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E

검색결과 786건 처리시간 0.027초

상압조건의 마이크로파 공정과 현행 방법에 의한 인삼근 유용성분의 추출효율 비교 연구 (Comparative Effects of Microwave-Assisted Process Under Atmospheric Pressure Condition and Conventional Process on Extraction Efficiencies Ginseng Components)

  • 권중호;김경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86-592
    • /
    • 1999
  •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MAE) is known as a more environmental friendly process with economic advantages in terms of less time, less solvent, less energy and less wastes than the current time consuming reflux method. It was applied to develop a rapid extraction method for soluble ginseng components that are major materials used for the processing of ginseng products. I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pre established MAE(ethanol 60%, power 80 W, process time 4 min$\times$5) and current extraction method(ethanol 80%, temp. 85oC, time 8 hr$\times$5), MAE was more efficient than the current method to obtain an extract yield(soluble solid), but it was insufficient to extract individual ginsenosides, total phenols, reducing components and acidic polysaccharides. MAE with 80% ethanol by 5 times showed, however, that its extraction efficiency on soluble solid, crude saponin, major ginsenosides, and the other components was equal or superior to that of the current method, indicating that ethanol concentration is one of the critical parameters influencing the MAE process. The quality of ginseng extracts from MAE was assured by evaluating the corresponding standards and by comparing TLC and HPLC patterns with the control.

  • PDF

추계학적 기법을 통한 공주지점 유출예측 연구 (Study of Stochastic Techniques for Runoff Forecasting Accuracy in Gongju basin)

  • 안정민;허영택;황만하;천근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B호
    • /
    • pp.21-27
    • /
    • 2011
  • 유출예측량을 모의할 때 과거와 현재의 수문자료를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미래 예측결과의 불확실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겠지만, 다양한 기법별 분석에 의하여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출예측의 정확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유출예측 기법을 적용 및 평가하였으며 확률론적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예측기법인 ESP와 관측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통계기법으로 공주지점의 유출예측을 수행하였다. 각 기법에 따른 유출예측 결과의 신뢰성 평가는 MAE(Mean Absolute Error), RMSE(Root Mean Squared Error), RRMSE(Relative Root Mean Squared Error),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 TIC(Theil Inequality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ESP 확률을 이용하여 예측한 유출결과와 통계적 시계열 분석에 의해 예측된 유출결과를 MAE, RMSE, RRMSE, MAPE, TIC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유출예측의 개선효과를 확인해본 결과, ESP 확률을 이용한 예측이 MAE(10.6), RMSE(15.14), RRMSE(0.244), MAPE(22.74%), TIC(0.13)으로 평가되었으며 MAE(23.2), RMSE(37.13), RRMSE(0.596), MAPE(26.69%), TIC(0.30)으로 평가된 ARMA와 MAE(26.4), RMSE(34.44), RRMSE(0.563), MAPE(47.38%), TIC(0.25)으로 평가된 Winters 에 비해 신뢰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웃 탐색점에서의 평균 절대치 오차를 이용한 2단계 고속 블록 정합 알고리듬 (A Two-Stage Fast Block Matching Algorithm Using Mean Absolute Error of Neighbor Search Point)

  • 정원식;이법기;권성근;한찬호;신용달;송규익;이건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7권3호
    • /
    • pp.41-5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이웃 탐색점에서의 평균 절대치 오차(mean absolute error, MAE)를 이용하여 전역 탐색 알고리듬(full search algorithm, FSA)과 거의 같은 움직임 추정 성능을 얻으면서도 고속으로 움직임을 추정할 수 있는 2단계 고속 블록 정함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현재 탐색점에서 블록 정합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MAE의 최소 범위를 이웃 탐색점에서의 MAE를 이용하여 구한 뒤, 이를 이용하여 블록 정합이 필요한 탐색점에 대하여서만 블록 정합을 행하였다. 즉, 제안한 방법에서는 블록 정함이 필요한 탐색점 수를 줄임으로써 고속으로 움직임을 추정하였으며, 움직임 추정을 두 단계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모의 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FSA와 거의 같은 움직임 추정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많은 계산량의 감소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Periodicity Dependence of Magnetic Anisotropy and Magnetization of FeCo Heterostructure

  • Kim, Miyoung
    • Journal of Magnetics
    • /
    • 제21권1호
    • /
    • pp.6-11
    • /
    • 2016
  • The magnetic anisotropy energy (MAE) and the saturation magnetization $B_s$ of (110) $Fe_nCo_n$ heterostructures with n = 1, 2, and 3 are investigated in first-principles within the density functional theory by using the precise full-potential linearized augmented plane wave (FLAPW) method. We compare the results employing two different exchange correlation potentials, that is, the local density approximation (LDA) and the generalized gradient approximation (GGA), and include the spin-orbit coupling interaction of the valence states in the second variational way. The MAE is found to be enhanc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bulk Fe and Co and the magnetic easy axis is in-plane in agreement with experiment. Also the MAE exhibits the in-plane angle dependence with a two-fold anisotropy showing that the $[1{\overline{I}}0]$ direction is the most favored spin direction. We found that as the periodicity increases, (i) the saturation magnetization $B_s$ decreases due to the reduced magnetic moment of Fe far from the interface, (ii) the strength of in-plane preference of spin direction increases yielding enhancement of MAE, and (iii) the volume anisotropy coefficient decreases because the volume increase outdo the MAE enhancement.

