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ENVIRONMENT

검색결과 7,035건 처리시간 0.026초

2001년 5월과 6월 서태평양에서의 Thermosalinograph 관측 (Thermosalinograph Measurements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in May and June, 2001)

  • 이재학;정병철;황근춘;전동철;황상철;이하웅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207-213
    • /
    • 2002
  • We have analyzed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alinity data collected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by using an automated Thermosalinograph (TSG) installed on the RV Onnuri during May - June of 2001. The TSG data exhibit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distributed in the near surface layer of the cruise area very well. Especially, they reveal the diurnal surface temperature cycle and the effect of rainfall on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equatorial region, showing the effectiveness of the use of TSG. Problems to be improved for the better TSG operation are the method of water sampling and calibration of TSG sensors. Installation of a pressure gauge in the TSG system and periodical sensor calibration are strongly recommended to ensure reliability of data.

심해저 광물자원 개발과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재정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nancial System for Developing Mineral Resources and Protecting the Marine Environment in the Area)

  • 박성욱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5권1호
    • /
    • pp.11-22
    • /
    • 2023
  • For the commercial development of deep-sea mineral resources, the International Seabed Authority is engaged in wide ranging discussions to establish the Regulations on Exploitation. The core issue of the Regulations on Exploitation is how to protect the marine environment along with the royalty system that distributes the profits from such development.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stipulates the protec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in Part 12 (Articles 192-237) for the preserv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and in the 1994 Implementation Agreement, the protec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at the stage of application for approval of the plan of work together with the Regulations on Explorat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certain obligations are imposed on the applicants. In the Regulations on Exploitation, financial systems such as environmental performance guarantee, insurance, and environmental compensation funds, which were not found in the Regulations on Exploration, are added to further specify the measures for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generally stipulated in the 1982 Law of the Convention or 1994 Implementation Agreement. Regarding the financial system for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the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Conservation Informal Working Group meeting is revising the purpose of the environmental compensation fund. Among these financial system elements,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guarantee and insurance may overlap considerably, and it is also thought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environmental compensation fund can also provide a substantial sum of money that will meet the purpose of the compensation fund in terms of securing its financial resources. In this paper, the question is posed as to whether or not this can be accomplished. In this respect, this paper examines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guarantee, insurance, and environmental compensation fund, which are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f the deep seabed, but which can impose appropriate obligations on contractors for the commercial development of deep seabed mineral resources. At the same time as figuring out how it is operated in relation to relevant domestic laws, I would like to propose a plan to reflect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domestic law operation process in the Regulations on Exploitation.

환경관리해역의 이용개발현황과 수질변화경향 및 영향평가 개선방안 (Diagnosis of Development Projects and Water Quality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ea Areas and Improvement of Impact Assessment)

  • 전은주;이용민;이대인;김귀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26-734
    • /
    • 2018
  • 최근 3년간 검토된 환경관리해역에서 이루어진 해역이용협의 건수는 총 60건으로 조사되었다. 환경보전해역에서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특별관리해역에서는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환경관리해역의 개별사업유형을 분석한 결과 인공구조물 설치사업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외 항만 어항개발, 연안정비 및 해수 인 배수사업유형이 많이 이루어졌다. 환경관리해역에서 국가해양환경정보통합시스템(MEIS) 자료를 활용하여 2006~2017년까지 경년별 수질변화경향을 비교한 결과, COD는 뚜렷한 증감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환경보전지역은 다소 증가하였으며, TN과 TP의 농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별관리해역인 광양만과 마산만 및 환경보전해역인 가막만에서는 주로 하계에 빈산소수괴가 출현하였다. 이러한 환경관리해역에서의 이용 개발행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해양환경부문 환경영향평가(해역이용협의)시에는 충분한 수질변화에 대한 실태분석 및 사업추진에 따른 수질영향과 퇴적물의 오염상태를 철저히 진단해서 오염원관리에 대한 대책이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각 환경관리해역의 지정 목적에 따른 유지 수질목표를 명확히 설정하여, 오염원 및 연안오염총량관리와 연계하여 오염 부하량 저감대책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조석 주기별 오염물질 방출에 따른 마산만의 체류시간 및 해수교환율 변화 (Variation in Residence Time and Water Exchange Rate by Release Time of Pollutants Over a Tidal Cycle in Masan Bay)

