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

검색결과 6,192건 처리시간 0.035초

비상 베타선량계의 에너지에 따른 피부 선량평가 알고리즘 개발

  • 조천형;이원근;김종수;윤석철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4)
    • /
    • pp.63-68
    • /
    • 1996
  • 열형광 선량계(TLD)를 사용한 피부 선량평가는 베타선의 에너지를 구분함으로 정확히 평가된다. 이는 차폐체에 의한 감쇄효과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7개의 두께가 다른 알루미늄 차폐체를 사용하였고, TLD로는 미국 Teledyne Isotopes사의 LiF$_{7}$ 선량계를 채택하였다. 비상 베타 선량계의 베타선에 대한 특성실험을 위해 한국 원자력연구소가 확보 하고 있는 PTB 표준선원인 $^{90}$ Sr/ $^{90}$ Y (E$_{max}$=2.27MeV, E$_{avg}$=0.8MeV), $^{204}$Tl(E$_{max}$=0.76MeV, E$_{avg}$=0.26MeV), $^{147}$ Pm (E$_{max}$= 0.225MeV, E$_{avg}$=0.06MeV)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이런 결과로 비상 베타 선량계의 표준 베타선원에 대한 보정계수와 소자별 반응비를 구할 수 있었고, 이것을 이용하여 미지의 베타선원에 대하여 정확한 선량평가를 하기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 PDF

The Effect of Solvent on the $\alpha$-Effect(3):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s of Aryl Acetates in $MeCN-H_2O$ Mixtures of Varying Compositions

  • Um Ik-Hwan;Hahn Gee-Jung;Lee Gwang-Ju;Kwon Dong-S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3권6호
    • /
    • pp.642-647
    • /
    • 1992
  • Second-order rate constants have been measured spectrophotometrically for the reactions of substituted phenyl acetates with butane-2,3-dione monoximate and p-chlorophenoxide anions in MeCN-H$_2$O mixtures of varying compositions. The reaction rate, unexpectedly, decreased remarkably upon initial additions of MeCN to H$_2$O up to 30-40 mole ${\%}$ MeCN, and followed by a gradual increase upon further additions of MeCN. The change in solvent composition also influenced the magnitude of the ${\alpha}$-effect, i.e., the ${\alpha}$-effect increased as the mole ${\%}$ MeCN increased. The solvent dependent ${\alpha}$-effect for the present system appears to indicate that the differential solvation between the ${\alpha}$-effect nucleophile and the corresponding normal nucleophile is not solely responsible but the difference in the transition-state stabilization is also responsible for the ${\alpha}$ -effect in organic solvent-rich region.

백서의 간세포막에서 Transferrin Receptor의 발현에 미치는 인삼의 영향 (Effect of Korean Ginseng on the Expression of Transferrin Receptor in the Liver Cell Membrane of Rat)

  • 임종호;홍장희;허강민;석정호;이재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105-114
    • /
    • 1999
  • 본 실험은 백서의 간세포막에서 transferrin receptor(TfR)의 발현에 미치는 인삼 및 3'-methyl-4-dimethylaminobenzene(3'-Me-DAB)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인삼, 3'-Me-DAB 또는 3'-Me-DAB처치후 인삼을 투여한 백서를 부분 간절제한 후 간조직에서 $[^{3}H]thymidine$및 transferrin수용체의 유전자 발현 실험, 그리고 간세포막에서$[^{3}H]thymidine$ 결합 실험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8주간 3'-Me-DAB를 투여한 백서에서 간조직의 조직학적 소견은 림프구의 침윤, 담관세포의 증식,교량성괴사 및 이상세포의 증식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정상 또는 3'-Me-DAB를 투여한 백서에 인삼을 투여하였을 때 간조직의 조직학적 소견은 각각의 대조군에 비해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2. 인삼 또는 3'-Me-DAB를 투여한 백서에서의 $[^{3}H]thymidine$ uptake는 대조군에서와 비슷하였으나, 부분간절제 수술 후 1일째 간에서는 수술 전보다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특히 3'-Me-DAB투여군의 간조직에서 더 증가되었으며, 이는 인삼 투여에 의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3. 간세포막에서의 transferrin 결합량(Bmax) 및 Kd는 정상 백서에서 각각 6.87pmole/mg protein 및 10.64nM이었으며, 인삼 투여에 의해 크게 변동되지 않았다 그러나 3'-Me-DAB를 투여한 백서에서는 Bmax 및 Kd가 증가되었고, 이 증가는 인삼투여에 의해 감소되었다. 부분 간절제 수술 후 간세포막에서의 Bmax 및 Kd는 모든 그룹에서 수술 후 3일째에는 증가, 수술 후 5일째에는 감소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3'-Me-DAB투여 후 간절제 수술군에서의 증가가 가장 컸으며, 이 증가효과는 인삼 투여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4. 부문 간절제 수술 후 간조직에서의 TfR mRrfA 발현은 수술 후 24시간에 최대로 증가되었으며, 이는 3'-Me-DAB를 투여한 백서에서 더 현저하였다. 그리고 인삼은 3'-Me-DAB투여 후 간절제 수술군에서 증가된 발현양을 약간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백서에서 부분 간절제 수술 및 발암 물질에 의해 간세포막 transffirin수용체는 친화력이 저하된 TfR이 증가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이 수용체의유전자 수준에서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인삼은 발암물질 투여등으로 간세포의 증식이 촉진되었을 때, 간세포내 핵산 합성 및 TfR mRNA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막의 TfR출현 및 세포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 PDF

