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E

검색결과 786건 처리시간 0.027초

이웃 탐색점에서의 평균 절대치 오차 및 탐색영역 줄임을 이용한 고속 블록 정합 알고리듬 (A Fast Block Matching Algorithm Using Mean Absolute Error of Neighbor Search Point and Search Region Reduction)

  • 정원식;이법기;한찬호;권성근;장종국;이건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B호
    • /
    • pp.128-14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이웃 탐색점에서의 평균 절대치 오차 (mean absoulte error, MAE) 및 탐색여역 줄임을 이용한 고속 블록 정합 알고리듬 제안하였다. 이 알고리듬은 두 단계로 구성되어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탐색영역을 3$\times$3 크기의 영역으로 겹치지 않게 나눈 뒤, 각 영역의 중심 탐색점에 대하여 블록 정합을 행하여 MAE를 구하고, 이들 중 가장 작은 MAE를 기준 MAE로 정한다. 그리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각 영역의 중심 탐색점에서의 MAE를 이용하여 각 3$\times$3 영역의 나머지 탐색점에서의 MAE의 최소 범위를 구한 뒤, 최소 범위가 기준 MAE로 결정된 탐색점 근처에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큼을 이용하여 기준 MAE로 결정된 탐색점을 중심으로 탐색영역의 크기를 줄인 뒤, 블록 정합이 필요한 탐색점에 대하여서만 블록 정합을 행함으로써 고속으로 움직임을 추정하였다. 모의 실험을 통하여 본 제안한 방법이 우수한 움직임 추정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많은 계산량의 감소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딥러닝 모형을 활용한 공공자전거 대여량 예측에 관한 연구 (Forecasting of Rental Demand for Public Bicycles Using a Deep Learning Model)

  • 조근민;이상수;남두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28-37
    • /
    • 2020
  • 본 연구는 공공자전거의 대여량을 예측하는 딥러닝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자전거 대여량 자료, 기상 자료, 그리고 지하철 이용량 자료를 수집하였다. 지수평활 모형, ARIMA 모형과 LSTM기반의 딥러닝 모형을 구축한 후 MSE와 MAE 평가 지표를 사용하여 예측 오차를 비교·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지수평활 모형으로 MSE 348.74, MAE 14.15 값이 산출되었다. ARIMA 모형으로 MSE 170.10, MAE 9.30 값을 얻었다. 그리고 딥러닝 모형으로 MSE 120.22, MAE 6.76 값이 산출되었다. 지수평활 모형의 값과 비교하여 ARIMA 모형의 MSE는 51%, MAE는 34% 감소하였다. 그리고 딥러닝 모형의 MSE는 66%, MAE는 52% 감소하여 딥러닝 모형의 오차가 가장 적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공공자전거 대여량 예측 분야에서 딥러닝 모형의 적용시 예측 오차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 품종별 봄배추 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Major Spring Chinese Cabbage Cultivars)

  • 김미정;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43-348
    • /
    • 2000
  • 우리나라 주요 봄배추 품종인 노랑봄 (Nor), 고랭지 여름 (Gon), 매력 (Mae) 및 하우스금가락 (Hou) 등 4품종에 대하여 생배추의 특성과 이를 이용하여 만든 김치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추 개체별 중량은 1.39~2.40kg 범위로 Gon>Mae>Nor>Hou 순이였으며. 엽수는 Gor 45, Nor 56, Mae 59, Hou 56이였다. 생배추맛에 대한 종합적 기호도는 Nou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다음으로 Hou 였다. 절임에 의한 점탄성과 씹힘성의 감소율은 Gm이 가장 높았으며 Nor가 가장 낮았다. 김치숙성은 Gon과 Nor가 Mae와 Hou에 비하여 빠르게진행되었다. 발효중 가스발생량은 Mae>Gon>Hou>Nor 순으로 Nor에서 가장 적었으며 AIS (alcohol insoluble substance)의 감소율은 매력>고냉지여름.노랑봄>하우스금가락 순 이었다. 21일간 숙성시킨 김치의 경도와 점탄성은 매력>하우스금가락>고냉지여름>노랑봄 순이었으며 김치의 종합적 기호도는 Nor와 Hou가 양호하다고 평가되었으며, 현재 생산량이 가장 높은 Gon은 보통, 매력은 보통이하를 나타내었다.