  • 박성은;이원찬;홍석진;김형철;김진호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49-256
    • /
    • 2011
  • EFDC와 라그랑쥐 입자추적모델을 이용하여 조석주기별로 오염물질의 방출 시점이 다를 경우에 대한 마산만의 체류시간 및 해수교환율의 정량적 차이를 계산하였다. 체류시간은 만 전체에 대해 약 40일이었고 그 범위는 부도 남쪽 해역에서 약 20일 이하, 소모도 상부에 위치하는 마산만 내측에서는 약 100일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체류 시간의 공간적 차이는 주로 조석잔차류와 만 내측으로부터의 거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만 전체 면적에 대한 체류시간의 평균값은 대조기 및 소조기에 각각 약 36일과 42일로 나타났다. 해수교환율은 30%가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입자 방류 시점에 따라 최소 약 65일부터 최대 105일까지 약 40일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언론의 '해양환경'에 대한 의제설정 언어 네트워크 분석 (Language Network Analysis of 'Marine Environment' in News Frame)

  • 김호경;권기석;장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85-398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해양환경에 대한 언론의 의제설정 경향을 연도별로 분석하여, 해양환경이 국내 언론을 통해 어떻게 의미화 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지난 10년(2005-2014년)간 국내 4개 종합일간지(동아 중앙 경향 한겨레)에 해양환경에 관해 보도된 기사에 대해 R 프로그램과 넷마이너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언론에서 해양환경은 경제적 차원에서 의미화되었다. 지난 10년간 연도별 구분 없이, 언론은 해양환경에 대한 '개발'이슈를 주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 환경의 개발을 중심으로 다양한 '계획'과 단위 '사업'들이 중요한 상관관계를 가진 영역으로 다루어졌다. 하지만 해양환경의 '보전'이슈는 국내 언론에서 주요 의제로 언급되지 않았다. 해양환경은 효과적인 보전을 기반으로, 이와 동시에 합리적인 개발이 필요한 분야이다. 개발이슈만을 지나치게 부각하는 국내 언론보도의 의제설정경향은 해양환경을 개발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데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향후 해양환경 분야에 대한 언론보도의 방향성과 정보제공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패류양식어장 밀집해역의 퇴적환경내 유기물 분포특성 -여자만과 남해 강진만-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in Surface Sediments from Shellfish Farming in Yeoja Bay and Gangjin Bay, Korea)

  • 최민규;김형철;황동운;이인석;김영숙;김예정;최희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24-436
    • /
    • 2013
  • Organic enrichment was investigated in surface sediments from the Yeoja and Gangjin Bays of Korea, which contain dense shellfish farms, in order to evaluate the contamination status and temporal changes in shellfish farming along these coasts. The degree of organic enrichment was determined using geochemical indicators (chemical oxygen demand, ignition loss, acid volatile sulfide, total organic carbon in sediments, and total nitrogen in sediments, ammonium and nitrate in pore water, and bioluminescence inhabitation for sediments). Temporal changes in organic enrichment conditions were detected by comparing our 2012 data to those previously reported from a survey conducted in 1999/2000. Organic enrich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eptember than in May and July, in Gangjin Bay than in Yeoja Bay, and significantly higher in shellfish farms than in reference sites not used to culture shellfish. Ammonium concentrations in pore water were two orders of magnitude greater than nitrate concentrations, suggesting that these bays represent nitrogen-reducing environments.