강제환우시킨 산란노계에서 생산성 제고를 위한 대사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의 탐색 (Exploiting the Maximum Productive Potential of Spent Laying Hens with Various Metabolizable Energy and Protein Levels after Induced Molting)

  • 무하마드 아크람;박재홍;류명선;신기형;류경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369-376
    • /
    • 2003
  • 본 연구는 대사에너지(ME)와 조단백질(CP) 수준이 강제환우를 실행한 산란노계의 생산성과 난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강제환우를 실시한 66주령의 이사브라운 산란계 432수 ME 3 수준(2,750, 2,800, 2,850 kcal/kg)과 CP 2수준(15, 17%)의 전체 6 종류 실험사료를 급여하였다. 조사항목으로 ME와 CP의 수준에 따른 산란율과 난중, 사료섭취량을 24주간 측정하였으며, 1일 산란양과 사료요구율을 조사하였다. 난품질은 산란시기별로 5, 50%, 산란피크, 피크 후기, 실험 종료시에 각각 Haugh unit과 난황색, 파각강도를 측정하였다. 산란율은 ME 2,800 kcal/kg과 CP 15%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P<0.05). 난중은 ME 2,800 kcal/kg을 급여한 닭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1일 산란양은 CP 15%와 ME 2,800 kcal/kg을 섭취한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사료섭취량은 ME와 CP의 수준이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P<0.05). 난황색은 CP 17%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CP 15%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히 개선되었으며, CP 17%와 ME 2,800 또는 2,850 kcal/kg 급여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파각강도는 CP 15%와 ME 2,800 kcal/kg을 급여한 닭에서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강제 환우계에서 산란율과 난품질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사료내 최적의 ME와 CP는 15%와 2,800 kcal/kg 수준으로 사료된다.

수경재배용 감자 배양액 개발 (Development of a Nutrient Solution for Potato (Solanum tuberosum L.) Seed Tuber Production in a Closed Hydroponic System)

  • 장동칠;김숭열;신관용;조영렬;이용범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34-341
    • /
    • 2000
  • 감자 수경재배에 적합한 배양액을 개발하고자 일본원시 표준액을 0.25, 0.5, 1.0 및 1.5배액 농도로 하여 재배하였을때, 생육과 수량이 0.5~1.0배액에서 가장 좋았기 때문에 감자의 양분흡수 특성에 적합한 농도로 판단하였다. 그러므로 표준액(1.0배액)에서의 양분흡수 특성에 따라 조성한 새로운 배양액의 이온조성은 복지 생장기에는 $14.4me{\cdot}L^{-1}\;N,\;4.2me{\cdot}L^{-1}\;P,\;7.5me{\cdot}L^{-1}\;Ca,\;3.5me{\cdot}$L^{-1}\;Mg$이며, 괴경 비대기는 $14.8me{\cdot}L^{-1}\;N,\;4.0me{\cdot}L^{-1}\;P,\;8.5me{\cdot}L^{-1}\;K,\;6.5me{\cdot}L^{-1}\;Ca$, and $3.0me{\cdot}L^{-1}\;Mg$이었다. 감자 수경재배용으로 개발된 배양액인 감자액의 적합성을 검정하고자 기존의 배양액인 일본원시액과 비교하였다. 배양액의 pH, EC 및 무기성분의 농도변화는 배양액의 종류보다는 주로 배양액의 농도와 생육단계에 의해 영향을 받았지만, 복지 생장기에는 감자액 0.75배액에서, 괴경 비대기에는 감자액 0.5배액에서 안정적이었다. 생육과 수량도 감자 표준액에서 가장 높았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 개발된 배양액은 기존의 일본원시액보다 감자 수경재배에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카르보닐탄소원자의 친핵성 치환반응 (제9보). 이성분 혼합용매에서 2-염화테노일 및 2-염화퓨로일의 가용매분해반응 (Nucleophilic Substitution at a Carbonyl Carbon Atom (IX). Solvolysis of 2-Furoyl Chloride and 2-Thenoyl Chloride in Binary Mixtures)

