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CM

검색결과 394건 처리시간 0.024초

은이온이 담지된 메조포러스 MCM-41을 이용한 n-부탄과 1-부텐의 흡착 특성 연구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n-Butane and 1-Butene on Mesoporous MCM-41 Containing Silver Ions)

  • 강 민;이형익;윤달영;고창현;김종남;김지만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4호
    • /
    • pp.393-398
    • /
    • 2006
  • 고농도의 1-부텐을 생산하기 위하여 흡착 분리제의 개발이 필수적인데, 본 연구에서는 메조포러스 실리케이트인 MCM-41을 지지체로 하여 $AgNO_3$를 함침시켜 흡착제를 제조한 후, 1-부텐과 n-부탄의 흡착 특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열처리 조건에 따른 $Ag^+$ 이온의 형성 비율과 1-부텐의 결합 능력을 알아보았다. MCM-41 흡착제의 경우, 13X 제올라 이트에 비하여 매우 높은 흡착량을 보여주었으며, 은이 담지되었을 때, n-부탄의 흡착량은 감소하는 반면에 1-부텐의 흡착량은 증가함으로써 1-부텐과 n-부탄의 흡착 분리에 매우 좋은 성능을 갖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진공 분위기에서 373 K로 열처리한 Ag/MCM-41의 경우 가장 높은 1-부텐/n-부탄 흡착비를 보였으며, 특히 저압에서 매우 높은흡착비를 보여주었다.

Catalytic Upgrading of Geodae-Uksae 1 over Mesoporous MCM-48 Catalysts

  • Jeon, Ki-Joon;Jin, Sung Ho;Park, Sung Hoon;Jeon, Jong-Ki;Jung, Sang-Chul;Ryu, Changkook;Park, Young-Kw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7호
    • /
    • pp.1951-1955
    • /
    • 2014
  • Catalytic pyrolysis of Geodae-Uksae 1, a kind of miscanthus found in Korea, was carried out over mesoporous MCM-48 catalysts. For rapid product analysis and catalyst evaluation,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as used. X-ray diffraction, nitrogen sorption, pyridine adsorbed Fourier transform infrared, and NH3 temperature programmed desorption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properties of the catalysts. Compared to non-catalytic reaction, catalytic upgrading over mesoporous Al-MCM-48 catalysts produced a higher-quality bio-oil with a high stability and low oxygen content. Al-MCM-48 exhibited higher deoxygenation ability than Si-MCM-48 due to its higher acidity.

High Speed MCM 적용을 위한 Interconnect Characterization 에 대한 연구 (Interconnect Characterization for High Speed MCM Application)

  • 이경환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5-32
    • /
    • 1997
  • 대용량, 고속 정보처리가 요구되는 System의 모듈은 Data 처리의 고속성 및 회로의 고집적이 가능한 MCM의 형태로 구현되어 ATM, GPS 및 PCS 등의 분야에 광범위하게 응 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High Speed 응용분야에서의 System 성능은 Interconnect Line의 전달지연, 임피던스 부정합에 의한 신호 반사 손실. 신호선 간의 Crosstalk, Ground Bounce 등의 현상에 대한 최적화 여부에 결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Interconnect의 특성상 정 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추상적인 Library를 구축하는 형식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으며 이를 위하여 여러기본 구조를 정의한후 각 Dimension을 변수로 두고 해석 결과를 합성하여 Database화하는 접근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MCM-D 공정을 이용하여 Interconnect Line 특성을 분석하고 Database화 하기 위한 Test Pattern을 구현하고 Time Domain reflectometry(TDR)을 이용하여 그특성들을 측정 분석하였다. Test pattern 제작은 MCM-D 공정으로 최소선폭 27$\mu$m, Via Hole 75$\mu$m으로 형성하였고 2 Layer Signal과 GND로 총 3Layer를 구현하였다. 특성분석을 위해 TDR장비와 모데링 및 Simulation S/W인 IPA 510 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MCM-D를 이용한 공정에서 Interconcet Line의 고주파 특성을 측정하고 정량화하여 LIbrary를 제작할수 있었다.

