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CAR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1초

다변량 추계학적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가뭄해석에 관한 연구 (Drought Analysis of Nakdong River Basin Based on Multivariate Stochastic Models)

  • 허준행;김경덕;조원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155-163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유역 진동, 현풍, 왜관 지점의 연평균 유량자료에 대하여 다변량 추계학적 모형올 적용하여 가뭄특성을 해석하였다. 추계학적 모형으로는 다변량 자기회귀 (MAR) 모형과 다변량 contemporaneous 자기회귀 (MCAR) 모형올 사용하였으며, 잔차계열의 왜곡도 검사, 계열상관도(correlogram) 등의 적합도 검정을 통하여 MCAR(1) 모형과 MAR(1) 모형올 적정 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MCAR(1) 모형과 MAR(1) 모형에 의해 모의발생된 자료 모두 실제자료의 기본적인 통계값과 매우 비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모의발생된 다양한 크기의 자료를 통하여 산정된 3개 지점의 재현기간별 가뭄특성치, 예를 들변 가뭄기간, 가뭄부족량, 가뭄강도 둥은 비교적 잘 재현된 것으로 판단된다. 위와 같이 산정된 가뭄특성치는 중.장기간 수자원 공급체계를 위한 계획과 설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Non-identifiability and testability of missing mechanisms in incomplete two-way contingency tables

  • Park, Yousung;Oh, Seung Mo;Kwon, Tae Yeo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8권3호
    • /
    • pp.307-314
    • /
    • 2021
  • We showed that any missing mechanism is reproduced by EMAR or MNAR with equal fit for observed likelihood if there are non-negative solutions of maximum likelihood equations. This is a generalization of Molenberghs et al. (2008) and Jeon et al. (2019). Nonetheless, as MCAR becomes a nested model of MNAR, a natural question is whether or not MNAR and MCAR are testable by using the well-known three statistics, LR (Likelihood ratio), Wald, and Score test statistics. Through simulation studies, we compared these three statistics. We investigated to what extent the boundary solution affect tesing MCAR against MNAR, which is the only testable pair of missing mechanisms based on observed likelihood. We showed that all three statistics are useful as long as the boundary proximity is far from 1.

시각장애인의 정서 기반 음악-색채 연합에 대한 융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Music-color Association Responses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Mediated by Emotion)

  • 박혜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313-32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정서 척도와 음악-색 척도를 사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음악-색 연합 반응을 살펴보는 것이다. 참여자는 S시와 B시에 소재한 장애인복지관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시각장애인 60명(선천성 30명, 후천성 30명)이다. 이를 위해 음악으로 유도될 수 있는 기본 정서 유형 4가지, 행복, 슬픔, 분노, 두려움을 선정하고, 해당 정서를 유도하는 음악에 대한 음악-색 연합 반응을 자기보고식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서 유형에 따른 음악-색 연합 반응에서 행복과 슬픔은 분명한 대조를 보인 반면, 분노와 두려움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음악 정서 변인(정서가, 정서각성, 정서강도)에 따른 음악-색 연합 반응에서 정서가는 정서 유형별 반응과 일치하였고, 정서각성은 부정적인 정서가 높았으며, 정서강도는 행복/슬픔이 분노/두려움에 비해 높았다. 셋째, 장애발생 시기별(선천성, 후천성) 음악-색 연합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음악-색 연합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음악-색 연합 반응이 정서를 매개로 연결 될 수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이브 성향점수보정 추정량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이중 사후층화 방법 연구 (A study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naive propensity score adjusted estimator using double post-stratification method)

  • 여이수;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36권6호
    • /
    • pp.547-559
    • /
    • 2023
  • 표본조사에서 무응답의 적절한 처리는 추정의 정확성을 향상한다. 결측 메카니즘이 MCAR (missing completely at random) 또는 MAR (missing at random)인 경우에서는 이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었다. 무응답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하는 평균 추정량으로 흔히 성향점수보정 추정량이 사용되며 MAR 또는 MCAR 무응답인 경우, 알려진 표본 가중치와 타당한 방법으로 추정된 응답확률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성향점수보정 추정량은 불편추정량이 된다. 그러나 관심변수 값에 영향을 받는 무응답인 MNAR (missing not at random) 무응답에서는 정확한 응답확률을 구하는 것이 어려워 성향점수보정 추정량에 편향이 발생할 수 있다. Chung과 Shin (2017, 2022)은 무정보적 표본설계에서 MNAR 무응답이 발생하였을 때 평균 추정의 정확성을 향상하는 방법으로 단일 사후층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적 표본설계를 사용하고, MNAR 무응답이 발생한 경우에서 나이브 성향점수보정 추정량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이중 사후층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불완전한 반복측정 자료의 보정방법 (Methods for Handling Incomplete Repeated Measures Data)