  • 손진언;윤상기;이익춘
    • 대한화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339-348
    • /
    • 1979
  • 물-메탄올, 물-에탄올, 물-아세트니틜, 물-아세톤 및 아세트니트릴-메탄올의 2성분 혼합용매에서 2-염화테노일 및 2-염화퓨로일의 가용매분해 반응을 속도론적으로 연구하였다. 반응 속도는 반양성자성 용매에서 보다 양성자성 용매에서 더 빨랐으며 이것은 양성자성용매의 수소결합능력이 이탈기의 결합의 파괴를 돕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세트니트릴-메탄올 혼합용매에서는 특수용매화가 일어나며, 메탄올 몰분율 0.8부근에서 최대속도를 나타낸다. 또한 이 반응은 염화벤조일보다 느리며 그 속도 순서는 염화벤조일 > 2-염화테노일 > 2-염화퓨로일이며 이 중에서 퓨란고리의 전자흡인성이 제일 강함으로 전이상태에서 결합의 파괴가 어려워져서 반응속도가 늦어지는 것이다. 반응메카니즘은 전이상태에서 결합의 파괴가 결합의 형성보다 많이 진행된 dissociative $S_N2$ 반응이기는 하나 2-염화테노일은 물 함량이 많은 부분에서는 $S_N1$ 성겨기 꽤 크고 $S_N2$ 성격이 약화된다.

  • PDF

$\beta$-Mercaptoethanol 첨가에 의한 소 초기배의 체외발생 효과 (Effect of $\beta$-Mercaptoethand Addition on Early Bovine Embryo during In Vitro Development)

  • 이홍준;서승운;이광희;김기동;이상호;송해범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89-396
    • /
    • 1997
  • Arrest in embryo development during in vitro culture has been reported in various mammals. Although some cause of the arrest have been suggested, little is known of the way that can overcome the arrest using in vitro culture system. The antioxidant, $\beta$-mercaptoethanol($\beta$-ME), has been sh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embryo develop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beta$-ME on the developing boving embryos produced in vitro by IVM and IVF. To select a, pp.opriate concentration of $\beta$-ME during whole culture period (7 days), various concentrations (10, 50 and 100$\mu$M) of $\beta$-ME were added to the CZB medium and their effec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100$\mu$M of $\beta$-ME. The effects on development of embryos cultured with and without somatic cells to blastocyst stage were greater in FCS treatment (56.6 and 29.3%) than in BSA treatment(25.5 and 12.8%). We also evaluated the effects of $\beta$-ME addition on the blastocyst formation when embryos at different stages were exposed to 100$\mu$M $\beta$-ME. $\beta$-ME promoted increased development of embryo to blastocyst stage and the effect was greater in 6-cell to morula embryos than in embryos fewer than 4-cells at the initiation of treatment. The results suggested that $\beta$-ME can improve bovine embryo development by overcoming the arrest in early development.

