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W(multiloop edgewise archwir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Multiloop edgewise Archwire 기법으로 치료된 전치 개교 증례의 두부방사선사진 계측학적 평가 (A CEPHALOMETRIC EVALAUATION OF ANTERIOR OPENBITE MALOCCLUSIONS TREATED BY MULTILOOP EDGEWISE ARCHWIRE TECHNIQUE)

  • 문성철;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65-606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of before and after treatment of anterior openbite malocclusions treated by Multiloop Edgewise Archwire technique. The openbite sample consisted of 4 male and 12 female adults, treated with nonextraction or third molar extraction. The normal sample consisted of 58 subjects, which have pleasing facial profile and normal occlusion and no experience of orthodontic or prosthodontic treatment. The 58 subjects of normal sample were subdivided by cephalemetric vertical relationship of face. The 40 subjects, cephalometric vertical relationship of face was in normal range, classified as Normal Sample group 1. The 18 subjects, increased cephalometric vertical relationship of face, classified as Normal Sample group 2. The computerized cephalometric analysis was accomplished with 50 reference points for 22 skeletal measurements, 46 dentoalveolar measurements, 8 soft tissue measurement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was carried out with paired t-test, Student's t-test, and DUNCAN test using SAS(PC ver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keletal measurement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major changes were in dentoalveolar region. 2. After treatment, the long axis of maxillary and mandibular posterior teeth were distally tipped-back, and uprighted to bisected occlusal plane. The interincisal angle was increased. 3.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upper posterior dental heigh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ower posterior dental height. The upper anterior dental height was increas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bsolute upper anterior dental hight. The lower anterior dental height was increased. 4. After treatment, the maxillary occlusal plane to palatal plane angle and the mandibular occlusal plane to mandibular plane angl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d. The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fter treatment group and normal sample group 2. 5. After treatment, the percentage of upper lip length to upper anterior dental height was decreased. The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fter treatment group and normal sample group 2.

  • PDF

호선에 부여한 loop와 교정용 고무가 치궁만곡도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광탄성학적 연구 (A PHOTOELASTIC STUDY OF THE EFFECT OF LOOPS IN ARCH WIRE AND ORTHODONTIC ELASTICS IN RELIEF OF CURVE OF SPEE)

  • 이병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85-492
    • /
    • 1993
  • Multiloop Edgewise Archwire(MEAW) is effective in relief the Curve of Spee in mandibular arch but up Sl down orthodontic elastics must be used with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effect of orthodontic elastics, like as up & down elastics, Class II elastics, and Class III elastics, and the effect of L loop in Multioop Edgewise Archwire. 1. Intrusive force of MEAW in anterior teeth was reduced and uprighting force in premolars was increased by up & down elastics. 2. Uprighting force was significintly increased with Class III elastics in multiple L loop arch wire. 3. The force of Class II elastics made molars tip mesially and Curve of Spee deep.

  • PDF

전치부 개방교합의 진단과 치료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nterior Openbite Malocclusion)

  • 장영일;문성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93-904
    • /
    • 1998
  • 교정적으로 치료할 수는 있지만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는 부정교합들이 존재한다. 특히, 전방 개교는 치료하기 어렵고, 많은 경우 외과적 수술을 동반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치료기전에 대한 연구가 소개되었다. 제안된 치료기전들은 직접, 간접적으로 근신경계와 형태학적인 특징과 원인적 혹은 환경적 요소에 기초를 둔다. 성장 변이에 따라 안모의 수직 관계는 증가하나, 적절한 치아치조 보상기전으로 정상교합 관계가 유지된다. 그러나, 부적절하거나, 부정적인 치아치조 보상기전이 일어나는 경우 개교가 발생할 수 있다. 골격 부조화가 너무 심해 교정치료만으로 해결되기 어렵다면, 악구강계의 기능과 심미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수술이 행해져야만 한다. 그러나, 많은 경우 적절한 진단과 치료계획으로 주어진 골격패턴에 알맞게 교정 치료를 변형시키면, 만족스런 결과를 얻을 수 있다. Multiloop Edgewise Arcgwire(MEAW) 기법은 주로 치아치조 영역에서 치료 변화가 일어나며, 자연적인 치아치조 보상기전과 상당한 유사성을 보인다. 다시 말해서 MEAW기법은 교정의가 자연적인 치아치조 보상을 교정적으로 유도한다고 할 수 있다. 골격 패턴에 알맞은 교정적인 치아치조 보상으로 개교를 치료했다고 해도, 자연적인 치아치조 보상을 억재해왔던 원인요소가 남아 있다면, 재발이 일어난다. 원인요소는 초진시 진단되고 치료와 보정시기에도 고려되어야한다.

