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DCT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2초

뇌 동맥류 진단에 있어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과 다중검출기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의 유용성 비교 (The Comparison of Usefulness between MDCT Angiography and DSA in the Diagnosis of Intracranial Aneurysm)

  • 강현수;서선열;한동균;권수일;심수정;조삼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2권4호
    • /
    • pp.184-189
    • /
    • 2011
  • 본 연구는 뇌동맥류로 진단받은 환자 중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DSA)과 다중검출기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MDCT Angiography)의 영상을 비교하여 MDCT 혈관조영술에 대한 뇌동맥류의 선별검사로써 그 유영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병원에서 DSA을 시행한 후 뇌동맥류로 진단 받은 환자 중 MDCT 혈관조영술을 함께 시행한 19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DSA과 MDCT 혈관조영 장치의 영상에서 뇌동맥류의 유무를 분석하였고, 동맥류의 길이를 경부의 크기로 나누어 1보다 크면 경부가 좁은 협경 동맥류, 1보다 작으면 경부가 넓은 광경 동맥류로 분류하여 협경, 혹은 광경 동맥류인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DSA과 비교한 MDCT 혈관조영술의 뇌동맥류에 대한 민감도는 97.4%로 분석되었고, 협경 혹은 광경 동맥류의 일치도는 90.2%, MDCT 혈관조영술에서 뇌동맥류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가 2.5%로 경부의 평균 크기는 2.4 mm였다. 이를 통해 뇌동맥류 선별검사를 위하여 비침습적인 MDCT 혈관조영술은 침습적인 DSA에 비하여 높은 민감도를 보여 매우 유용한 검사로 기대된다.

MDCT/IMDCT의 효율적인 구현을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 (A New Algorithm for An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MDCT/IMDCT)

  • 조양기;이원표;인치호;김희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Ⅳ
    • /
    • pp.2471-2474
    • /
    • 2003
  • The 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MDCT) and its inverse transform (IMDCT) are employed in subband/transform coding schemes as the analysis/synthesis filter bank based on time domain aliasing cancellation (TDAC). And they are the most computational intensive operations in layer III of the MPEG audio coding standar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efficient algorithm for the MDCT/IMDCT computation. It is based on the MDCT/IMDCT computation algorithm using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s (DCTs), and it employs two discrete cosine transform of type II(DCT-II) to compute the MDCT/IMDCT. In addition to, it takes advantage of ability in calculating the MDCT/IMDCT computation, where the length of a data block is divisible by 4. The proposed algorithm in this paper requires less calculation complexity than the existing methods. Also, it can be implemented by the parallel structure,, and its structure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VLSI realization.

  • PDF

객혈 환자에서 기관지경술이나 기관지동맥색전술 시행 전의 다중절편 전산화 단층촬영의 유용성 (Usefulness of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before Bronchoscopy and/or Bronchial Arterial Embolization for Hemoptysis)

  • 이신재;노지영;유승민;김만득;이지현;김은경;조영아;이상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8권2호
    • /
    • pp.80-86
    • /
    • 2010
  • Background: Recently, many institutions have acquired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systems. This made it easier and more convenient to use MDCT as a initial diagnostic modality for hemopt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MDCT before bronchoscopy and/or bronchial arterial embolization (BAE) for hemoptysis. Methods: We studied a total of 125 patients with hemoptysis who underwent, between 2006 and 2008, MDCT in a routine protocol before bronchoscopy and/or BAE. One hundred two patients underwent bronchoscopy and 29 patients underwent BAE. We compared the usefulness of MDCT and bronchoscopy for detecting the bleeding site and identifying the cause. We also evaluated our ability, using MDCT, to detect instances where the bronchial artery caused hemoptysis. Results: The rate of detection of a bleeding site was 75.5% on MDCT and 50.9% on bronchoscopy. MDCT and bronchoscopy detected the bleeding site in agreement in 62.7% of patients. MDCT alone found the bleeding site in 27.5% of cases. MDCT identified the cause of hemoptysis in 77.5% and bronchoscopy in 11.8%. In 29 patients who underwent BAE, we detected a total of 37 hypertrophied bronchial arteries that were causing hemoptysis. Of 37 bronchial arteries, 23 (62.2%) were depicted on MDCT. Conclusion: MDCT is superior to bronchoscopy for detecting the bleeding site and identifying the cause of hemoptysis. MDCT can also predict the side of affected bronchial artery with depiction of hypertrophied bronchial artery and localizing the bleeding site. Doing MDCT before bronchoscopy and BAE can provide a guideline for the next step.