  • PDF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공정에 의한 양파의 올레오레진 함량 및 기능적 특성 (Oleoresin Content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Fresh Onion by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 김현구;권영주;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76-881
    • /
    • 1999
  • 양파를 conventional extraction(CE) 방법과, micro-wave-assisted extraction(MAE) 방법에 의하여 각각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고 추출조건에 따른 올레오레진 수율과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추출 방법에 따른 올레오레진 함량의 차이는 거의 없었고 최적 추출시간은 CE의 경우 2시간인 반면 MAE에서는 5분 내외로 추출시간이 크게 단축되었다. 전자공여작용은 물 추출의 경우 CE 및 MAE 에서 각각 44% 및 50%이었고 에탄올 추출의 경우 각각 45% 및 51%로 추출방법에 의한 차이는 거의 없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모든 추출물에서 pH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pH 1.2에서는 모든 추출물에서 85% 이상의 높은 소거작용을 보였다. Tyrosinase 저해작용은 물 추출물의 경우 CE와MAE에서 모두 20% 수준이었고 에탄올 추출물도 40% 수준의 비교적 낮은 저해작용을 나타내었다. ACE 저해작용에서는 CE보다 MAE 추출물에서 더욱 강한 활성을 나타내어 CE 방법으로 추출했을 때는 60% 수준이었고 MAE 방법으로 추출했을 때는 70% 수준이 었다. 또한, 추출방법에 따른 피르브산 함량 변화에서도 물 추출물의 경우 CE와 MAE 각각 양파 1g당 6.8 및 $6.4\;{\mu}moles$이었고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이보다 낮은 4.3과 $5.6\;{\mu}moles$이었으며 추출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 PDF

회전 운동 잔여 효과의 확산 현상: 전역적 운동 탐지기의 순응에 대한 증거 (Spreading of motion aftereffect for rotational motion: Evidence of adaptation of global motion detector)

  • 감기택
    • 인지과학
    • /
    • 제16권1호
    • /
    • pp.17-27
    • /
    • 2005
  • 움직이는 패턴을 오랫동안 본 후에 정지된 패턴을 보면. 정지된 패턴이 운동 패턴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지각되는 운동 잔여 효과(motion aftereffect: MAE)가 발생된다. 이 현상에 대한 고전적인 설명과는 달리 복잡운동의 MAE는 운동 순응이 발생되지 않은 영역에까지 확산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 정보 처리 과정에서 MAE의 확산 현상이 발생되는 신경기제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서 하모닉 나선형 패턴을 운동 순응 자극으로 사용하여 고리모양의 창에 제시한 후, 순응이 발생된 고리영역과 순응이 발생되지 않은 안쪽 영역 모두에서 MAE를 측정하였다. 순응자극과 동일한 영상과 거울상을 각각 검사자극으로 사용하여 MAE를 측정하고 두 조건에서 발견된 MAE를 비교하였다. 하모닉 나선형 자극의 특징은 동일 영역에 제시된 원영상과 거울상의 윤곽 방위의 차이가 90도라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거울상의 경우 국소 운동 정보를 추출하는 탐지기 수준에서는 순응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실험 결과 순응된 영역에서의 MAE 지속시간은 동일상 조건이 거울상 조건보다 더 길게 나타났지만, 운동 순응이 없었던 영역(운동 잔여효과의 확산 영역)에서는 두 조건간 유의한 차이가 발생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복잡운동(complex motion)의 MAE 화산은 국소 운동 정보가 추출되는 V1과 같은 초기 단계에 있는 신경세포의 순응이 아니라 복잡 운동이 처리되는 MSTd 에 있는 신경세포들의 순응에 의해서 발생됨을 시사한다.

  • PDF

블록 움직임 추정을 위한 2단계 고속 전역 탐색 알고리듬 (Two-Stage Fast Full Search Algorithm for Black Motion Estimation)

  • 정원식;이법기;이경환;최정현;김경규;김덕규;이건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9A호
    • /
    • pp.1392-1400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전역 탐색 알고리듬 (full search algorithm; FSA)과 동일한 성능을 나타내면서도 고속으로 움직임을 추정할 수 있는 블록 움직임 추정을 위한 2단계 고속 전역 탐색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첫 번째 단계에서 9:1로 부표본화된 탐색점에 대하여 블록 정합을 행하여, 여기서 얻어지는 최소 평균 절대치 오차 (mean absolute error, MAE)를 기준 MAE로 설정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첫 번째 단계에서 블록 정합을 행하지 않은 탐색점에 대하여 각 탐색점에서 가질 수 있는 MAE의 최소 범위를 구한 뒤, 이 값이 기준 MAE보다 작은 탐색점에 대해여서만 블록 정합을 행하였다. 이때, MAE의 최소 범위는 첫 번째 단계에서 블록 정합을 통하여 얻은 MAE들과 현재 블록 내의 화소들의 이웃 화소간의 화소 값의 차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그러므로, 제안한 방법에서는 MAE의 최소 범위를 이용하여 블록 정합이 필요한 블록에 대하여서만 정합을 행함으로써 FAS와 동일한 움직임 추정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움직임 벡터의 추정을 위한 계산량을 줄일 수 있었다.

