등교육위원회(CHED)에 의해 위임된 기존의 교과과정과 해사훈련위원회(MTC)에 의해 향상된 STCW 훈련을 비교할 것이며,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의 해기 훈련에 대해서도 비교 분석할 것이다. 해기교육기관의 자격과 평가에 대한 현재 해사 제도의 약점을 지적한다. 이 연구에서는 미래에 유능한 인적자원 개발 측면에서 상호 채택 가능한 평가기준이 필요하다고 결론짓고 있다.

자율운항선박 도입에 따른 선원직능 변화와 인력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in Seafarers Functions and Manpower Training by the Introduction of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

  • 임성주;신용존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8-80
    • /
    • 2021
  •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기술이 선박에도 적용됨에 따라 자율운항 선박이 출현하는 해운산업 환경 변화에 대응한 선원의 직무와 역량 변화를 문헌 연구 및 전문가 대상의 인식도 조사와 AHP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인식도 조사와 AHP 분석결과 도출된 중요 요인들을 종합하면 비상대응, 주의 및 위험항해, 일반항해, 화물취급, 감항성 유지, 비상상황대처, 선박정비·관리 등의 직무는 기존 해기사 교육체계로 교육이 가능하지만, 원격제어, 모니터링 진단, 기기운용능력, 빅데이터 분석 등의 직무는 해기사의 역할보다는 무인화 및 육상 제어를 위한 직무가 강조된 것으로 이를 위한 새로운 해기교육시스템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율운항선박의 해기사 직무변화 요인의 중요도를 평가함으로써 해기인력 양성에 대한 관련 선원양성 및 교육기관들의 대응전략과 자원배분의 우선순위 결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해기사 직무 요인과 역량 요인에 대한 인식도와 해기사 직무 요인의 중요도를 비교 평가하여 자율운항선박 도입에 따른 해기사 직무변화 및 해기인력 양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자율운항선박의 해기사 직무 및 역량 요인을 실무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도출하였으며, 관련 전문가별 인식도를 분석함으로써 자율운항선박 도입에 대한 전문가 차원의 대응 실상을 진단해 보았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PDF

FDS를 이용한 실습선 한바다호 화재 및 피난 연구 (A Study on Fire and Evacuation of TrainingShip HANBADA using FDS)

  • 김원욱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2호
    • /
    • pp.380-385
    • /
    • 2017
  • Maritime accidents caused by a ship include collisions, sinking, stranding and fire etc. This study is intending to consider fire accidents among such diverse marine accidents. It is much likely that various sorts of fires break out because crews are living in a narrow space for long periods of time consequent on the ship's characteristic of sailing on the sea. This study carried out a simulation through the special program for fire analysis - FDS (Fire Dynamics Simulator) in order to find the effective evacuation time, i.e. life survival time. Particularly, this study di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fluence on the survival of cadets based on the collected simulation data by fire size and sor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e Evacuation Allowable Limit Temperature $60^{\circ}C$ and resulted that there is no influence in evacuation by temperature. In case of visibility analysis, it reached to 5m which is the Evacuation Allowable Limit at 117 seconds under the condition of wood fire in 1MW. When there is Kerosene in 1MW, it took 92.4 seconds to reach by 5m which is the Evacuation Allowable Limit. Theoretical evacuation time for the non-tilted ship was 118.8 seconds in 1MW sized fire so it is shown that the most passengers are met the evacuation safety in case of wood fire. However, the majority of passengers could not be ensured the evacuation safety in Kerosene case.

자율운항선박 도입에 따른 해기사 직능 변화와 인력양성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Functions of Ship Officer and Manpower Training by the Introduction of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

  • 임성주;신용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0
    • /
    • 2022
  •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기술에 의해 선박의 자동화와 지능화가 진전되면서 자율운항선박이 도입되게 됨에 따라 해기사 인력수요축소와 직능 전환 등의 문제가 대두되는 상황에서 해기사의 직무변화와 이에 따른 요구 역량을 분석하고 이를 배양하기 위한 인력양성 방향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 검토와 전문가 집단의 브레인스토밍과 AHP 설문조사를 통해 자율운항선박의 해기사 직무와 역량 요인을 도출하고 그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해기사 승선 자율운항선박의 해기사 직무 중에서 안전 운항과 비상시 대응 그리고 화물의 안전운송 관련 직무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운항시스템의 제어 및 운용 역량의 중요성이 매우 높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육·해상 커뮤니케이션과 AI 및 Big Data 분석 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완전자율운항선박의 해기사 직무는 예상하지 못한 비상상황에 대비하여 선박을 안전하게 원격운항시키는 비상상황대처, 원격운항제어, 선박정비·관리 직무 순으로 중요도가 높으며, 해기사 역량에서는 자율운항시스템 제어와 운용 그리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Big Data 와 AI 활용 역량들의 중요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요인들의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해기인력 양성 방향과 규모는 기술의 진보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자율운항선박 도입단계별로 필요한 해기사 교육 프로그램과 직무교육 내용 그리고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인프라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자율운항선박의 해기사 직무 및 역량 요인을 실무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도출하였으며, 관련 전문가별 인식도를 분석함으로써 자율운항선박 도입에 대한 전문가 차원의 대응 방안을 진단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자율운항선 해기사 양성을 위한 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Subjects for Nurturing Autonomous Ship Officers Using Delphi Survey)

  • 손장윤;신용존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3-46
    • /
    • 2023
  • 자율운항선박은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선박 스스로 판단하고 운항하는 기능이 탑재되므로, 이를 운용하는 해기사의 직무도 변화하므로, 자율운항선박을 운항하고,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해기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불확실한 미래 예측에 적합한 델파이 조사법을 활용하여 자율운항선 및 해기사 교육 부분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육자율운항선 해기사 양성을 위한 교과목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델파이조사에서 식별된 현행 해기사 양성 61개 교과목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32개 교과목은 자율운항선 해기사 양성 교육에서도 유지되어야 하고, 중요도가 낮은 교과목은 차차 폐지하거나 타 교과목에 통합되어야 할 것이다.현행의 해기사(항해사, 기관사) 양성 교육에서 식별된 자율운항선 해기사 양성을 위한 교과목은 '일반과정'으로 통칭하고 항해분야 27과목, 기관분야 20과목, 행해·기관공통분야 14과목으로 분류하였다. 전문가 패널들에 의해 신규 제시된 42항목은 중요도 '상' 18항목, '중' 14항목, '하' 10항목으로 나타났다. 이들 교과목에 대한 전문가 6인의 심층분석을 통하여 자율운항선박에 적용된 진보된 기술 및 정보의 이해를 위한 기초이론 등 기초역량 배양을 위한 '기초과정(10과목)', 자율운항선 운용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실무역량 배양을 위한 '직무과정(10과목)', 자율운항선 육상 원격운항자 양성을 위한 '심화과정(7과목)'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도입 및 확산이 급속히 진전될 것이므로 자율운항선박의 자율운항 수준을 반영하여 자율운항선 해기사 양성 교과목의 개발 및 보완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