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DF fiber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18초

폐 MDF 폭쇄 섬유로부터의 MDF제조 (Manufacture of Medium Density Fiberboard from Exploded MDF Waste)

  • 이화형;서인수;조윤민;박한상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6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isplace traditional virgin wood fiber by exploded MDF-waste fiber for the manufacture of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waste was exploded in condition of $215^{\circ}C,20$ minutes. The higher the mixing ratio of exploded MDF-waste fiber, the lower the MOR and IB of MDF. There was no difference of formaldehyde emission by desiccator method between virgin wood fiber and exploded MDF-waste fiber. Adding $25^{\circ}C$ of exploded MDF-waste fiber met the KS of MDF 15 type.

  • PDF

폐MDF의 해리와 고해처리를 통한 고밀도 Fiber Board제조 (Manufacture of high density Fiberboard from disintergrated and beaten MDF Waste)

  • 이화형;서인수;조윤민;박한상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3-71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splace traditional virgin wood fiber by recycled MDF-waste fiber for the manufacture of high density fiberboard. For the recycling, MDF waste was disintegrated for 10 minutes and beaten for 15 minut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formaldehyde emission by desiccator method between virgin wood fiber and disintergrated and beaten MDF-waste fiber. Fiberboard which was maded from 100% of disintergrated and beaten MDF-waste fiber showed similar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to those of virgin fiber. The yield of recycled fiber from MDF waste was 85%.

  • PDF

Effect of Wood-Fiber Characteristics on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Performance

  • Park, Byung-Dae;Kim, Yoon-Soo;Riedl, Bernard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3호
    • /
    • pp.27-35
    • /
    • 2001
  • Four different sources of wood-fibers from Eucalyptus, Italian poplar, hemlock, and mixed species fibers were used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ir fiber characteristics on the performance of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panels bonded with both urea-formaldehyde (UF) and phenol-formaldehyde (PF) adhesives. Included fiber characteristics were fiber length, size distribution, bulk density, and acidity.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DF panels manufactured by dry process using these different fibers were determined for the comparison of board performance. Two hardwood species had a large fraction of short fibers resulting in a higher bulk density while very long hemlock fibers had lower bulk density. Fiber acidity was revealed to strongly affect the internal bond (IB) strength of MDF panels bonded with UF resins. MDF panels made from mixed species fibers showed highest IB strength of all panels prepared. UF-bonded MDF panels showed poor dimensional stability.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wood-fiber characteristics such as fiber length, bulk density, and acidity affect the performance of MDF boards, and also suggested that fiber characteristics be considered for MDF panel manufacture.

  • PDF

MDF 시멘트 복합재료의 강도 특성에 미치는 첨가재의 영향 (Effect of Additives on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MDF Cement Composites)

  • 김태현;최상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893-899
    • /
    • 1992
  • Composite specimens, which are composed MDF cement of HAC-PVA system were prepared by adding carbon fiber, hydrated silica and SiC powder, and we studied effect of additives on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composites. All of additives is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flexural strength of the composite specimens. The size of average pore diameter in the specimens which have high flexural strength property was small. Specimen mixed with hydrated silica was effective in the particle compact property. Flexural strength of carbon fiber reinforced MDF cement composites were improved because of crack deflection of carbon fiber in cementitious matrix.

  • PDF

MDF 섬유(纖維)의 표면(表面) 형태(形態)와 접착제(接着劑)의 분포(分布) 관찰(觀察) (Micromorphological Features of MDF Fiber Surface and Adhesives Distribution in MDF)

