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CM3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3초

Transcription Regulation Network Analysis of MCF7 Breast Cancer Cells Exposed to Estradiol

  • Wu, Jun-Zhao;Lu, Peng;Liu, Rong;Yang, Tie-Ji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8호
    • /
    • pp.3681-3685
    • /
    • 2012
  • Background: In breast cancer, estrogen receptors have been demonstrated to interact with transcription factors to regulate target gene expression. However, high-throughput identification of the transcription regulation relationship between transcription factors and their target genes in response to estradiol is still in its infancy. Purpose: Thus, the objective of our study was to interpret the transcription regulation network of MCF7 breast cancer cells exposed to estradiol. Methods: In this work, GSE11352 microarray data were used to identify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Result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MYB (v-myb myeloblastosis viral oncogene homolog [avian]), PGR (progesterone receptor), and MYC (v-myc myelocytomatosis viral oncogene homolog [avian]) were hub nodes in our transcriptome network, which may interact with ER and, in turn, regulate target gene expression. MYB can up-regulate MCM3 (minichromosome maintenance 3) and MCM7 expression; PGR can suppress BCL2 (B-cell lymphoma 2) expression; MYC can inhibit TGFB2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2) expression. These genes are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progression via cell cycling and the $TGF{\beta}$ signaling pathway. Conclusion: Analysis of transcriptional regulation may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molecular mechanisms and clues to potential therapeutic targets in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큰느타리버섯의 자실체 생육특성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leurotus eryngii)

  • 류재산;김민근;권진혁;조숙현;김낙구;노치웅;이춘희;노현수;이현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7-53
    • /
    • 2007
  • 큰느타리버섯의 균학적인 특성과 더불어 자실체의 배양과 생육특성을 조사하여 우량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체배지를 이용한 균사생장길이는 MCM 배지가 PDA 배지보다 생장속도가 뛰어났고, KNR2501 계통이 $25^{\circ}C$, MCM상에서 가장 잘 자랐다. 균사체생성량은 PDB 배지가 MCM과 YMG 배지보다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양이 가장 빠른 계통은 KNR2515와 2516이 19일 이었다. 발이와 수학소요일수는 KNR2503이 6.5일, 15.3일로서 가장 우수하였다. 계통별 자실체 특징은 길이에 있어서 KNR2312와 2322가 122.7, 121.0 mm으로 가장 길었고, 대두께는 KNR2322가 39.8 mm로 우수하였다. KNR2513도 31.3 mm으로 야생버섯으로 육종소재로의 가치가 인정되었다. 수확량은 야생계통으로 KNR2504가 36.3으로 우수하였다. 품질에 있어서 KNR2503이 4.0이었고, 재배계통들은 보통 7.0 이상이었다. 갓의 색도에 있어서 KNR2512의 L값이 43.6으로 가장 짙은 색을 보였다. 밝은 계통은 L값이 80 이상으로 KNR2511, 2513, 2515로 대체적으로 느린 생육을 보였다. 형태적인 특징은 주름색이 흰색인 KNR2511, 2513, 2515이 편평형으로 같은 그룹에 속하고, KNR2516, 2518이 가까운 계통으로 추정된다. 농가에서 재배되는 계통의 특징은 평반구형이고, 깔대기형인 KNR2502, 2503, 2504, 2521, 2525를 제외하고 편평형으로 분류되었다. 육종학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는 생육속도에 있어서 KNR2503, 갓색은 KNR2512, 품질은 KNR2312, 2322, 2503, 2513이 있었다.

수삼추출물 첨가 혼합배지에서 조제된 상황 균사체 심부배양물 다당획분의 면역활성 증진 (Immune Enhancement of Polysaccharide from Submerged Culture with Phellinus linteus i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Ginseng Extract)

