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RRA-2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variation of aerosol optical depth over the polar stations of Korea (남북극 과학기지에서의 에어로졸 광학 깊이 변동성)

  • Koo, Ja-Ho;Choi, Taejin;Cho, Yeseul;Lee, Hana;Kim, Jaemin;Ahn, Dha Hyun;Kim, Jhoon;Lee, Yun Gon
    •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 /
    • v.13 no.4
    • /
    • pp.141-150
    • /
    • 2017
  • Using the NASA's Modern-Era Retrospective Analysis for Research and Applications, version 2 (MERRA-2) reanalysis for aerosol optical depth (AOD) and satellite-observed carbon monoxide (CO) data, we examined the basic pattern of AOD variations over the three polar stations of Korea: Jangbogo and King Sejong stations in the Antarctica, and Dasan station in the Arctic area. AOD values at King Sejong and Dasan station show the maximum peaks in spring, which looks associated with the high amount of atmospheric CO emitted from the natural burning and the biomass burning. Jangbogo station shows the much less AOD compared to other two stations, and seems not strongly affected by the transport of airborne particles generated from mid-latitude regions. All three polar stations show the AOD increasing trend in general, indicating that the polar background air quality becomes polluted.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Growing Degree Days for Maize in Northeast District of China (중국 동북지역에서 옥수수 유효적산온도의 시공간적 분포)

  • Jung, Myung-Pyo;Park, Hye-Jin;Shim, Kyo-Moon;Ahn, Joong-Ba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35 no.4
    • /
    • pp.302-305
    • /
    • 2016
  • BACKGROUND: The northeast district of China, especially Liaoning province, Jilin province, and Heilongjiang province, is one of the largest agricultural production regions in China. These regions play a significant role in ensuring food security. Accumulated temperature such as growing degree days (GDD) is an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for plant growth and yield. Therefore, in this study,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GDD for maize was examined as a basis to estimate the growth and yield of maize in these regions. METHODS AND RESULTS: Meteorological date produced by NASA (MERRA-2) was used to estimate GDD of maize at this study sites. The GDD was calculated from sowing (May 1) to harvesting (Sep. 30). The average GDD of this region between 2010 and 2015 was $1323.0^{\circ}C$ day (595.3-1838.9). The spatial distribution of GDD showed a similar pattern during the different years surveyed. Double cropping for maize could be in only Liaoning province, northwestern Jilin province, and western and eastern Heilongjiang province where the GDD was over $1600^{\circ}C$day. However, The GDD in eastern Heilongjiang province was varied by year. CONCLUSION: The GDD of maize in northeast district of China was varied spatially, but similar among recent six years at the same region. This result can be used to predict growth stage and yield of maize at these regions.

Assessment of the long-term hydrologic impacts on the ungaged Tumen River basin by using satellite and global LSM based on data and SWAT model (위성 및 광역지표모형 기반 자료와 SWAT 모형을 이용한 미계측 두만강 유역의 장기 수문영향 평가)

  • Cho, Younghyun;Ahn, Yoon Ho;Park, Sang Young;Park, Jin Hy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94-94
    • /
    • 2020
  • 최근 정부의 신북방정책 추진에 따라 수자원분야에서는 동북아지역 국제 공유하천을 중심의 물 정보 및 연구협력 기회 확보와 지정학적 특성을 고려한 지역 현안해결 중심의 연구가 재조명 되고 있다. 두만강은 이러한 동북아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국, 북한, 러이사의 국경을 따라 흐르며 지역 수자원의 대부분을 공급하는 국제하천이다. 또한, 지난 2018년 5월에는 하구유역이 람사르(Ramsar) 습지로 승인됨에 따라 철새 등을 포함한 생태가치의 중요성도 크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 지역은 유역의 지정학적 민감성과 접근이 제한된 관측 정보들로 인해 그 수자원·환경 효용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홍수, 가뭄 등의 수재해와 수질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가용한 기술기반의 직·간접적 접근을 통한 장기수문 및 환경변화 등에 대한 분석과 관리방안 수립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미계측 두만강 유역을 대상으로 우선, 가용한 위성자료 및 광역지표모형(MERRA-2) 기반 NASA POWER(Prediction of Worldwide Energy Resource) 수문기상 자료와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활용하여 장기 수문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SWAT 모형은 전 지구적으로 활용 가능한 격자 해상도 약 30m의 위성기반 수치표고모형(DEM), 광역 토양도, 지역 토지이용도 자료를 활용하여 두만강 유역을 전체 19개 소유역 및 18개 하도, 138개 HRUs의 수문분석 단위로 구축하였으며, 모의는 미국 NOAA NCDC(National Climate Data Center) 및 중국 CMDC(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의 주요 관측지점에서 선별한 총 13개소의 위치에 대해 재분석된 기후/기상자료들(NASA POWER 강수, 기온, 풍속, 상대습도 및 일사량)을 적용, 1990년에서 2019년까지의 30개년도 연속자료를 구축활용 하였다. 한편, 모형의 검·보정은 앞서 언급한 관측 자료의 부재로 과거 문헌 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연 단위 수자원 총량 등을 활용해 진행코자한다. 아울러, 향후는 최근 활용 가능한 장기 위성관측 강수량을 적용, 재분석 자료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상호 분석 오류를 줄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도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