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CPP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6초

토양 침투수중 MCPP의 유도체화 및 잔류분석 (Derivatization and Residual Determination of MCPP in Soil Leachate)

  • 홍무기;알버트스미스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9-208
    • /
    • 1994
  • 토양 침투수중에 잔류하는 제초제 MCPP를 추출, 유도체를 합성하여 GC-MS로 확인하고 capillary GC-ECD로 잔류분석하였다. Diazomethane과 $BF_3$/MeOH 등을 이용하여 합성한 MCPP의 methyl 유도체, 황산을 촉매로 이용하여 합성한 MCPP의 2,2,2-trifluoroethyl(TFE) 및 2,2,2-trichloroethyl(TCE) 유도체, 그리고 MCPP의 pentafluorobenzyl(PFB) 유도체간의 잔류분석법을 비교한 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된 MCPP-TFE 유도체화가 간편하고 신속, 안전한 유도체화 기술로서 GC-ECD에서 비교적 감도가 우수한 편이었다. MCPP의 methyl 유도체는 GC-ECD에서 그 감도가 너무 낮아 시료가 소량인 경우 ppb 수준의 잔류분석이 불가능하였고 MCPP-TCE 및 MCPP-PFB 유도체는 그 감도는 우수하였으나 크로마토그람상의 방해물질이 많아 액액분리에 의한 정제만으로는 잔류분석이 곤란하였다. MCPP-TFE 유도체화에 의하면 토양침투수 100ml중 $0.1{\mu}g$ 미만의 농도를 가진 MCPP의 잔류분석이 액액분리에 의한 정제만으로 가능하였다.

  • PDF

페녹시계 제초제 MCPP [2-(2-Methyl-4-Chlorophenoxy) Propionic Acid]의 미생물학적 분해 (Microbiological Degradation of the Phenoxy Herbicide MCPP [2-(2-Methyl-4-Chlorophenoxy) Propionic Acid])

  • Oh, Kye Heon;Olli H. Tuovinen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6-100
    • /
    • 1992
  • 토양세균의 혼합배양에 의한 MCPP [2-(2-Methyl-4-Chlorophenoxy) Propionic Acid]의 미생물학적 분해를 조사하였다. 혼합배양은 Pseudomonas 종, Flavobacterium 종, 그리고 Achromobacter종을 포함하였다. 세균들은 유일한 탄소 및 에너지원으로서 MCPP를 이용하였으나, 부분적인 분해만을 부여주었다. MCPP의 분해는 2-methyl-4-chlorophenol의 형성에 의하여 진행되었으며, 이는 HPLC 에 의하여 발견되었고, GC-MS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이 중간대사물질은 일시적으로 생성되었으며, reverse phase HPLC와 Uv absorbance에 의하여 다른 대사산물의 존재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Biodegradation of the phenoxy herbicides 2,4-D and MCPP

  • Oh, Kye-Heon
    • 미생물과산업
    • /
    • 제18권1호
    • /
    • pp.2-8
    • /
    • 1992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haracterize the biodegradation of phenoxy herbicides, 2,4-D and MCPP, under aerobic conditions. Specifically, the work had the following objectives; i) to develop and characterize bacterial mixed cultures for the 2,4-D and MCPP degradation, ii) to evaluate the degradation of 2,4-D and MCPP in shake-flasks and stirred tank reactors; and iii) to evaluate the treatment of industrial fertilizer solid wste material containing 2,4-D and MCPP.

  • PDF

토양중 2,4-D, Dicamba 및 MCPP의 흡착과 휘발에 관한 연구 (Adsorption and Volatilization of 2,4-D, Dicamba and MCPP in Soils)