다중 채널 디지털 보청기 알고리즘의 고정 소수점 연산 최적화 (Fixed-point Optimization of a Multi-channel Digital Hearing Aid Algorithm)

  • 이근상;백용현;박영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37-4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저 전력 시스템에 적합한 고정 소수점 연산기로 구현된 다중 채널 디지털 보청기 알고리즘의 최적화 기법을 제시한다. 먼저 입력 신호를 고속 MDCT(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방법을 사용하여 주파수 대역 분할함으로써 알고리듬의 복잡도를 최소화 하였고, MDCT 출력을 비선형 대역 분할 과정을 거쳐 채널별 그룹핑을 한 다음, 각 채널 신호를 난청인의 청각 손실 정도에 따라 구성한 라우드니스 보상 함수(loudness compensation function: LCF)표를 이용하여 이득을 조절하고, 최종적으로 TDAC 기법을 구현하는 IMDCT(Inverse MDCT) 변환을 거쳐 보상된 출력을 합성한다. 모든 과정은 16비트 정수 연산으로 구현되며, 이득을 계산하기 위해 측정되는 로그 단위의 연산 과정은 미리 계산된 테이블과 고속 탐색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구성된 보청기 알고리즘의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평가하였다.

  • PDF

전산화단층촬영 검사의 방사선 선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diation Dose in Computed Tomographic Examinations)

  • 임청환;조정근;이만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4호
    • /
    • pp.381-389
    • /
    • 2007
  • 본 연구는 전산화단층촬영 검사의 방사선 선량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며, 여러 기관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각 의료기관의 CT장비에서 선량을 측정하였으며, 병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Protocol에 입각하여 피폭선량을 계산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두부팬텀을 이용하여 측정된 100 mAs 당 $CTDI_W$ 값은 4 slice MDCT 장비가 24.20 mGy로 가장 높았다. 장비의 세대별 구분에 따른 $CTDI_W$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1). 2. 복부팬텀을 이용하여 측정한 100 mAs 당 $CTDI_W$ 값은 4 slice MDCT 장비가 13.58mGy로 가장 높았으며, $CTDI_W$ 값은 장비 세대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3. 두부검사에서의 환자선량은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가장 높은 장비는 16 slice MDCT로 $818.83\;mGy{\cdot}cm$이었다(p < 0.05). 조영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4 slice MDCT 장비에서 $1460.77\;mGy{\cdot}cm$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평균 환자선량은 장비 종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1). 4. 흉부검사에서의 환자선량은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16 slice MDCT에서 평균은 $521.63\;mGy{\cdot}cm$로 가장 높았으며, 장비종류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조영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8 slice MDCT 장비에서의 환자선량이 평균 $1,174.70\;mGy{\cdot}cm$로 가장 높았으며, 장비별로 평균 환자선량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복부-골반검사에서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환자선량이 가장 높은 장비는 16 slice MDCT 장비로 평균은 $856.27\;mGy{\cdot}cm$이었으며, 평균 환자선량은 장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조영제를 사용하는 경우 환자선량이 가장 높은 장비는 16 slice MDCT로 평균 $1,720.64\;mGy{\cdot}cm$이었다. 평균 환자선량은 장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6. 간 검사에서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환자선량이 가장 높은 장비는 8 slice MDCT로 평균 환자선량은 $612.07\;mGy{\cdot}cm$이었고, 환자선량은 장비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조영제를 사용하는 경우의 환자선량은 8 slice MDCT 장비의 평균이 $2,197.93\;mGy{\cdot}cm$로 가장 높았으며, 장비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1). 조사대상 의료기관의 76.2%에서 조영제를 투여하는 검사의 반복횟수가 $3{\sim}4$회로 방사선피폭에 의한 위험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디지털 측방두부규격방사선사진과 MDCT의 3차원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합성측방두부규격방사선사진의 계측치 비교 및 머리 위치가 미치는 효과 (Comparison of measurements from digital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3D MDCT-synthetized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the effect of head position)