해상교통환경 위험요소 평가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Assessment Criterion of the Risk Factor for the Marine Traffic Environment)

  • 김철승;이홍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31-438
    • /
    • 2012
  • 해상교통환경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표적으로 FSA, PAWSA, IWRAP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개발을 위해서는 해상교통환경에 적합한 위험요소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평가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기존 기술에서 위험도는 사고의 출현빈도와 이로 인한 영향의 곱으로 정의되어 이에 따라 사고의 출현빈도 및 영향에 해당되는 위험요소들이 각각 구분되어 선정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각 위험요소에 요소별 출현빈도와 영향을 포함하여 이들의 합으로 위험도를 정의함으로써 기존 기술에서 사고의 영향에 해당되었던 위험요소들을 제외하는 한편, 위험요소 분류체계에 관한 기존 연구의 사례 검토를 통하여 위험도를 구성하는 위험요소를 20가지로 추출한 후 유사한 성격에 따라 5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또한, 선정된 각 위험요소에 대하여 관련 통계자료 등을 이용 실용적으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여, 향후 국내 해상교통환경에 적합한 위험도 평가모델의 개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굴양식어장 밀집해역인 진해만과 거제-한산만의 퇴적물 내 유기물 분포특성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in Surface Sediments from Jinhae and Geoje-Hansan Bays with Dense Oyster Farms)

  • 최민규;이인석;황동운;김형철;윤상필;윤세라;김청숙;서인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777-787
    • /
    • 2017
  •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was investigated in surface sediments from Jinhae Bay and Geoje-Hansan Bay of Korea, which contain the largest oyster farms in Korean coastal areas. Geochemical indicators (chemical oxygen demand, total organic carbon, ignition loss, and acid volatile sulfide) in sediments, ammonium and nitrate in pore water, and bioluminescence inhibition test for sediment extracts were analyzed. Temporal changes of organic enrichment were also investigated using sediment core samples from Geoje-Hansan Bay. The level of organic pollution in sediments from Jinhae Bay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sediments from Geoje-Hansan Bay. Compared with other sites, Jinhae Bay was one of the most polluted coastal areas of Korea. The levels of geochemical indicators in May were comparable to, or higher than, in August. Ammonium concentrations in pore water were two orders of magnitudes greater than the nitrate concentrations, suggesting that the bays are reducing environment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organic carbon in core sediment samples from shellfish-farming are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2000 to the present year, and it seems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s in anthropogenic activities.

청정생산과 해양에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Cleaner Production and Its Application in Marine Environment)

  • 송무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15
    • /
    • 2003
  • 청정생산의 개념과 현재 육상의 산업활동과 연계되어 연구 개발되고 있는 청정생산 기술동향을 살펴보고, 이들이 해양산업영역으로의 응용성을 검토하였다. 기존의 해양오염 정화활동은 새로운 청정생산체제의 영역으로 자연스럽게 흡수될 수 있지만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명제 아래서 해양의 생산과 환경활동을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청정생산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재생가능 에너지의 개발은 해양자원 활용의 한 영역이며 육상과 대기 그리고 해양을 묶는 산업생태의 청정 에너지원을 해양이 공급할 가능성도 있다 청정생산체제를 해양산업에 조속하고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하여 여론수렴, 환경감시,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향 도출, 신기술/신정책의 평가 및 적용, 정보공유, 교육 및 홍보 등의 실천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해양환경공학회 중심의 정부 민간 중간 단계의 기구 설치를 제안한다.

  • PDF

동해중층수의 일반적인 분포 특성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ast Sea Intermediate Water)

  • 신창웅;변상경;김철수;이재학;김봉채;황상철;승영호;신홍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1호
    • /
    • pp.33-42
    • /
    • 2007
  • To obtain the overall distribu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ast Sea Intermediate Water (ESIW), the historical data obtained by the Japan Maizuru Marine Observatory (MMO) and the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KORDI) were analyzed. To obtain water characteristics of the ESIW on isopycnal surfaces,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were interpolated at every 0.01 interval of potential density. And then the interpolated values were averaged at the same potential density. This potential density average method preserved the salinity minimum layer more clearly compared to the depth average method. The potential density(${\sigma}_{\theta}$) range of the ESIW was $26.9{\sim}27.3$. The representative potential density of the ESIW was found to be 27.2,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SIW was clear at this density. From the horizontal distributions of physical properties on the isopycnal surface of $27.2{\sigma}_{\theta}$ it is suggested that the low salinity ESIW circulates anticlockwise over the whole basin with the high salinity intermediate water. The low salinity intermediate water extended from the northwestern part to the east along the sub-polar front and to the Ulleung Basin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