Spin Polarization of CuD Nanowires

  • Hong, Ji-Sang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1권1호
    • /
    • pp.20-24
    • /
    • 2006
  • Very recently, it was presented that the one dimensional (1D) CuO atomic chains can maintain large magnetic moments. In this work, we analyzed m-resolved density of states (DOS) to understand the peculiar spin polarization occurred in Cu atoms. It was found that the $\mid{m}\mid=1$ states play an essential role in the spin polarization of Cu atoms. In addition, we calculated magnetic anisotropy energy (MAE) and observed that the distribution of MAE is strongly sensitive to the interatomic distance between Cu and O atoms. Besides, it was revealed that the contribution to MAE comes for the second half of Brillouin zone (BZ).

On the Effect of Significance of Correlation Coefficient for Recommender System

  • Lee, Hee-Choo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7권4호
    • /
    • pp.1129-1139
    • /
    • 2006
  •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vector similarity are generally applied to The users' similarity weight of user based recommender system. This study is needed to fin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similarity weight is effected by the number of pair response and significance probability. From the classified correlation coefficient by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test 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ir of response, the change of MAE is studied by comparing the predicted precision of the two. The results are experimentally related with the change of MAE from the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number of pair response.

  • PDF

협력적 필터링에서 희소성에 따른 MAE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rsity Effect about MAE in Collaborative Filtering)

  • 김선옥;이석준;이희춘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16-620
    • /
    • 2007
  • 전자상거래에서 사용되고 있는 추천시스템은 사용자들의 프로파일과 이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선호할 만한 아이템을 추천한다. 추천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협력적 필터링 방식은 사용자들 사이의 선호도 평가치를 비교하여 유사 사용자를 선택하고, 아이템에 대한 유사 사용자의 선호도 평가치를 기반으로 하여 추천하고자 하는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예측하는 것이다. 하지만 사용자의 선호도가 적은 데이터로 인한 희소성 문제는 추천시스템의 성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희소성의 문제는 선호도 평가 자료에 나타난 아이템들의 총수에 비하여 사용자가 선호한 아이템의 수가 아주 적기 때문에 발생하며, 새로운 사용자의 경우에는 아이템에 대한 선호도 평가치가 없어 유사 사용자를 선택할 수가 없어 나타나며 심한 경우에는 아이템을 전혀 추천할 수 없게 된다. 이리할 추천 시스템의 희소성문제를 해결차기 위한 방법은 희소성이 높은 데이터들에 대한 희소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아이템에 대한 희소성을 조사하여 협력적 필터링에서 희소성 아이템이 MAE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희소성 문제를 완화하여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선호도가 적은 아이템에 대해 희소성을 최소화하는 연구와 이에 따라 희소성과 MAE의 값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정상 영역의 등고선 재구성을 위한 극좌표계 선형보간 (Polar-coordinates Linear Interpolation for Map Contour Reconstruction at Summit Area)

  • 황동국;전병민;박천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27-13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등고선 영상의 정점근방에서 발생하는 끊김을 연결하기 위하여 극좌표계 선형 보간을 제안한다.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몇 가지의 그래픽 영상에 기존 방법과 제안 방법을 적용한 실험에서, MAE가 평균 1.940화소인 선분을 생성할 수 있었다. 특히 실제의 등고선 영상에 대해서는 1.240화소의 MAE로 기존 방법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접 등고선과 닮은 꼴의 등고선을 생성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등고선을 재구성하였다.

  • PDF

태양광 에너지 예측을 위한 SVM 및 ANN 모델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SVM and ANN models for solar energy prediction)

  • 정원석;정영화;박문규;이창교;서정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26-628
    • /
    • 2018
  • 본 논문에서 기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예측하기 위해 기계학습 모델인 SVM(Support Vector Machine)과 ANN(Artificial Neural Network)의 성능을 비교한다. 장 단파 복사선 평균, 강수량, 온도 등 15가지 종류의 기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두 모델을 생성하고, 실험을 통해 최적의 SVM의 RBF(Radial Basis Function) 파라미터와 ANN의 은닉층과 노드 개수, 정규화 파라미터를 도출하였다. SVM과 ANN 모델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지표로서 MAPE(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와 MAE(Mean Absolute Error)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SVM 모델은 MAPE=21.11, MAE=2281417.65의 성능을 달성하였고 ANN은 MAPE=19.54, MAE=2155345.10776의 성능을 달성하였다.

  • PDF

A Strategy to Increase Microbial Hydrogen Production, Facilitating Intracellular Energy Reserves

  • Lee, Hyo Jung;Park, Jihoon;Lee, Joo-Young;Kim, Pi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8호
    • /
    • pp.1452-1456
    • /
    • 2016
  • Overexpression of the genes encoding phosphoeneolpyruvate carboxykinase (pckA) and NAD-dependent malic enzyme (maeA) facilitates higher intracellular ATP and NAD(P)H concentrations, respectively, under aerobic conditions in Escherichia coli. To verify a hypothesis that higher intracellular energy reserves might contribute to H2 fermentation, wild-type E. coli strains overexpressing pckA and maeA were cultured under anaerobic conditions in a glucose minimal medium. Overexpression of pckA and maeA enabled E. coli to produce 3-times and 4-times greater H2 (193 and 284 nmol, respectively) than the wild type (66 nmol H2). The pckA and maeA genes were further overexpressed in a hydrogenase-3-enhanced E. coli strain. The hydrogenase-3-enhanced strain (W3110+fhlA) produced 322 nmol H2, whereas the ATP-enhanced strain (W3110+fhlA+pckA) produced 50% increased H2 (443 nmol). Total H2 in the NAD(P)H-enhanced strain (W3110+fhlA+maeA) was similar to that in the control strain at 319 nmol H2. Possible explanations for the contribution of the increased cellular energy reserves to the enhanced hydrogen fermentation observed are discussed based on the viewpoint of metabolic engineering 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