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BI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19초

치매노인의 일반적 및 병리학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 삶의 질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gnition, ADL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Gener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 오이수;강다행;이준희;전재근
    • 재활복지
    • /
    • 제20권3호
    • /
    • pp.163-178
    • /
    • 2016
  •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병리학적 특성에 따라 인지능력,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실시되었다. 2016년 7월 15일부터 동년 8월 30일까지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치매노인 136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C),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MBI), 세계보건기구의 삶의 질 간편형 척도을 번역된 한국어판(Korean version WHOQOL-BREF)을 사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값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비교에서, 연령대, 교육수준, 치매정도에 따라 인지능력에 차이가 있었고(p < .05), 치매노인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비교에서, 연령대, 교육수준, 치매경과기간, 치매정도, 과거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p < .05), 치매노인의 삶의 질 비교에서, 연령대, 치매경과기간, 치매정도, 과거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5). 인지능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삶의 질과 인지능력, 삶의 질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간의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p < .001), 치매노인의 삶의 질은 인지능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p < .01). 따라서 치매노인의 사회적 물리적 측면에서 더 활발한 치료적 중재 및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발병기간 1년 이내 뇌졸중 환자의 핵심 감정척도 단축형을 활용한 정서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in One Year of Stroke Using Core Seven Emotions Inventory-Short Form)

  • 손성은;이가원;이나현;채한나;정문주;강형원;유영수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65-175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in one year after stroke using the Core Seven Emotions Inventory-Short Form. Methods: It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39 stroke patients who had visited W University hospital and completed the Core Seven-Emotions Inventory-Short Form (CSEI-S), the K-MBI, the PWI-SF, and the HADS. Patient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he Mann-Whitney U test, and the nonparametric test of the CSEI according to the period of stroke onset in patients and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IBM, United States of America) Version 23.0. Results: First, in the case of depression, all subjects were in the danger group, although more than half of the joy, anger, thinking, sadness and fear were included in the normal group in the shortening of the key seven-point scale. Secondly, in measuring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stress and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ocial and psychological stress were indicated to be a potential danger group, while anxiety and depression were shown to be a healthy group. Thirdly,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were explored according to the sub-factor of the shortening of the key seven-figure emotional scale after being classified within two months, between two and six months and over six months depending on the duration of the outbreak. As a result, statistically significant, Joy was the highest score over six months and the lowest score between two and six months. On the other hand, the case of depression was depicted to be significantly lower at over six months, and was highest between two and six months. Finally, the correlations on each scal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d that the CSEI-S can be used to simply to measure the emotions of patients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e onset of stroke in the clinical scene.

완고한 보행장애를 주소로 하는 만성기 뇌출혈 환자의 한의 치료 및 재활 운동 증례보고 1례 : GAITRite®를 이용하여 (A Case Report of a Chronic Intracerebral Hemorrhage Patient with Obstinate Gait Disturbance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and Rehabilitation Exercise)

  • 채인철;최인우;김찬영;박미소;박상수;정은선;차지윤;조현경;김윤식;설인찬;유호룡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30-741
    • /
    • 2019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with rehabilitation exercise on a chronic intracerebral hemorrhage patient with a severe gait disturbance. Method: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Korean herbal medicine (Gami-sibjeondaebo-tang) along with acupuncture, moxibustion, and rehabilitation exercise. The treatment effect was evaluated through the Manual Muscle Test (MMT)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K-MBI). The gait of the patient was evaluated by Functional Ambulatory Category (FAC) and the Timed Up and Go (TUG) test. The spatiotemporal parameters were evaluated by a walkway system (GAITRite(R) system) and gait symmetry was evaluated by Symmetry Criterion (SC). Results: After 111 day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the spatiotemporal parameters and symmetry of the patient's gait improved.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with rehabilitation exercise could be effective for gait disturb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intracerebral hemorrhage.