  • 김훈;송기윤;정재현;정헌상;이현용;유광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0-28
    • /
    • 2011
  • 면역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수삼추출물(GE, $65^{\circ}$Bx)이 첨가된 액체배지(mushroom complete medium, MCM)에서 상황(Phellinus linteus, PL) 균사체를 배양하여 배양액과 균사체가 모두 포함된 심부배양물을 조제하고 조다당획분(CP)으로 분획하였다. MCM 부피에 대하여 GE가 15% 첨가된 혼합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수삼추출물-상황 심부배양물로부터 분획된 PL-GE-15-CP는 $100{\mu}g$/mL의 시료농도에서 GE-5와 10%가 첨가된 PL-GE-5와 10-CP 및 GE가 첨가되지 않은 일반-상황 심부배양물의 PL-CP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마크로파지(saline 대조군의 1.45배) 및 Peyer's patch를 경유한 장관면역 활성(1.46배)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활성획분인 PL-GE-15-CP는 DEAE-Sepharose CL-6B를 이용한 분획을 통하여 PL-GE-15-CP의 다른 획분 또는 시료대조군인 PL-CP로부터 분획된 모든 획분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마크로파지 활성, IL-12 생산능 및 장관면역 활성(각각 1.54, 3.96과 1.56배)을 갖는 다당획분인 PL-GE-15-CP-II를 분리할 수 있었다. 또한, PL-GE-15-CP-II는 동일 NaCl 농도에서 분획된 시료대조군인 PL-CP-II보다 시료농도 $200{\mu}g$/mouse에서 colon 26-M3.1 carcinoma cell에 대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암전이 억제활성도 보여주었다(대조군의 57.3% 억제활성). 한편, 활성 다당획분인 PL-GE-15-CP-II는 주로 중성당(82.45%)과 산성당(12.99%)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구성당 분석결과에서 산성당과 함께 Ara, Man, Gal과 Glc의 중성당으로 구성되어져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molar ratio; 0.52:0.97:0.63:1.00:0.54). 결론적으로 GE가 첨가된 상황 심부배양물은 일반배지에서의 상황 심부배양물보다 면역활성이 높아 GE가 균사체 활성의 증진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활성성분으로 다당류가 중요하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느타리의 종간(種間)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 및 유성(有性) (Interspecific protoplast Fusion and Sexuality in Pleurotus)

  • 유영복;유창현;박용환;이연희;장권열;존폐버디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35-141
    • /
    • 1987
  •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식용버섯의 유전육종연구는 종래의 전통적 육종방법인 균사융합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균주간의 불화합성 장벽을 능가하여 새로운 품중육성에 그 기대가 크다. 한국의 주요재배 버섯이며, 날로 세계의 재배면적이 증가하는 느타리버섯류의 유전육종을 위하여 몇가지 종간의 체세포 잡종의 선발과 이들의 유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 종간 원형질체 융합으로 체세포 잡종을 선발하였는데, 느타리+노랑느타리, 느타리+사철느타리, 느타리+여름느타리, 사철느타리+노랑느타리, 사철느타리+여름느타리 그리고 여름느타리+노랑느타리의 원형질체 융합율은 0.002-3.25%였으며, MCM과 MCM+benomyl에서 융합주의 균총분리가 일어나지 않았다. 2. 화합성 균주간에는 균사융합 및 원형질체 융합에 의하여 모두 균사체에 clamp connection을 형성하였으며, 자실체도 형성하였다. 그러나 불화합성 균주간에는 균사 및 원형질체 융합에 의하여 clamp connection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자실체도 형성하지 않았다. 3. clamp connection이 없고 자실체도 형성하지 않는 원형질체 융합주의 임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이들 모균주와 균사융합한 결과 단핵균주와는 드물게 clamp connection을 형성하였으며, 이 핵균주와는 모두 clamp connetion을 형성하였다. 4. 불화합성 균주간의 원형질체 융합주는 새로운 불화합성을 형성하였는데, ASI 2-3+ASI 2-53의 P148은 ASI 2-3과 화합성인 ASI 2-1, ASI 2-2와 불화합성을 나타냈다. 또한 ASI 2-3+ASI 2-44의 P150은 ASI 2-3과 화합성인 ASI 2-1, ASI 2-2와 불화합성이었다.