Ti-MCM-22 촉매를 이용한 프로필렌 에폭시화반응 (Propylene Epoxidation Using Ti-MCM-22 Catalyst)

  • 양승태;반한주;김세영;안희승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4호
    • /
    • pp.665-668
    • /
    • 2008
  • 티타늄 함유 제올라이트 촉매 Ti-MCM-22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를 산화제로 한 프로필렌 에폭시화반응을 수행하였으며, 반응 온도와 압력, 촉매량, 한계 반응물인 과산화수소의 농도, 산화프로필렌의 첨가, 용매 및 촉매 재생 효과를 조사하였다. Acetonitrile 용매 하에서 반응 실험을 수행한 결과, 99% 이상의 $H_2O_2$ 전화율과 100%에 근접하는 산화프로필렌 선택도를 보였다.

Optimization of Synthetic Parameters for Mesoporous Molecular Sieve MCM-41 Using Surfactant CTAC1

  • 박동호;Cheng, Chi Feng;Jacek Klinowsk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8권4호
    • /
    • pp.379-384
    • /
    • 1997
  • High quality MCM-41 is prepared from a gel of molar composition SiO2:0.20 CTACl:0.18 TMAOH:25 H2O aged at 20 ℃ for 24 hours before crystallization lasting for 48 hours. The (110) and (200) peaks of XRD pattern of high quality MCM-41 are unusually well resolved and the FWHM (full-width-at-half-maximum) of the (100) peak is 0.13° for as-prepared MCM-41 and 0.21° for calcined one, which indicate well-developed crystals. The properties of the crystal depend on the source and concentration of the reactants and the gel aging time. There is no induction period in the course of the synthesis, which is conveniently monitored by pH measurement. Gel aging, during which a spatial distribution of silicate polyanions and micellar cations is established, is essential for preparing high quality MCM-41. Surfactants with the same cationic organic group but different counteranions change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Highly basic gel (pH=12.6) favours the lamellar product; the quality of MCM-41 is lower as insufficient TMAOH is available to dissolve the silica.

MCM3 as a Novel Diagnostic Marker in Benign and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 Ashkavandi, Zohreh Jaafari;Najvani, Ali Dehghani;Tadbir, Azadeh Andishe;Pardis, Soheil;Ranjbar, Mohammad Ali;Ashraf, Mohammad Java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6호
    • /
    • pp.3479-3482
    • /
    • 2013
  • Background: Proliferation markers widely have been used to diagnose and determine the behaviour and prognosis of benign and malignant tumours. Minichromosome maintenance 3 (MCM3) is a novel proliferation mark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MCM3 with Ki-67 in diagnosis of salivary gland tumours.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MCM3 and Ki-67 was evaluated in 15 pleomorphic adenomas (PA), 17 mucoepidermoid carcinomas (MEC) and 18 adenoid cystic carcinomas (ADCC). Labeling indices (LIs) for the two marker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Results: MCM3 and Ki-67 LI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EC and ADCC compared to PA. The LI of MCM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Ki-67 in MEC and P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rkers in ADCC. A cut-off point of 8% with 74.3% sensitivity and 93.3% specificity for MCM3 was obtained to discern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tumor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CM3 might be a useful proliferation marker for differential diagnosis and recognition of clinical behavior of salivary gland tumors.

MEA가 힘침된 MCM-41 흡착제의 $CO_2$ 흡착 특성 (Characteristics of $CO_2$ Adsorption by MEA Impregnated MCM-41)