  • PDF

Multiloop edgewise arch wire의 부위별 하중변형률 (Regional load deflection rate of multiloop edgewise archwire)

  • 김병호;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73-688
    • /
    • 1999
  • 본 연구는 multiloop edgewise arch wire(MEAW)의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1) 개별 브라켓간 부위에서의 MEAW의 하중변형률을 수종의 재질로 된 동일 규격의 교정용 호선과 비교하고, 2)개별 브라켓간 부위와 multi-L-loop 부위(측절치 브라켓의 원심연과 제2대구치 튜브의 근심연간의 거리)에서의 wire stiffness를 비교하며, 3)단일 L-loop와 multi-L-loop의 하중변형률에 대한 공학적 이론식을 유도하여 MEAW의 하중변형특성을 규명하고자 시행하였다. 5가지의 서로 다른 수평길이를 지닌 L-loop와 5개의 L-loop로 구성된 상하악의 multi-L-loop를 .$016\times.022$ inch의 stainless steel 강선으로 제작하였고, .$016\times.022$ inch의 Plain stainless steel, TML NiTi를 준비하였다. Instron model 4466 만능시험기에 50N 용량의 load cell을 부착하여 crosshead의 속도 1.0min/분, 브라켓간 부위의 시험시에는 최대변위량 1.0mm로 각 브라켓간격에서 측정하였고, multi-L-loop부위의 경우는 최대변위량 10mm, 42mm의 거리에서 측정하였다. 반복된 실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응력에 따른 물리적 성질 변화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각 조건마다 동일한 5개의 시편을 사용하였다. 측정된 하중변형률과 각 실험의 브라켓간격을 이용하여 각 브라켓부위에서의 L-loop의 wire stiffness number를 계산하였고 이를 multi-L-loop의 그것과 비교하였다. 5개의 loop로 구성된 multi-L-loop를 35개의 직선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의 에너지를 계산, 총합을 낸 후 가해진 외력으로 미분하여 하중변형률의 이론식을 유도하였으며, 이를 wire stiffness로 환산하여 단일 L-loop의 wire stiffness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각 브라켓 간격에서의 L-loop의 하중변형률은 평균적으로 stainless steel wire의 1/5.16, NiTi의 1/l.53, TMA의 1/2.47이었다. 2) multi-L-loop부위 에서의 MEAW의 wire stiffness는 개개 브라켓간 간격에서보다 평균 1.53배 더 높았고, 같은 부위에서의 NiTi보다 1.9배 더 높았다. 3) 유도된 하중변형률의 이론식에 따르면, 부위에 따라서 wire stiffness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 직선 강선과는 달리, L-loop가 부여된 경우, 개별 L-loop의 ire stiffness는 전체 multi-L-loop의 wire stiffness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미루어 볼 때, MEAW는 개별적인 치아이동을 허용하면서, 가해진 교정력을 효과적으로 전체 치열로 전달할 수 있는 독특한 기계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골격형 III급 전치개교와 과개교합에 대한 비교고찰 및 MEAW에 의한 치험예 (CONSIDERATION OF THE ANTERIOR OPENBITE AND DEEP BITE IN CLASS III AND THEIR TREATMENT WITH MULTILOOP EDGEWISE ARCHWIRE (MEAW))