  • 김재우;박상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2호
    • /
    • pp.61-70
    • /
    • 1996
  • 침엽수재(針葉樹材)(Radiata pine, Pinus radiata)MDF와 활엽수재(闊葉樹材)(Rubber wood, Hevea brasiliensis)MDF 각 1종을 대상으로 MDF를 제조하기 전 원료(原料) 섬유(纖維)의 미세(微細) 구조(構造) 및 내부결합력 시험 후 MDF의 파괴면(破壞面)에서 섬유표면(纖維表面)에 접착제(接着劑)가 도포(塗布)된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였다. 원료 섬유는 침(針) 활엽수재(闊葉樹材) 모두 fiber twisting 및 shrinkage fold 등이 관찰되었다. 침엽수재(針葉樹材)의 경우는 유연벽공부(有緣壁孔部)에서 유연벽공(有緣壁孔)이 없는 부분에 비하여 shrinkage fold의 발생 빈도가 낮고 표면(表面) 박리(剝離)는 가도관(假導管) 중 벽공이 없는 부분에서 관찰되었다. 활엽수재(闊葉樹材) 목섬유(木纖維)는 침엽수재(針葉樹材)와 마찬가지로 shrinkage fold가 관찰되었으나 표면(表面) 박리(剝離)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활엽수(闊葉樹) 섬유(纖維)에서는 벽공의 유무에 따른 shrinkage fold의 차이(差異)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목섬유(木纖維)가 침엽수(針葉樹) 가도관(假導管)보다 작은 단벽공(單壁孔)을 갖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 방사유세포(放射柔細胞)와 가도관(假導管) 및 목섬유(木纖維)의 박리(剝離) 부분(部分)에는 융기부(隆起部)가 관찰되었다. 내부결합력 시험후 나타난 파괴면을 통하여 접착제 분포를 관찰한 결과 거의 모든 섬유(纖維)들이 접착제(接着劑)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섬유(纖維)간 접착형태(接着形態)도 매우 다양하였다. 침활엽수재(針闊葉樹材)간에 강도(强度)의 차이는 있었지만 파괴(破壞) 형태(形態)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침활엽수(針闊葉樹) 모두 접착층(接着層)이 아닌 섬유(纖維)에서 파괴(破壞)가 발생하였으며 섬유에서 박리(剝離)된, 세포벽(細胞壁)의 일부가 다른 섬유(纖維)의 표면(表面)에 남아있는 형태와 섬유(纖維) 표면(表面)에서 떨어져 나간 형태로 관찰되었다. 세포 구성이 단순한 침엽수(針葉樹) MDF에 비하여 유세포(柔細胞)와 도관(導管) 및 목섬유(木纖維)의 파편들이 활엽수(闊葉樹) MDF에서는 다양(多樣)하게 분포하였다.

  • PDF

폐MDF를 이용한 염색재생섬유 제조 (Manufacture of Dyed Recycling Wood Fiber Using Waste MDF)

  • 주선경;노정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297-307
    • /
    • 2017
  • 폐MDF 재생섬유를 인테리어 소품 제조용 원료로 이용하기 위해 MDF 제조용 리기다소나무 버진섬유와 MDF를 제조한 후 재해섬한 재생섬유에 대해 빨강, 노랑 및 파랑색 계열의 Bis-monochlorotriazine (MCT)계와 Vinyl sulfone(VS)계의 반응성염료, Anthraquinone계의 배트염료, Diazo계열의 직접염료 및 치자와 소목의 천연염료에 의한 염색 특성 및 일광견뢰도를 검토하였다. 염색 전의 버진섬유와 재생섬유의 색상은 각각 4.2YR과 4.4YR로 약간의 적색기가 있는 황색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재생섬유가 버진섬유에 비해 $L^*$의 값이 작아 약간 더 어두웠다. 적, 청, 황색계의 MCT계와 VS계의 반응성염료, 배트 염료, 직접염료 모두 버진섬유와 재생섬유에 관계없이 염색은 매우 양호하게 잘 이루어졌다. 재생섬유가 버진섬유보다 염착량은 약간 높았고, $L^*$와 V의 값은 약간 감소하였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일광견뢰도는 염료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버진염색섬유가 재생염색섬유보다 더 큰 색차를 보이고 있어 불량하였다. 소목으로 염색한 재생섬유와 버진섬유의 색상은 각각 4.4YR과 4.0YR로 염색 전의 미염색 섬유와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치자로 염색한 섬유의 색상은 각각 7.4YR과 6.9YR로 황색계의 반응성염료, 배트염료 및 직접염료보다 큰 색차를 보여 염색성은 우수하였으나 일광견뢰도는 불량하였다.

커피박과 목섬유를 이용한 중밀도섬유판의 제조 및 성능 평가 (Manufacture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Medium-density Fiberboard Made with Coffee Bean Residue-Wood Fiber)

  • 양인;이광형;오세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293-30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분 흡착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커피박을 첨가하여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한 다음 물성과 강도특성을 조사하여 커피박의 중밀도섬유판 원료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커피박은 주로 인스턴트커피 제조 시 많이 발생하는 찌꺼기인데 가수분해된 것을 전건무게 기준 3, 6, 9% 수준에서 목섬유와 혼합해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하였으며, 이 때 사용한 접착제는 요소수지접착제였다. 커피박과 목섬유를 섞은 중밀도섬유판에 대해 물성과 강도 특성 및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을 측정하였다. 커피박과 목섬유를 무작위로 섞어 제조한 중밀도섬유판의 휨강도와 박리강도는 모두 KS 기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커피박을 층으로 구성한 적층 성형구조 경우에는 모두 기준에 미달하였다. 제조된 중밀도섬유판의 흡수 두께팽창률은 시판용 중밀도섬유판보다 낮아 물리적 특성 면에서 현저히 개선됨을 보여주었다.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은 시판용 중밀도섬유판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KS 기준상의 $E_1$급에 부합하였다. 이런 결과는 커피박이 친환경 중밀도섬유판 제조 시 원재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중밀도섬유판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접착제와 커피박 간의 상호 접착성 및 커피박의 흡착성능 향상을 위한 전환방법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