  • 황건중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72-79
    • /
    • 1997
  • 본 실험은 제초제인 2,4-D, dicamba, 및 MCPP의 토양에서의 이동을 확인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토양종류에 따른 이들 제초제의 흡착과 휘발을 일정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제초제의 토양중 흡착은 batch isotherm으로 조사하였는데, MCPP와 2,4-D는 Freundlich식에서 직선으로 나타났으며, dicamba는 곡선으로 나타났다. Silty clay 토양에서 MCPP의 K$_d$ 및 K$_{fr}$값이 가장 높았으며, loamy sand 토양에서는 dicamba의 K$_d$, K$_{fr}$값이 가장 낮았다. 전반적으로 silty clay 토양에서 K$_d$, K$_{fr}$값이 높았고 N값은 낮았다. 토양에 살포된 제초제의 약 40%가 처리 25일 경과시 휘발되거나 분해되었으며, 이들 제초제중 2,4-D가 dicamba와 MCPP에 비하여 분해 및 휘발속도가 빨랐다. 모든 토양에서 이들 제초제의 분해 및 휘발속도는 공기에 노출된 초기에 현저하게 빠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환경중에서 이들 제초제의 이동 및 잔류 현황을 예견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CPP 음독 후 발생한 사망 1례 (Death after Ingestion of MCPP -A Case Report-)

  • 소병학;이원재;심병용;김훈교;김치홍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5-47
    • /
    • 2005
  • MCPP (2-(2-methyl-4-chlorophenoxy)propionic acid; mecoprop), a hormonal weedkiller has been widely used. Although chronic exposure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mildly toxic to man, acute intoxication can be severe and should thus be taken seriously. We report the case of a patient who died after ingestion of MCPP. A 64-year-old man ingested about 400 ml of $50\%$ MCPP solution. He was stuporous and had an inadequate respiration. He had an hypotension which did not respond to vasopressors and died about twelve hours after ingestion.

  • PDF

토양중(土壤中) 2,4-D와 MCPP의 잔류특성(殘留特性) (Persistence of 2,4-D and MCPP in Soil)

  • 이영득;이해근;박영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9-64
    • /
    • 1983
  • 수원소재(水原所在) 2개토양(個土壤)에서 2,4-D ethyl ester 및 MCPP의 토양중(土壤中) 잔유소장(殘油消長)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살포(撒布)한 2,4-D ethyl ester는 토양중(土壤中)에서 신속(迅速)히 가수분해(加水分解)되어 2,4-D를 생성(生成)하였다. 2) 포장조건하(圃場條件下)에서 2,4-D 잔유분(殘留分)을 포함한 총(總) 2,4-D ethyl ester의 반감기(半減期)는 $4{\sim}7$일(日)이었으며 실험실(實驗室) 조건하(條件下)에서는 다소 긴 $4{\sim}7$일(日)이었다. 3) 포장조건하(圃場條件下)에서의 토양중(土壤中) MCPP의 반감기(半減期)는 $9{\sim}12$일(日)이었고 실험실(實驗室) 조건하(條件下)에서는 다소 긴 $12{\sim}23$일(日)의 반감기(半減期)를 보였다.

  • PDF

GENIIS, a New Hybrid Algorithm for Solving the Mixed Chinese Postman Problem

  • 최명길;응우엔만탕;황원주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7권3호
    • /
    • pp.39-58
    • /
    • 2008
  • Mixed Chinese Postman Problem (MCPP) is a practical generalization of the classical Chinese Postman Problem (CPP) and it could be applied in many real world. Although MCPP is useful in terms of reality, MCPP has been proved to be a NP-complete problem. To find optimal solutions efficiently in MCPP, we can reduce searching space to be small effective searching space containing optimal solutions. We propose GENIIS methodology, which is a kind of hybrid algorithm combines the approximate algorithms and genetic algorithm. To get good solutions in the effective searching space, GENIIS uses approximate algorithm and genetic algorithm. This paper validates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in a simulation. The results of our paper could be utilized to increase the efficiencies of network and transportation in business.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지에서 제초제 사용에 의한 광대나물 방제 (Weed Control of Henbit Deadnettle Using Herbicide on Cultivating Field of Italian Ryegrass)