  • 김미자;최보람;허경회;이원진;허민석;이삼선;최순철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9권3호
    • /
    • pp.133-147
    • /
    • 2009
  • Purpose : To investigate the reproducibilities and compare the measurements in digital and MDCT-synthesized cephalometric radiograph,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d position on the measurement during imaging with MDCT.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two dry skulls (combined with mandible) were used in this study. Conventional digital cephalometric radiograph was taken in standard position, and MDCT was taken in standard position and two rotated position ($10^{\circ}$ left rotation and $10^{\circ}$ right tilting). MDCT data were imported in $OnDemand^{(R)}$ and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were synthesized from 3D virtual models. Two types of rotated MDCT data were synthesized with default mode and with corrected mode using both ear rods. For all six images, sixteen angular and eleven linear measurements were made in V-$Ceph^{(R)}$ three times. Reproducibility of measurements was assess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 A and ICC.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were compared between digital and five MDCT-synthesized images by Student t-test. Results : All measurements in six types of cephalometric radiograph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under ICC examination. Measurements were not different between digital and MDCT-synthesized images (P>.05). Measurements in MDCT-synthesized image in $10^{\circ}$ left rotation or $10^{\circ}$ right tilting position showed possibility of difference from digital image in some measurements, and possibility of improvement via realignment of head position using both ear rods. Conclusion : MDCT-synthesized cephalometric radiograph can substitute conventional cephalometric radiograph. The error on head position during imaging with MDCT have possibility that can produce measurement errors with MDCT-synthesized image, and these position error can be corrected by realignment of the head position using both ear rods.

  • PDF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128-MDCT 검사시 생식선 차폐 선량 감소 효과 (Radiation dose reduction effectiveness of a male gonadal shield during 128-MDCT using Glass Detector)

  • 김창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7호
    • /
    • pp.237-242
    • /
    • 2013
  • 최근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128채널 MDCT의 복부 및 골반부 촬영 시 생식선 차폐 선량관리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생식선의 피폭선량과 생식선 차폐 시 피폭선량을 측정하고 획득영상을 평가하였다. 평가한 결과 복부 MDCT 검사시생식선 차폐기구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서 $16.5{\pm}0.5$ mGy를 나타냈으며, 대($650m^2$)크기의 차폐체를 사용하였을 경우 $7.5{\pm}0.3$ mGy로 측정되어 54%의 생식선 피폭선량 감소효과를 보였다. 골반부 MDCT 검사시 생식선 차폐기구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서 $9.5{\pm}0.3$ mGy, 대($650m^2$)크기의 차폐체를 사용하였을 경우 $2.8{\pm}0.2$ mGy로 나타나 70% 의 생식선 피폭선량 감소효과를 보였다. MDCT를 이용한 검사 시 생식선 차폐기구 사용 유, 무에 따라 영상을 획득하여 Likert 5점 척도로 분석한 결과 복부 영상에서는 4.1점으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골반부 검사에서는 생식선 차폐기구 사용하였을 때 1.2점, 생식선 차폐기구 사용하지 않았을 때 4.1점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복부 128-MDCT 검사 시 생식선 차폐기구를 사용하여 영상의 질 저하 없이 영상을 획득하고 피폭선량을 감소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디지털 오디오를 위한 2048포인트 MDCT/IMDCT 벡터프로세서 설계 (A Design on the Vector-Processor of 2048 Point MDCT/IMDCT for Digital Audio)

  • 구대성;정양권;김종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9C호
    • /
    • pp.851-859
    • /
    • 2003
  • 최근 사용자들의 멀티채널 선호도는 급속도로 전파되고 있다. MPEG은 동영상 및 음향시스템의 데이터 압축기술을 제공하는데, 현재 각광을 받고있는 것이 디지털 오디오이다. MPEG 표준안은 MPEG-1오디오 알고리즘을 MPEG-2 알고리즘에 동일하게 사용해도 멀티채널 및 5.1채널 사운드륵 제공한다. MDCT(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는 TDAC(Time Domain Aliasing Cancellation)에 기반을 두고있는 변형이산 여현 변환을 나타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오디오 부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MDCT/IMDCT(Inverse MDCT) 알고리즘을 최적화하여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연산과정에서 중복되는 영역을 묶음으로써 연산에 필요한 계수를 줄였다. 최적화 전에 비해 코사인 계수를 0.5%이하로 최적화하였고, 승산에서 0.098%, 가산에서 0.58% 효율을 보였다. 알고리즘 검증은 C언어를 사용하여 검증하였고,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마이크로 프로그램 방식의 하드웨어 구조론 설계하였다.