Manufacturing Regenerated Woody Dyed Fiber from Waste MDF Using Natural Dyes

  • JU, Seon-Gyeong;ROH, JeongKwa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154-165
    • /
    • 2020
  • To assign the functionality of the regenerated fiber from waste MDF(wMDF) made of pitch pine, we examined the dyeing characteristics of natural dyes, sappan wood as a polychromatic natural red series, monochromatic gardenia as a yellow series, and indigo blue series. For nonemordanting dye, the colors of regenerated fiber dyed by sappan wood and gardenia were reddish yellow (YR) and yellow (Y) series, respectively, and dyeing conditions were appropriate a 30 ~ 50 g/L of dyeing materials at 60 ℃ for 60minutes of dyeing time. We obtained regenerated woody dyed fibers (Re-WDF), YR to the red (R) series by premordanting with Al and Cu mordant for sappan wood and the purplish red (RP) series by Fe premordanting. In the case of gardenia, only Y series colors were developed in nonemordanting dye or all three mordants. Indigo dye produced Re-WDF with greenish yellow (GY) tone at 1%, green (G) tone at 3%, and blue (B) tone at 5% concentration or more. Re-WDF with indigo showed the best light fastness followed by sappan wood and gardenia. In particular, the light fastness of Re-WDF with gardenia was very poor. The light fastness was somewhat improved by premordanting(Fe>Cu>Al) both sappan wood and gardenia dyes.

Change in Chemical Compositions of Leachate and Medium Density Fiberboard from a Laboratory-scale Simulated Landfill

  • Lee, Min;Prewitt, Lynn;Mun, Sung Phi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231-240
    • /
    • 2016
  • The change in chemical compositions of leachate and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from a laboratory-scale simulated landfill which constructed in a plastic container containing alternating layers of soil and MDF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decomposing of MDF in soil. Four treatments were conducted: 1) MDF in soil, 2) MDF only, 3) cured UF resin in soil, and 4) soil only. Molecular weight (MW) distribution of compounds in leachate from soil only treatment did not change over time. In UF resin in soil treatment, the MW distribution shifted to a lower MW distribution over time, while the peak shifted to the left indicated changing to higher MW distribution in leachate from treatment 1 and 2 contained MDF. Higher percent nitrogen in leachate was observed in MDF containing treatments due to the UF resin in the MDF. The percent carbon slightly increased in MDF only while that greatly decreased in MDF in soil treatment maybe due to bacterial activity. The percent of extractable materials from the MDF decreased greatly on day 35 compare to day 0, and subsequently did not change much on day 77. In contrast, percent holocellulose and lignin did not change much over time. No structural change of the wood fiber in MDF occurs during the study. Water-soluble materials from MDF in soil contributed the change in chemical composition of leachate.

불용성 폴리머가 탄소섬유 보강 Polymer-MDF 시멘트 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soluble Polymers on Water Stability of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MDF Cementitious Composites)

  • 김태진;박춘근
    • Composites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84-90
    • /
    • 1999
  • HAC/PVA계 MDF시멘트 복합재료의 수분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향상을 위하여 불용성 폴리머류(폴리우레탄, 페놀, 에폭시수지)와 탄소섬유(길이3mm)를 1-4wt% 보강하였다. 그리고 가압성형법으로 제조한 복합체의 수분침적 기간별 강도특성(수분안정성)과 계면 및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폴리머와 시멘트의 가교반응에 대하여 SEM 및 TEM 분석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HAC/PVA계 MDF 시멘트 복합체의 섬유함량에 따른 건조 굽힘강도는 섬유함량이 증가할수록 치밀화 구조가 저하되어 비례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불용성 폴리머류를 사용한 경우에 건조 굽힘강도는 섬유함량이 증가될수록 저하되는 반면, 수분안정성은 크게 향상되었다. 에폭시 수지를 첨가한 경우에 수분안정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섬유함량 4% 첨가의 경우에 3일 침적강도가 95%, 7일침적시 87%강도를 유지하였다. 이 점은 폴리머와 시멘트의 금속이온이 가교반응을 일으켜 섬유-메트릭스간 계면 부착강도를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반면 인장강도 특성은 모든 불용성 폴리머류 첨가 수준에서 섬유 함량이 증가할수록 비례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역시 에폭시 수지 첨가의 경우에 강도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그리고 섬유함량 4% 첨가된 경우에 있어서 인장강도는 섬유함량 0% 대비 약 30~80%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