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LAB algorithm

검색결과 806건 처리시간 0.027초

Matlab/Simulink기반 유도전동기 벡터제어 시스템의 실시간 시뮬레이션 (Matlab/Simulink based Realtime Simulation of Induction Motor Drives)

  • 이학주;권성철;양승권;오성업;성세진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4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1)
    • /
    • pp.19-22
    • /
    • 2004
  • In this paper, we present a way that can implement the vector control Algorithm of induction motor and PWM signal generation on the basis of Matlab Simulink environment. The overall system model is designed by Simulink toolbox for vector control of induction motor, and then implement experiment with the DS1103 board of dSPACE. Although we are not coding the system, it is capable of doing simulation and experiment simultaneously. That is why Matlab and dSPACE board compiler can generate the '*.c' and '*.obj' files on the designed system automatically. After considering about hardware structure and driving system in Ds1103 board we verify the availability of Proposed method through in a comparison/analysis between simulation and experiment.

  • PDF

실시간 영상 복원을 위한 분산 전기단층촬영 알고리즘 (A Distributed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Algorithm for Real-Time Image Reconstruction)

  • Junghoon Lee;Gyunglin Park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0권1호
    • /
    • pp.25-36
    • /
    • 2004
  • 본 논문은 전기단층촬영의 실시간 영상 복원을 위한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를 갖는 분산 전기 단층촬영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평가한다. 영상복원은 그 수행시간이 미지수의 수에 3제곱에 비례하는 계산 위주의 응용으로서 영상의 정밀도를 위해 미지수를 증가시키면 그 수행시간이 급격히 증가한다. 마스터는 순차적인 루프에 진입하기 전에 각 컴퓨팅 노드에 독립적인 프레임 데이터를 분배하여 병렬로 기저노드를 추출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취합하여 그룹화함으로써 미지수의 수를 감소시킨다. 지역망으로 연결된 컴퓨팅 노드들은 MATLAB이 설치되어 기본적인 계산능력을 갖고 있으며 MATLAB 자료구조를 효율적으로 교환할 수 있는 명령이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로 구현되어 있다. 또한 마스터에는 병렬 행렬 연산, 고속 자코비언 둥이 구현되어 순차적인 부분의 계산을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구현된 각 요소들의 성능을 측정한 결과 병렬 라이브러리는 전체 복원 시간을 50% 가까이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분산 알고리즘은 4개의 노드가 협력작업을 하는 경우 주어진 대상 물체에 대해 12배 빠른 속도로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V2X 기반 자율운전을 위한 회전교차로 설계 및 차간 거리 측정 (Roundabout Design and Intervehicle Distance Measure for V2X-based Autonomous Driving)

  • 황재정;오석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83-89
    • /
    • 2021
  • 자율운전자동차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차량과 차량, 인프라와 차량을 연결하는 통신 기술인 V2X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상대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알고 있더라도 회전교차로에서 정확한 연산을 위해 교차로의 구조와 거리 계산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국가 회전로 설계 규칙을 준수하고 정확한 계산이 가능한 회전교차로 설계 기법을 제안하여 Matlab으로 구현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첫째, 회전로와 진출입로를 원으로 가정하고 수평 이동에 의해 두 원을 근접시켜 임의의 지점에 있는 차량간 거리 측정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Matlab으로 구현하였다. 둘째로, 가지간 각도와 진출입로의 곡률 반경을 임의로 가변시켜 지형에 적합한 회전교차로를 설계하고 주행하는 두 차량의 충돌이 예상될 때 경고 신호를 전송한다. 가지간 각도와 진출입로의 곡률 반경을 임의로 가변시켜 지형에 적합한 회전교차로를 설계하고 주행하는 두 차량의 충돌이 예상될 때 경고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완전 자율운전 차량에서 이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결과는 차량에 설치된 OBU에서 속도를 제어하는 알고리즘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자율운전 차량뿐만 아니라 운전자에게 교통 상황을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수도 관망의 노드-파이프-밸브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수립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algorithms for establishing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 between node-pipe-valve of water pipe networks)

  • 박수완;전예준;김경철;이현동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spc1호
    • /
    • pp.1187-1195
    • /
    • 2022
  • 관망의 세그먼트를 파악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관망의 주요 구성요소들인 절점, 파이프, 및 밸브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세그먼트 탐색 알고리즘의 입력정보로 준비해야 한다. 실제 지자체 관망에 존재하는 세그먼트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관망 수리해석 프로그램 구동을 위해 모델링된 관망 정보를 이용하기 보다는, 모든 제수밸브가 포함된 지자체 상수도 관망 GIS/CAD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세그먼트 탐색에 적합하게 재구성된 관망 정보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상수도 관망 GIS/CAD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망 세그먼트 탐색에 적합한 노드-파이프-밸브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수립할 수 있는 컴퓨터 계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구현할 수 있는 MATLAB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MATLAB 프로그램을 국내 지자체 상수도 관망에 적용하여 그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퍼지 알고리즘을 기반으로한 바닥복사 난방시스템의 외기보상제어 (Outdoor Reset Control based on Fuzzy Algorithm for Radiant Floor Heating System)