  • PDF

합성 페롭스카이트형($K_2La_2Ti_nO_{2n+4}$)광물의 결정학 및 층상구조에 관한 연구 (Crystallography and Layered Structure of Synthetic Perovskite-type ($K_2La_2Ti_nO_{2n+4}$) Minerals)

  • 문용희;최진범;이병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3-84
    • /
    • 2001
  • 티타늄과 산소의 함량이 서로 다른 4가지의 합성 페롭스카이트형(perovskite-type) 광물(($K_2$$La_2$$Ti_{n}$/$O_{2n+4}$, n=3, 4, 5, 6; 14/mcm, 14/mmm, I42 m)을 대상으로 리트벨트(Rietveld)구조분석법을 실시하여 결정구조를 밝히고 티타늄함량에 따른 층상형 구조를 연구하였다. 4가지 합성시료에 대하여 구조분석을 실시한결과 대표적인 페롭스카이트형 광물인 토소나이트(taustonite, $La_{1-x}$ //$K_{x}$ /$TiO_3$, x<0.4)가 주성분으로 나타났으며 토스나이트내에 12개의 산소를 배위하는 A자리 양이온은 자리점유율에 의해 $La^{3+}$$K^{+}$ /의 치환관계를 보여준다 공간군은 14/mcm, 단위포는 a=5.505(1)~5.510(1)$\AA$, c=7.793(1)~7.796(1)$\AA$ V=236.25~236.66 $\AA^3$ 범위의 값을 갖는다. 구조의 정밀도를 나타내는 R지수를 살펴보면 $R_{B}$ 값은 5.31~9.10 S(GofF)값은 0.86~1.24로 각각 계산되었다. 12배위를 하는 A자리 양이온인 란탄과 산소의 평균거리는 2.755$\AA$이고 6배위를 하는 B자리 양이온인 티타늄과 산소의 평균거리는 1.948 $\AA$의 결과를 얻었다. 합성된페롭스카이트형 광물의 층상구조가 알려져 있지 않아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조모델을 결정하였으며 그결과 n=3인 R-38시료에서만 두 종류의 층상 페롭스카이트($La_2$$K_2$$Ti_3$$O_{10}$ ) 구조 (A-type: 14/mmm, a=3.8178 $\AA$, c=29.9189 $\AA$, V=436.04 $\AA^3$, B-type: 142 m, a =3.8376 $\AA$, c=28.023 $\AA$, V=412.6 $\AA^3$)가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나 다른 시료에서는 토소나이트, 금홍석 외에 새로운 합성광물로 제파이트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 PDF

NASICON 고체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 계산 (III) 전도경로가 Na1$\longrightarrow$mid-Na$\longrightarrow$Na2인경우 (Computation of Ionic Conductivity at NASICON Solid Electrolyte (III) Na1$\longrightarrow$mid-Na$\longrightarrow$Na2 Conduction Paths)

  • 최진삼;서양곤;강은태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45-652
    • /
    • 1996
  • The ionic conductivity of NASICON (Na Super Ionic Conductor) solid electrolyte was simulated by using Monte Carlo Method (MCM)based on a hopping model. We assumed that the conduction path of Na ions is Na1→mid-Na→Na2 where the mid-Na sites are shallow potential sites to induce 'a breathing-like movement' of Na ions in the NASICON framework. The minimum of charge correlation factor Fc and the maximum of appeared at nearby x=2.0 The occupancy of mid-Na site affected the depth of potential barrier and the conduc-tivity of the NASICON. At above x=0.3 ln σT vs. 1/T* plots have been shown Arrhenius behavior but in (VWfc)vs. 1/T* have been shown the Arrhenius type tendency at x=1 MCM results accorded with the experi-mental procedure. The role of mid-Na on Na+ ion conduction could be explained by an additional driving force and a breating-like movement model for motions of Na+ ions in the NASICON framework. As we couldn't clearly remarked the model which is the better it seem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se hypothesies are suitable to explain the FIC behavior at NASICON.