  • 김기용;최기준;이상훈;이기원;김원호;정민웅;서성;김맹중;지희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9-394
    • /
    • 2011
  • 본 논문은 국내육성 IRG 신품종 "코윈어리" 재배지에서 광대나물의 방제법을 구명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에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 연구한 결과이다. 잡초 억제율은 원호프 2회 처리구에서 90%로 가장 높았으나, IRG 피해도 커서 사용할 수 없으며, 그 다음으로 MCPP 2회 처리구에서는 잡초 억제율이 82%로 방제효과가 높고 IRG 피해도 적으며 잡초방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대나물 방제를 위해 MCPP를 10일간격으로 2회 살포한 경우, 건물생산량은 ha당 11,427 kg으로서 무처리구의 1,658 kg에 비해 598% 증가하였다. 다시 말해서 MCPP를 처리하지 않으면 조사료 수확이 불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포장에서 월년생 잡초 광대나물을 방제하려면 3월 중순에 MCPP를 10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하면 되며, 조사료 생산량도 ha당 11,427 kg으로서 정상적인 수량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애기수영이 우점한 고랭지 목초지에 제초제의 처리가 잡초방제 및 목초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icide Application on Weed Control and Forage Production in Alpine Grassland Predominated with Red Sorrel(Rumex acetosella L.))

  • 김영근;정종원;최연식;임영철;한성윤;나기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865-874
    • /
    • 2003
  • 강원도 대관령지역의 목초지에 발생하는 광엽잡초 중의 하나인 애기수영의 방제에 우수한 약제 이용을 위한 예비선발 결과 경엽처리 제초제는 MCPP 액제를, 토양처리 제초제로는 펜디유제를 선발하였다. 경엽처리제인 MCPP액제 처리시 방제효과는 500$m\ell$/10a를 처리시가 77.2%, 750$m\ell$/10a 처리시가 82.8%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지상부 고사로 형성된 나지를 통해 출아한 애기수영의 개체수가 무처리구에 비해 4배 이상이었다. 애기수영이 우점한 목초지에 펜디유제를 처리한 결과 애기수영의 rhizome의 생육억제에는 전혀 효과가 없었으나 초지를 전면 갱신한 후 펜디유제를 300$m\ell$/10a를 처리한 결과 83.0%의 애기수영 종자의 발아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경엽처리제인 MCPP 액제와 토양처리제인 펜디유제를 연계처리시 MCPP 액제 500$m\ell$/10a와 750$m\ell$/10a의 농도로 먼저 처리한 처리구의 애기수영 방제효과가 각각 90.0%와 86.3%로 MCPP 액제를 나중 처리한 처리구의 66.7%와 78.3%보다 높았다. 지하부를 통해 재생하는 애기수영의 방제를 위해 MCPP 액제를 750$m\ell$/10a 농도로 20일 간격으로 2회 처리시 93.2%의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목초의 수량도 높았다. 목초 중 MCPP 액제의 잔류량은 약제처리 20일째 500$m\ell$/ 10a 처리시 0.033ppm, 1000$m\ell$/10a 처리시 0.081 ppm을 나타내었으며, 펜디유제 잔류량은 약제처리 후 20일째 300$m\ell$/10a 처리시 0.07ppm, 600$m\ell$/10a 처리시 0.31ppm으로 두 약제 공히 잔류허용기준 0.5ppm 미만이었다.

Comparison of treatment effects between four premolar extraction and total arch distalization using the modified C-palatal plate

  • Jo, Sung Youn;Bayome, Mohamed;Park, Justyn;Lim, Hee Jin;Kook, Yoon-Ah;Han, Seong H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24-235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keletal, dental, and soft-tissue treatment effects of nonextraction therapy using the modified C-palatal plate (MCPP) to those of premolar extraction (PE) treatment in adult patients with Class II malocclusion. Methods: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graphs of 40 adult patients with Class II malocclusion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CPP group comprised 20 patients treated with total arch distalization of the maxillary arch while the PE group comprised 20 patients treated with four PE. Fifty-eight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were analyzed to assess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treatment effects within an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MCPP group presented 3.4 mm of retraction, 1.0 mm of extrusion, and $7.3^{\circ}$ lingual inclina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In comparison, the PE group displayed greater amount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retraction and retroclination, mandibular incisor retraction, and upper lip retraction (5.3 mm, $14.8^{\circ}$, 5.1 mm, and 2.0 mm, respectively; p < 0.001 for all). In addition, the MCPP group showed 4.0 mm of distalization and 1.3 mm of intrusion with $2.9^{\circ}$ distal tipping of the maxillary first molar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e MCPP is an effective distalization appliance in the maxillary arch. The amount of incisor retraction, howev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E group. Therefore, four PE may be recommended when greater improvement of incisor position and soft-tissue profile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