  • 최종요;백재호;김은태;이희진;박민용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1073-1074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outdoor reset control based on fuzzy algorithm for radiant floor heating system. We construct fuzzy system under indoor temperature and outdoor temperature. Simulation is based on TRNSYS with MATLAB. MATLAB is calculating and decide heat source using fuzzy system. Energy efficiency of Fuzzy algorithm is analyzed in term of indoor by TRNSYS System.

  • PDF

최소차원 관측기를 이용한 평면 X-Y 스테이지의 나노 위치제어 (Nano Position Control of Plane X-Y Stage Using Minimum Order Observer)

  • 김재열;윤성운;곽이구;안재신;한재호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0-185
    • /
    • 2003
  • Performance test of servo control system that is used ultra-precision positioning system with single plane X-Y stage is performed by simulation with Matlab. Analyzed for previous control algorithm and adapted for modem control theory, dual servo algorithm is developed by minimum order observer, and stability priority on controller are secured. Through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s on ultra precision positioning, stability and priority on ultra-precision positioning system with single plane X-Y stage and control algorithm are secured by using Matlab with Simulink and ControlDesk made in dSPACE

  • PDF

고해상 피치검출을 이용한 한국어 음성신호의 음소분리 (Segmentation of the Korean speech signals into phonetic units using the super resolution pitch determination)

  • 이응구;이두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70-278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고해상 피치검출을 이용해서 정확한 피치를 찾고 각 피치 주기에서의 상관함수와 문턱값을 비교하여 한국어 음성신호를 음소단위로 분리하는 알로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듬의 특성은 정확하고 고신뢰도를 갖으며, 변이구간이나 무음구간도 구분할 수 있다. 이 알고리듬은 음소단위로 분리하여 코드북을 설계하는 백터양자화와 음성인식 분야에 적용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듬은 PC386/DX 상에서 386/MATLAB으로 실행한 결과 피치주기를 정확히 찾고 음소별로 분리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 PDF

테오 얀센 메커니즘을 이용한 다족 보행 로봇의 최적화 (The Optimization of Multi legged walking robot using Teo Jansen mechanism)

  • 고현진;박수빈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5회(2016년)
    • /
    • pp.506-509
    • /
    • 2016
  • In this paper, the multi-leg robot is designed using Teo Jansen mechanis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unique robot, which operates efficiently in any environment. In that case, speed and accuracy are required. The indication which evaluate the value is Ground Score according to the Jansen's mechanism. To optimize the Ground Score. Genetic Algorithm (GA) in MATLAB Toolbox is used, which is numerical analytic algorithm to quickly convergence into optimum point. The Optimization of value is visualized by M-Sketch. M-Sketch was useful for simulation and evaluation of mechanic's dynamic motion. The robot's draft is produced into finished product by Edison Designer.

  • PDF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한 무인전투기 와류 궤적 계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for Vortex trajectory over an UCAV using image processing methods)

  • 고지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94-599
    • /
    • 2008
  • 현재 국방과학연구소 수동 시험에서 생성된 영상데이터는 수작업에 의해 분석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관측자에 따라 정확성과 분석소요시간이 상이할 수 있다 .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영상데이터 처리와 분석을 위해 MATLAB을 기반으로 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왜곡 보정 , 그레이 레벨 변환, 노이즈 제거, 이진화를 하는 영상 전처리 과정, 와류 궤적을 계측하는 영상 분석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 수동 시험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테스트 한 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 영상데이터 분석 방법에 비해 정확성과 실행속도가 향상되었다.

Continuous size optimization of large-scale dome structures with dynamic constraints

  • Dede, Tayfun;Grzywinski, Maksym;Selejdak, Jacek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3권4호
    • /
    • pp.397-405
    • /
    • 2020
  • In this study size optimization of large-scale dome structures with dynamic constraints is presented. In the optimal design of these structure, the Jaya algorithm is used to find minimal size of design variables. The design variables are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steel truss bar elements. To take into account the constraints which are the first five natural frequencies of the structures, the finite element analysis is coded in Matlab programs using eigen values of the stiffness matrix of the dome structures. The Jaya algorithm and the finite elements codes are combined by the help of the Matlab -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programming to carry out the optimization process for the dome structures. To show the efficiency and the advances of the Jaya algorithm, 1180 bar dome structure and the 1410 bar dome structure were tested by taking into the frequency constraints. The optimal results obtained by the proposed algorithm are compared with those given in the literature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Jaya algorithm. At the end of the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optimal design of large-scale dome stru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