  • PDF

CO2 부가반응에 적용된 Silica 담지 이온성 액체 촉매 (Application of Silica-supported Ionic Liquid Catalysts to Cycloaddition of CO2)

  • 김동우;김현국;조득희
    • 공업화학
    • /
    • 제27권3호
    • /
    • pp.239-244
    • /
    • 2016
  • 본 총설에서는 $CO_2$와 에폭시 화합물의 부가반응에서 무정형, SBA, MCM 또는 상업적으로 쉽게 이용 가능한 다양한 silica 지지체에 담지된 이온성 액체의 촉매적 적용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CO_2$ 부가반응에 의한 5원환 카보네이트의 합성에 대하여 담지된 이온성 액체의 구조적인 영향과 silica 지지체의 종류에 따른 촉매 활성을 검토한 바, 관능기 또는 금속을 보유한 이온성 액체인 경우에 촉매 성능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ilica에 담지된 이온성 액체(SSIL) 촉매의 재사용성과 반응메커니즘을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스파크 플라스마 소결공정의 전산모사(2부 : 해석) (Computer aided simulation of spark plasma sintering process (Part 2 : analysis))

  • 금영탁;정상철;전종훈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3-48
    • /
    • 2006
  • 본 2부의 연구에서는 스파크 플라스마 소결의 온도분포, 상대밀도, 입자성장을 해석 하기 위하여 1부 연구의 시뮬레이션 이론을 바탕으로 스파크 플라스마 소결공정을 유한요소법(FEM)과 몬테카를로법(MCM)으로 전산모사하고 실험치와 비교한다. 전산모사를 통하여 소결체의 소결온도가 높을수록 입자성장이 커지고 밀도가 높아져 기계적 성질이 향상되고, 고상 소결에서 몬테카르로 단계가 증가할 수록 기공의 감소와 입자크기의 증대함을 보여 준다.

느타리버섯과 잔나비걸상버섯과의 이목간(異目間)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 (Interorder Protoplast Fusion between Pleurotus ostreatus and Ganoderma applanatum)

  • 유영복;송문태;고승주;유창현;차동열;박용환;장권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9-123
    • /
    • 1989
  • 주름버섯목(目) 느타리버섯과 민주름버섯목(目) 잔나비걸상버섯과의 이목간(異目間) 원형질체(原形質體)를 polyethylene glycol로 유도하여 융합주(融合株) heterokaryon을 선발하였다. 버섯최소배지에서 극히 균사생장이 느렸으며 버섯완전배지에서 3번 계대배양되면서 다소 생장이 빨라졌다. 융합주 36균주의 75%는 양친의 균사가 혼합된 균총형태였으며 16.7%는 새로운 형태, 8.3%는 느타리버섯 형태이었다. 이들 중 양친의 균총(菌叢)이 혼합된 형태는 3번 계대배양 후 모두 느타리버섯 형태로 변하였다. 균사(菌絲)에는 클램프연결체가 없었고 원기(原基)도 형성하지 않았다. 융합주(融合株)를 전기영동법으로 esterase, malate dehydrogenase, peroxidase의 동위효소(同位酵素) 분석(分析)으로 비교하였는데 잔나비걸상버섯 효소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새로운 밴드의 형성으로 보아 두 양친 genome간의 상호작용이 존재하였다.

  • PDF

느타리버섯 원형질체내(原形質體內)에 사철느타리버섯 핵(核)의 전이(轉移) (Transfer of Isolated Nuclei from Pleurotus florida into Protoplasts of Pleurotus ostreatus)

  • 유영복;유창현;신평균;박용환;장권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0-253
    • /
    • 1987
  • 원형질체내에 외래유전물질 도입에 의한 균주 개발의 가능성 검토의 일환으로 사철느타리의 원형질체로부터 핵을 분리하여 느타리의 원형질체내로 전이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핵전이주는 크게 3가지 type으로 구분되었는데 type 1은 아주 빠른 균사생장과 clamp connection를 형성하지 않으며 CM+benomyl에서 균총분리가 나타남으로서 이질이배체로 사료되었다. type 2는 주된 핵전이주로서 모균주와 비슷하거나 다소 빠른 균사생장과 clamp connection을 지녀 자실체를 형성하였으며 heterokaryon으로서 원형질체 융합주와 유사하였다. 그러고 type 3은 핵 또는 염색체 단편의 전이로 clamp connection를 지니지 않고 아주 느리거나 MM에서 생육이 거의 불가능한 균주였다. 2. 핵전이주 및 모균주를 전기영동법으로 esterase 동위효소 pattern을 조사한 결과 핵전이주는 모균주와 구별되었는데 type 1인 이질이배체는 새로운 band를 나타내었으며, type 2와 type 3은 모균주들을 합한 것으로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