일 직장인의 일주기 유형이 번아웃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스트레스 반응의 매개 효과 연구 (The Effect of Chronotype on Burnout among Shift and Non-Shift Workers: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and Stress Response Study)

  • 강상구;최서현;이채원;이상은;맹세리;손지성;김혜영;배재남;이정섭;김원형
    • 생물정신의학
    • /
    • 제27권2호
    • /
    • pp.84-93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ronotype and the burnout, so we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ediators such as perceived stress, stress response, and depression. Methods Employees working at Incheon Customs conducted a mental health self-examination through the internet. Among them, 174 people who agreed to the mental health survey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including Composite Scale of Morningness (CSM),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Perceived Stress Scale (PSS), Stress Response Inventory (SRI), Maslach Burnout Inventory-General Survey (MBI-GS). Results Our results showed a higher degree of CES-D, SRI, exhaustion, and cynicism in evening and intermediate type compared to morning type, and a higher degree of professional efficacy in morning type compared to intermediate type. CSM was shown to have a direct effect on exhaustion and indirect effect through CES-D and SRI. CSM also had a direct effect on professional efficacy and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CES-D. However, CSM was found to have only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SRI for Cynicism. Conclusions In this study, individuals with evening type tend to experience a high degree of burnout (exhaustion, cynicism and professional efficacy)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and stress response.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reveal the effect of management of the depression and stress response in the employee with evening type.

노인장기요양 인력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A Study of Long-term Care Workers)

  • 이주재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277-290
    • /
    • 2011
  •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 인력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의 이직 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언을 하고 있다.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의 높은 이직률이 노인들에 대한 서비스 연속성과 서비스 질을 방해하고 있기 때문에 이직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연구 대상은 전남지역 노인장기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간호사, 요양보호사를 포함하는 직원 235명이다. 조사 기간은 2009년 7월 1일부터 10일까지 진행하였고, 자료수집은 자기기입식 방법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수집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SPSS 12.0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직무스트레스 척도는 MBI의 정서적 탈진 척도롤 활용하였고, 직무 만족은 한국노동패널의 전반적 직무만족도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이직 의도는 조직구성원의 자발적 이직 의도를 측정하는 척도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사회인구학적 특성으로 연령, 교육수준, 직위, 기관위치 등의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 변수도 이직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 연구 결과를 통해 이직 의도를 예방하기 위하여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고, 직무 만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으로 장기요양 인력의 이직 의도를 예방하기 위한 제도적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사회복지종사자의 공동의존성과 소진에 관한 연구 : 성역할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vel of codependency among social work related professionals and its effect on their burnout: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Sex-role attitude)

  • 장경호;윤경아;심우찬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1호
    • /
    • pp.29-5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종사자의 공동의존성과 소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역할태도가 공동의존성과 소진과의 관계에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자료수집은 대전 충청지역의 사회복지종사자 중 2년이상의 경력자를 대상으로 판단표집 하였으며, 총 368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지역별 분포는 대전 139곳, 충청 41곳이었으며, 시설유형별 분포는 생활시설 45곳, 이용시설 135곳으로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종사자의 공동의존성은 미약한 수준이 18.8%, 가벼운 수준이 65.2%, 중간수준이 15.8%, 심각한 수준이 .3%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별과 시설유형에 따른 공동의존성의 수준 차이를 살펴보면 남자와 여자의 전체 공동의존성 수준은 차이가 없게 나타났지만, 공동의존성의 하위영역인 자아숨김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시설유형별 전체 공동의존성 수준은 생활시설 종사자가 이용시설 종사자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공동의존성의 하위영역인 타인집중 및 자기부정과 자아숨김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공동의존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복지종사자의 공동의존성은 소진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역할태도가 공동의존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검정해본 결과, 공동의존성과 성역할태도의 상호작용변수는 소진에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동의존성의 수준이 증가할수록 전통적 성역할태도 집단은 근대적 성역할태도 집단에 비해 월등하게 높은 수준의 소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성역할태도의 유형에 따라 소진의 수준이 달라짐을 보여주는 것으로, 근대적 성역할태도를 지닌 집단이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지닌 집단보다 소진을 보다 유연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의존성과 소진 예방을 통하여 사회복지종사자의 정신건강 증진을 돕고, 효과적인 사회복지 서비스 질 관리를 위한 대책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