  • PDF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공정에 의한 마늘의 올레오레진 함량 및 기능적 특성 (Oleoresin Content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Fresh Garlic by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 김현구;권영주;곽희진;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29-335
    • /
    • 1999
  • 마늘을 MAE 방법과 CE 방법에 의하여 각각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고 추출조건에 따른 올레오레진 수율과 기능성을 비교하였다. 추출조건을 달리하였을 때 추출방법에 따른 올레오레진 함량의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최적 추출시간이 CE의 경우 2시간인 반면 MAE에서는 5분 내외로 추출시간이 크게 단축되었다. 전자공여작용은 물 추출의 경우 두 가지 추출방법에서 모두 64% 이었고 에탄올 추출의 경우는 CE 및 MAE에서 각각 63%와 51%로 모든 추출물에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모든 추출물에서 PH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pH 1.2의 경우 90% 이상의 높은 소거작용을 보였으며 추출방법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Tyrosinase 저해작용은 물 추출물의 경우 CE 및 MAE에서 각각 47% 및 60%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은 이와 비슷하거나 낮은 45%와 39%의 저해작용을 나타내었다. ACE 저해작용은 CE보다 MAE 추출물의 경우 더욱 강한 활성을 나타냈으나 효소와의 반응시간에 따른 뚜렷한 증가현상은 없었다. 또한 pyruvic acid 함량에서는 물 추출물의 경우 CE와 MAE 각각 마늘 1 g당 44.8 및 $36.0{\mu}moles$이었고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이보다 낮은 28.6과 $32.0{\mu}moles$을 나타내어 추출방법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On the Study of Perfect Coverage for Recommender System

  • Lee, Hee-Choon;Lee, Seok-Ju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7권4호
    • /
    • pp.1151-1160
    • /
    • 2006
  • The similarity weight,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hich is used in the recommender system has a weak point that it cannot predict all of the prediction value. The similarity weight, the vector similarity, has a weak point of the high MAE although the prediction coverage using the vector similarity is higher than that using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raise the prediction coverage. Also, the MAE using the suggested method in this study was compared both with the MAE using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with the MAE using the vector similarity, so was the prediction coverag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ow of the MAE in the case of using the suggested method was higher than that using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owever, it was also shown that it was lower than that using the vector similarity. In terms of the prediction coverage, when the suggested method was compared with two similarity weights as I mentioned above, it was found that its prediction coverage was higher than tha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s well as vector similarity.

  • PDF

태국 매해 지역에서의 지속가능한 건축재료 활용연구 - 흙다짐 공법을 중심으로 - (Usage of Indigenous Material for Sustainable Construction at Mae-Hae, Thailand - Focused on Rammed Earth Method -)

  • 김두순;정상모
    • KIEAE Journal
    • /
    • 제13권2호
    • /
    • pp.33-38
    • /
    • 2013
  • Limited resources for construction material in the Mae-Hae region, a remote Northern Thailand, acted as an impetus to introduce a new way for constructing their dwellings. The new construction material brought new construction methodology, namely, using earth and bamboo which are indigenous materials, readily available for them to use. Using indigenous material at Mae-Hae region was most ecological and logical method for establishing sustainable dwellings both in terms of monetary and ecological reasons. Prior to the construction at Mae-Hae, Thailand, series of experimental tests on the strength of rammed earth were performed off site at our university and also brought soil samples from the actual job site at Mae-Hae for detailed soil analysis. Through the tests, integrity of the earth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il were established to build a small senior citizen center as an example. This appropriate technolog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construction at Mae-Hae.

김침매화시초(金鍼梅花詩鈔)의 방훈법(防暈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A review study on the prevention of presyncope or syncope by acupuncture of "Geum Chim Mae Hwa Si Cho")

  • 이봉효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6권3호
    • /
    • pp.121-132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evention of pre- or syncope by acupuncture of "Geum Chim Mae Hwa Si Cho" Methods : 1. The authors reviewed "Geum Chim Mae Hwa Si Cho" and several literatures related with pre- or syncope by acupuncture. 2. We investigated the causes and signs of pre- or syncope by acupuncture, and the mechanism and clinical usefulness of the prevention of pre- or syncope by acupuncture. Results and Conclusions : 1. Pre- or syncope by acupuncture is a kind of Myung Hyun phenomenon resulted from patients' failure of reception of acupuncture treatment. 2. "Geum Chim Mae Hwa Si Cho" said not to be confused by pre- or syncope, and suggested 8 items for prevention of pre- or syncope by acupuncture. 3. "Geum Chim Mae Hwa Si Cho" especially argued to give doctor's whole mind to patients, and relax the mental tension of patients. 4. Yang Myoung meridian occupies the biggest part in acupoints used for the first aid.

  • PDF