16 채널 Multi-detector 컴퓨터 단층촬영과 심초음파를 이용한 좌심실 용적과 기능의 비교 (Comparison of Left Ventricular Volume and Function between 46 Channel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and Echocardiography)

  • 박찬범;조민섭;문미형;조은주;이배영;김치경;진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호
    • /
    • pp.45-51
    • /
    • 2007
  • 배경: 좌심실 기능의 평가는 대개 심초음파를 이용하여 시행되고 있으나, 최근 개발된 16채널 Multi-detector 컴퓨터 단층촬영(MDCT)은 관상동맥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좌심실 기능의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MDCT를 이용한 측정결과를 심초음파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MDCT의 좌심실 기능 평가에 대한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1월 1일부터 2005년 1월 31일까지 본원에서 MDCT를 시행한 49명의 환자중 동일시기에 심초음파를 시행한 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완기말 좌심실 용적지수(LVEDVI), 수축기말 좌심실 용적지수(LVESVI), 심박출량지수(SVI), 좌심실 부피지수(LVMI) 및 심박출계수(EF)를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이완기말 좌심실 용적지수($80.86{\pm}34.69mL$ for MDCT vs $60.23{\pm}29.06mL$ for Echocardiography, p<0.01), 평균수축기말 좌심실 용적지수($37.96{\pm}24.32mL$ for MDCT vs $25.68{\pm}16.57ml$ for Echocardiography, p<0.01), 평균심박출량지수($42.90{\pm}15.86mL$ for MDCT vs $34.54{\pm}17.94mL$ for Echocardiography, p<0.01), 평균좌심실 부피지수($72.14{\pm}25.35mL$ for MDCT vs $130.35{\pm}53.10mL$ for Echocardiography, p<0.01) 및 평균심박출계수($55.63{\pm}12.91mL$ for MDCT vs $59.95{\pm}12.75mL$ for Echocardiography, p<0.05)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평균이완기말 좌심실 용적지수, 평균수축기말 좌심실 용적지수, 평균심박출량지수는 MDCT군이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좌심실 부피지수, 평균심박출계수는 심초음파군이 높게 나타났다. 각 변수에서 양군의 상관관계를 보면, 이완기말 좌심실 용적지수$(r^2=0.74,\;p<0.0001)$, 수축기말 좌심실 용적지수$(r^2=0.69,\; p<0.0001)$, 심박출량지수$(r^2=0.55,\;p<0.0001)$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좌심실 부피지수$(r^2=0.84,\;p<0.0001)$는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심박출계수$(r^2=0.45,\;p<0.0002)$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16채널 MDCT를 이용한 좌심실 용적 및 기능의 평가는 심초음파의 결과와 비교하여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각 항목의 평균값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 임상적 적용을 위하여는 양 검사의 절대적 결과치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MDCT의 기술적 개발을 고려할 때 관상동맥 환자에 있어 관상동맥의 협착의 검사와 함께 좌심실 기능의 측정도 함께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ransform Coding Based on Source Filter Model in the MDCT Domain

  • Sung, Jongmo;Ko, Yun-Ho
    • ETRI Journal
    • /
    • 제35권3호
    • /
    • pp.542-545
    • /
    • 2013
  • State-of-the-art voice codecs have been developed to extend the input bandwidth to enhance quality while maintaining interoperability with a legacy codec. Most of them employ a 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MDCT) for coding their extended band. We propose a source filter model-based coding algorithm of MDCT spectral coefficients, apply it to the ITU-T G.711.1 super wideband (SWB) extension codec, and subjectively test it to validate the model. A subjective test shows a better quality over the standardized SWB cod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