  • 이중범;최성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686-691
    • /
    • 2011
  • 본 연구는 MEA가 함침된 MCM-41에 대하여 이산화탄소 흡착실험과 특성 분석을 하였다. 흡착제의 XRD, FT-IR, $N_2$흡탈착 실험을 통하여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흡착실험은 15%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GC-TCD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MEA 함침량이 10~40 wt%까지 함침량이 증가할수록 이산화탄소 흡착능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MEA 함침량이 50 wt%에서 흡착능이 감소하였다. 많은 아민이 제공되면 흡착제 표면에서 제공된 아민이 변형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이산화탄소 흡착능이 감소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이산화탄소 흡착을 위한 MCM-41에 MEA의 함침 함량의 조절이 중요하다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바나듐이 들어있는 Mesoporous V-AlMCM-48 분자체의 합성 및 분광학적 특성 조사 (Synthesis and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Vanadium-Incorporated V-AlMCM-48 Mesoporous Material)

  • 백건호;유종성;박승건;이철위;원태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4호
    • /
    • pp.369-374
    • /
    • 2006
  • $V_2O_5$와 AlMCM-48을 고체상에서 반응시킨 후 소성하면 메조포러스 물질 내에서 V(V) 화학종이 아주 약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환원 과정을 거치면 EPR로 조사할 수 있는 바나딜 $VO^{2+}$ 화학종이 생성된다. $VO^{2+}-AlMCM-48$에 들어있는 바나듐의 화학적 환경을 XRD, EDX, UV-Vis, EPR, $^{29}Si$ and $^{27}Al$ and $^{51}V$ NMR로 조사하였다. 탈수하거나 CO 로 환원하면 바나듐은 MCM-48에 유사 사면체형 $VO^{2+}$ 바나딜 이온 상태로 존재하며 물이 배위되면 찌그러진 팔면체구조로 바뀐다.

Fe-MCM-41의 제조, 물성조사 및 촉매적 응용 연구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Catalytic Applications of Fe-MCM-41)

  • 윤상순;최정식;최형진;안화승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215-221
    • /
    • 2005
  • 실리카계 메조 물질인 MCM-41의 합성시 $Fe^{3+}$ 염을 합성 기질에 직접 도입하여 구조 내의 Si를 Fe로 일부 치환시킨 Fe-MCM-41(4 mol% Fe)을 합성하였다. XRD, $N_2$ 흡착법, TEM 등으로 합성한 메조 세공 물질의 구조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UV-Vis 및 FT-IR 등의 분광분석을 통하여 철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촉매적 활성 연구를 위하여 과산화수소를 산화제로 이용한 phenol hydroxylation을 수행하였으며, 물을용매로 반응 온도 $50^{\circ}C$, phenol:$H_2O_2$=1:1 조건에서 ca. 60%의 전화율을 얻었다. 또한, 구조 중 Fe 활성점을 이용한 탄소 나노 튜브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세틸렌가스를 탄소원으로 사용한 thermal-CVD 반응기를 이용하였으며, 다중벽 탄소 나노 튜브를 제조할 수 있었다.

고속 대용량 ATM Switching칩 구현을 위한 MCM기술 적응 (High-Speed, Large-Capacity ATM switching-chip Implemented by MCM Technology)

  • 김남우;허창우;임실묵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791-79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고속 대용량 ATM교환기에 쓰이는 스위칭소자들 중 서로 관련 있는 두 종류의 칩을 MCM기술을 이용하여 하나의 칩으로 구현하고 그 기능을 검증하였다. MCM은 소형화와 이종간 소자의 결합이 주목적으로 개발된 기술로서 하나의 패키지 상에 다양한 칩들을 실장 함으로써 칩간 지연시간이 시스템 성능향상을 가져오며 고성능화와 소형화가 시스템 개발에 도움으로 주는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는 기술이다. 고속 대용량화를 위해 구현된 MCM 스위칭 칩의 기능 검증을 위하여 기존에 개발된 칩들의 VHDL코드를 가지고 시뮬레이션 모델을 생성하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모델링된 패턴의 입출력 값을 얻었다. 칩 테스트 장비에 패턴 값을 입력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동작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행된 시뮬레이션은 SUN 워크스테이션 상에서 Synopsys툴을 사용하였고, 칩의 기능 시험은 Trillium장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결과와 시험장비를 통해 얻은 결과를 비교한 결과 처음에 목적한 패턴의 시험에 대한 기능들이 일치됨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