  • 우해봉;윤인진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9권2호
    • /
    • pp.1-27
    • /
    • 2008
  •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한 통계분석에 있어서 불완전 자료의 문제는 거의 모든 연구자들이 경험하는 하나의 보편적인 문제이다. 불완전 자료의 문제는 특히 패널조사와 같은 종단적 자료를 활용한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이슈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까지 이루어진 불완전 자료에 대한 보정방범을 소개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패널자괴에서 발생한 불완전 자료의 처리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까지 이루어진 보정방법들을 반복측정 패널자료 분석에 적용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첫째, 본 연구는 불완전 자료에 대한 적절하지 못한 사후처리는 분석결과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로 이어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분석결과는 반복측정 자료를 사용하는 연구의 경우 불완전 자료의 발생은 궤적의 초기값보다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궤적의 변화를 적절히 추정하는데 문제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분석결과는 완전제거법이나 평균대체법이 EM, FIML, MICE 방법들에 비해 불완전 자료의 처리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짐을 보여준다. 특히, 완전제거법이나 평균대체법과 같은 방법에 비해 최대우도법이나 다중대체법이 갖는 상대적 우위는 MCAR 가정에 비해 보다 현실적인 가정이라고 할 수 있는 MAR 조건하에서 크게 나타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또한 비록 결측치의 발생기제가 MNAR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연구자가 결측치의 발생과 관련된 변수들을 보정과정에서 적절하게 활용하면 편의의 상당부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Imputation Procedures in Exponential Regression Model with missing values

  • Park, Young-Sool;Kim, Soon-Kwi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4권2호
    • /
    • pp.143-152
    • /
    • 2003
  • A data set having missing observations is often completed by using imputed values. In this paper, performances and accuracy of five imputation procedures are evaluated when missing values exist only on the response variable in the exponential regression model.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djusted exponential regression imputation procedure can be well used to compensate for missing data, in particular, compared to other imputation procedures. An illustrative example using real data is provided.

  • PDF

Imputation Procedures in Exponential Regression Analysis in the presence of missing values

  • 박영술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5-144
    • /
    • 2003
  • A data set having missing observations is often completed by using imputed values. In this paper, performances and accuracy of five imputation procedures are evaluated when missing values exist only on the response variable in the exponential regression model.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djusted exponential regression imputation procedure can be well used to compensate for missing data, in particular, compared to other imputation procedures. An illustrative example using real data is provided.

  • PDF

Imputation Procedures in Weibull Regression Analysis in the presence of missing values

  • 김순귀;정동빈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3-148
    • /
    • 2001
  • A dataset having missing observations is often completed by using imputed values.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s and accuracy of complete case methods and four imputation procedures are evaluated when missing values exist only on the response variables in the Weibull regression model.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other imputation procedures, in particular, hotdeck and Weibull regression imputation procedure can be well used to compensate for missing data. In addition an illustrative real data is given.

  • PDF

결측이 있는 이산형 공변량에 대한 Cox비례위험모형의 패턴-혼합 모델 (Pattern-Mixture Model of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ith Missing Binary Covariates)

  • 육태미;송주원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2호
    • /
    • pp.279-291
    • /
    • 2012
  • 공변량에 결측이 발생한 Cox 비례위험 모형을 적합할 때, 결측이 발생하는 개체를 모두 제거한 후 분석을 실시한다면 정보 손실에 의해 비효율적이고 결측의 발생 메커니즘이 완전 임의 결측(missing completely at random; MCAR)이 아니라면 모수의 추정값에 편향이 발생할 수 있다. Cox 비례위험 회귀모형의 공변량에 결측이 있는 경우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어져 왔으나 이 분석들은 선택모델(selection model)에 기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ittle (1993)이 제안한 패턴-혼합 모델(pattern-mixture model)을 사용하여 Cox 비례위험 회귀모형에서 생존시간과 결측 메커니즘의 결합분포를 모델화 하고, 여러 가지 제약에 근거한 생존 분석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서 패턴-혼합 모델의 제약(restrictions)에 따른 모수 추정의 민감도를 확인하였고 결측을 무시한 채 분석한 결과 및 선택모형에 근거한 분석결과와 비교하였다. 패턴-혼합 모델의 제약에 따라 공변량의 결측으로 인한 모수 추정의 민감성 정도를 쥐백혈병 자료 예제를 통해 설명하였다.

무시할 수 없는 무응답에서 편향 보정을 이용한 무응답 대체 (Bias corrected imputation method for non-ignorable non-response)

  • 이민하;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4호
    • /
    • pp.485-499
    • /
    • 2022
  • 표본오차와 비표본오차를 포함하는 총오차(total survey error)를 관리하는 것은 표본설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무응답으로 인해 발생한 비표본오차는 총오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며 이를 해결하는 방법인 무응답 대체에 관한 다수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최근 전통적 통계학 관련 기법에 추가하여 기계학습 관련 기법을 이용한 무응답 대체법이 다수 연구되고 실질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 발표된 다수의 방법은 MCAR(missing completely at random) 또는 MAR(missing at random) 가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관심변수에 영향을 받는 MNAR(missing not at random) 또는 무시할 수 없는 무응답(non-ignorable non-response; NN)은 편향을 발생시켜 대체 결과의 정확성을 크게 떨어뜨리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미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시할 수 없는 무응답이 발생한 경우에 적용 가능한 무응답 대체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편향을 추정한 후 이를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무응답 대체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모의실험을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