  • PDF

Identification of Genes Associated with Early and Late Response of Methylmercury in Human Neuroblastoma Cell Line

  • Kim, Youn-Jung;Kim, Mi-Soon;Jeon, Hee-Kyung;Ryu, Jae-Chun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4권2호
    • /
    • pp.164-169
    • /
    • 2008
  • Methylmercury (MeHg) is known to have devastating effects on the mammalian nervous system.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mechanism of MeHg-induced neurotoxicity, we investigated the analysis of transcriptional profiles on human 8k cDNA microarray by treatment of $1.4{\mu}M$ MeHg at 3, 12, 24 and 48h in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 line. Some of the identified genes by MeHg treatment were significant at early time points (3h), while that of others was at late time points (48h). The early response genes that may represent those involved directly in the MeHg response included pantothenate kinase 3, a kinase (PRKA) anchor protein (yotiao) 9, neurotrophic tyrosine kinase, receptor, type 2 gene, associated with NMDA receptor activity regulation or perturbations of central nervous system homeostasis. Also, when SH-SY5Y cells were subjected to a longer exposure (48h), a relative increase was noted in a gene, glutamine-fructose-6-phosphate transaminase 1, reported that overexpression of this gene may lead to the increased resistance to MeHg. To confirm the alteration of these genes in cultured neurons, we then applied real time-RT PCR with SYBR green. Thus, this result suggests that a neurotoxic effect of the MeHg might be ascribed that MeHg alters neuronal receptor regulation or homeostasis of neuronal cells in the early phase. However, in the late phase, it protects cells from neurotoxic effects of MeHg.

Hydrophillic Interaction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Method for Identification and Quantitation of 5-MeO-DIPT and its Metabolites in Rat Urine

  • Kim, Yoon;Kim, Un-Yong;In, Moon-Kyo;Lee, Jae-Ick;Kwon, Oh-Seung;Yoo, Hye-Hy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4호
    • /
    • pp.1158-1164
    • /
    • 2011
  • 5-Methoxy-N,N-diisopropyltryptamine (5-MeO-DIPT), a psychoactive tryptamine derivative, is a hallucinogenic drug of abuse. In this study, 5-OH-DIPT and its metabolites were identified and the quantitative method was developed and validated by using hydrophilic interaction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HILICMS/MS). Chromatographic separation was achieved on an Atlantis HILIC silica column ($5{\mu}m$, $100{\times}2.1\;mm$). The metabolites of 5-MeO-DIPT in rat urine were characterized via Q1 scanning and product ion scanning. As a consequence, 5-MeO-IPT, 5-OH-DIPT, 6-OH-5-MeO-DIPT and their glucuronide conjugates were detected and identified as the metabolites of 5-MeO-DIPT. Subsequently, a quantitative method for 5-MeO-DIPT and its major metabolites, 5-MeO-IPT and 5-OH-DIPT, was developed in multiple reactions monitoring (MRM) mode. The calibration curves for all analytes evidenced good linearity over the concentration range of 1-1000 ng/mL with linear correlation co-efficients ($r^2$) in excess of 0.99. The intra- and inter-day accuracy and precision were 92.2-110.2% and 1.5-9.9%, respectively.

Antiradical Capacities of Perilla, Sesame and Sunflower Oil

  • Hong, Sun-Hee;Kim, Mi-Jin;Oh, Chan-Ho;Yoon, Suk-Hoo;Song, Yeong-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51-56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erilla and sesame oil that Koreans traditionally consume.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il and its hexane/70% methanol extracts (ME) are used and for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ME are used. Unrefined perilla oil, sesame oil, and refined sunflower oil are used. The yields for ME of perilla, sesame and sunflower oil are 0.57, 0.61, and 0.30%, respectively, and the amounts of phenolic compounds in ME of corresponding oil are 18.77, 88.64 and $0.05\;{\mu}g$ tannic acid/mg, respectively. $IC_{50}$ for DPPH scavenging activity of perilla, sesame and sunflower oil are 2.12, 1.91, and 3.35 mg/mL, respectively and those for ME of corresponding oils are 0.42, 0.07, and 43.11 mg/mL, respectively. In DPPH assay, the solvent used for oil sample is iso-octane and that for ME is methanol. Superoxide anion scavenging activity of ME of perilla, sesame and sunflower oil tested at 1 mg/mL concentration are 21.10, 13.25, and 3.14%, respectivel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ose samples tested at 1 mg/mL concentration are 86.08, 93.30, and 93.17%, respectively. In summary, the refining process seems to remove the phenolic compound during oil processing. Antiradical substances in perilla and sesame oils responsible for scavenging DPPH radicals are present in the methanol fraction, while the antiradical substances in the sunflower oil are in the lipid fraction. DPPH scavenging activity of ME of sesame oil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erilla oil (p<0.05). However, superoxide anion scavenging capacity of ME of perilla oils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at of both sesame and sunflower oils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