  • 백승학;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685-699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review vertical dysplasia such as openbite or deep bite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their treatment modality and to present two cases treated with MEAW.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A. Open bite case 1. The treatment time was 3 year 8 months. 2. Upper and lower incisors showed extrusion and especially lower anterior alveolar process showed remodelling. 3. The mesially inclined upper and lower molars were uprighted and especially lower first molars showed extrusion that means remodelling of alveolar bone. 4. Normal overbite and overjet were established. 5. Mandible showed slight clockwise rotation. 6. Maxilla showed slight downward bending of ANS part. 7. Upper lip showed downward drop and lower lip showed retraction and touch between upper and lower lip was established. 8. Tongue posture of post-treatment was more raised than pretreatment. B. Deep bite case 1. The treatment time was 1 year 8 months. 2. Upper incisors showed intrusion and labioversion and lower incisors showed slight intrusion and linguoversion. 3. The lower molars showed distal uprighting and intrusion and upper molars showed mesial movement and extrusion. 4. Normal overbite and overjet were established. 5. Maxilla did not show downward movement. 6. Mandible showed slight clockwise rotation. 7. Lower lip showed retraction and downward drop and upper lip showed downward drop.

  • PDF

실험적 전치 정출시 원숭이 하악 치주 조직의 변화 (HISTOLOGIC CHANGES IN MANDIBULAR PERIODONTIUM OF THE MONKEY FOLLOWING EXPERIMENTAL EXTRUSION OF ANTERIOR TEETH)

  • 이승연;김태우;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3-414
    • /
    • 1995
  • 본 연구는 영구치열이 완성된 원숭이 2마리를 실험 동물로 선정하여 전치간 수직 고무와 연속 호선에 의한 개교 치료 기전으로 수직피개도가 증가하였을 때, 하악 치주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를 고찰하였다. 상악에 구치부 교합거상판을 장착시켜 일시적인 전치부 개교 상태를 유발하면서 상악을 고정원으로 안정화하였고, 하악에는 양측 제2대구치를 발거한 후 나머지 모든 치아에 주조금관을 제작하였다. 각 주조금관에 018inch 표준 브라켓을 납착하여 구내 고정하고, 대조동물에는 $016{\times}022$inch의 ideal archwire를, 실험동물에는 같은 크기의 MEAW(multiloop edgewise archwire)를 삽입하였다. 2주 동안 전치간 수직 고무를 적용하고 희생하였으며, 하악 치주 조직 표본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주간의 실험 기간 동안 수직피개도는 대조동물에서 0.3mm, 실험동물에서 1.3mm 증가되었다. 2. 대조동물과 실험동물 모두 중절치로부터 제1소구치까지는 정출력을 받고,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는 압하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실험동물의 정출된 하악 절치부 치주인대는 대조군에 비하여 견인 방향에 따른 섬유 구조의 재배열이 두드러지고, 치근단과 치조정부 및 치근 측면 치조골에서 신생골 형성이 현저하였다. 4. 실험동물의 정출된 하악 절치부 치주인대의 견인력이 분포한 영역에서 과도한 치근 흡수나 초자양 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5. 전치부와 구치부의 치조골면에서의 골개조 현상이 대조동물에 비해서 실험동물에서 더 뚜렷하였다.

  • PDF

교정 진단을 위한 피개교합심도지수 (Overbite Depth Indicator, ODI) 의 새로운 평가 (A NEW APPROACH TO USE OVERBITE DEPTH INDICATOR IN ORTHODONTIC DIAGNOSIS)

  • 양원식;장영일;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30
    • /
    • 1992
  • Since 1984, many patients have been treated with Multiloop Edgewise Archwire (MEAW) Technique and diagnosed with ODI (Overbite Depth Indicator) and APDI (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 by the authors. 234 samples of them were selected randomly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ge, sex, Angle's classification, treatment period, extraction, ODI etc.). Especially, ODI was analysed statistically and its application methods were reviewed. The results and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On the 150 patients with normal overbite, the mean values of Class I, II, III malocclusion were $67.5^{\circ}$, $72.2^{\circ}$ and $59.0^{\circ}$.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level of p < 0.01. 2. In normal overbite samples, ODI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APDI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54. It seems that this resul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B to mandibular plane angle. 3. The regression equation was Y = - 0.57X + 114.64, where X is APDI and Y is ODI. In cases of small or large APDI, it seems to be absurd that the patient's ODI is compared with the mean ODI to differentiate diagnostically the open bite or deep bite tendency from the norm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